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029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집필자 배혜진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어휘, 음운, 문법적 체계와 특징.

[개설]

언어란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를 말한다. 달성군의 언어는 ‘달성 지역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경상북도 방언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방언은 한 언어 내부에 나타나는 지역적 변이 양상을 말하는데, 달성 지역어는 달성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변이 양상을 뜻한다. 언어의 역사가 오래될수록, 사람의 왕래를 막는 지리적·사회적·정치적 장애물이 높을수록 방언 분화의 정도는 심해지고, 방언의 특징도 강해진다. 우리 민족은 수천 년 동안 한반도에서 살아왔고, 한반도의 대부분이 산, 섬 등의 접근이 어려운 지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나라의 크기에 비해 방언의 분화가 심한 편이다.

달성군은 남북으로 흐르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성주군과 고령군, 남쪽으로는 창녕군, 청도군과 마주하고 있으며, 동북쪽으로는 칠곡군을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요소들은 달성군의 언어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 달성 지역어의 특징에 대해서는 크게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음운이란 분절된 말소리의 단위가 언어에 따라서 물리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소리끼리 모여서 보다 큰 단위로 추상화된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문법이란 언중이 언어를 구사하는 데 필요한 모든 규칙·정보의 집합, 또는 그 언어의 문법 현상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어휘란 여러 종류의 특정한 언어 체계가 가지고 있는 어휘소의 총체를 의미한다.

[음운]

달성 지역어의 음운은 크게 음운 체계, 음운 현상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달성 지역어의 자음 체계는 여타 방언들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ㅅ'과 'ㅆ'의 변별이 불명확하다는 특징이 있다. 모음 체계는 여타 방언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단모음의 경우 표준어의 10[혹은 8]모음 체계와 달리 달성 지역어에서는 6모음 체계[/i, E, ∃, a, u, o/]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달성 지역어의 이중 모음은 '/jE, j∃, jo, ju, ja, wi, wE, w∃, wa/'와 같이 대략 9개가 있다. 달성 지역어의 특징적인 음운 현상으로는 '구개음화 현상, 움라우트 현상, 어두 경음화 현상, 어간말 자음군 단순화 현상' 등이 있다. 이들 중 '구개음화 현상, 움라우트 현상, 에>이, 어두 경음화 현상'은 여타 방언에서도 나타나는 음운 현상이나, 달성 지역어를 포함한 경상북도 방언에서 유난히 높은 밀도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들이다. 이와 달리 '어간말 자음군 현상'은 특히 표준어와 다른 방향으로 어간말 자음이 탈락되는 음운 현상이다.

1. 자음 체계

경상북도 방언의 자음 체계의 특징은 'ㅅ'과 'ㅆ'이 변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달성 지역에서는 'salbab-i[쌀밥-이]'와 같이 '쌀'의 'ㅅ'이 'ㅆ'과 변별되지 않아 'ㅅ'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s’alp’∃lgEŋi[쌀-벌개이]'와 같이 'ㅅ'과 'ㅆ'이 변별되어 'ㅆ'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달성 지역에서는 'ㅅ'과 'ㅆ'의 변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상황이나 단어, 화자에 따라서 변별되기도 하고, 되지 않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모음 체계

달성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는 '/i, E, ∃, a, u, o/'와 같은 6모음 체계이다. 이를 통해 달성 지역어에서는 애[/e/]와 에[/ɛ/]가 대립을 보이지 않아 /E/로 중화되어 나타나고, 으[/ɨ/]와 어[/ə/]가 대립을 보이지 않아 /∃/로 중화되어 나타난다. 달성 지역어의 이중 모음은 '/jE, j∃, jo, ju, ja, wi, wE, w∃, wa/'와 같이 대략 9개가 있는데, 자음 아래에서는 모두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즉 자음 아래에서는 이중 모음이 실현되지 않는 것이 특징적이다.

[문법]

달성 지역어를 포함한 경상북도 방언에서는 어미 중 존대법[명령형·청유형·평서형·의문형 어미], 피·사동 어미, 시제 어미, 연결 어미에서 여타 방언과 다른 특징이 있다. 조사의 격 체계 내에서 격 범주는 달성 방언이 포함된 경상도 방언이나 중부 방언, 여타 방언 사이에서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격 범주를 문법 형태소로 실현시키는 격 표지인 격 조사의 형태소 구성은 방언 사이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견된다. 달성 지역어를 포함한 경상북도 방언에서는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피인용문에는 여타 방언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직접 인용의 인용 동사, 간접 인용의 인용 조사와 인용 동사에서 여타 방언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어휘]

달성 지역어의 어휘적 특징을 어휘 체계의 규칙으로 설명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여타 방언과 달리 고형을 유지하고 있는 어휘들이 많다는 것을 그 특징으로 뽑을 수 있겠다. 예를 들어, 표준어의 '추워라, 더워라, 지어라, 이어라' 등은 달성 지역어에서 '추버라, 더버라, 지서라, 이서라'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데, 15세기 중세 국어 시기의 어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