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521
한자 舌化里 古墳 -
영어공식명칭 Seolhwari Tomb site
이칭/별칭 설화리 고분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556-16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이재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2003년 - 설화리 고분 떼 영남 문화재 연구원이 1차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6년~2007년 - 설화리 고분 떼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이 2차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2년 - 설화리 고분 떼 영남 문화재 연구원이 3차 조사 실시
소재지 설화리 고분 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556-16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 대구 박물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70]
성격 고분
양식 돌방무덤 [M1호분·M2호분]
크기(높이,지름) 2.8m[M1호분 높이]|2.5m[M2호분 높이]|16m[M1호분 지름]|12m~15.5m[M2호분 지름]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던 삼국 시대 고분.

[위치]

설화리 고분 떼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556-16번지, 화원 고등학교와 농협 하나로 마트 동쪽 성천로를 따라서 남-북 방향 해발 43m의 구릉에 분포하고 있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설화리 고분 떼는 세 차례에 걸쳐 발굴되었다. 1차 조사는 2002~2003년[영남 문화재 연구원]에, 2차 조사는 2006~2007년[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에, 3차 조사는 2012년[영남 문화재 연구원]에 진행되었다. 1차 조사는 농협 하나로 마트 동쪽 성천로의 구릉에서 진행되었으며, 돌방무덤 5기와 돌덧널무덤 32기가 발굴되었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지인 구릉의 남쪽 자락에서 진행되어 돌방무덤 2기가 발굴되었으며, 3차 조사는 화원 고등학교 동쪽 구릉에서 실시되어 봉토분 7기와 돌방무덤 8기, 돌덧널무덤 2기 등이 발굴되었다.

[형태]

해발 43m의 구릉 정상부에 입지하였던 고분 떼 내 최대 규모의 고분인 M1호분·M2호분·M4호분 굴식 돌방무덤이 먼저 축조된 다음 북쪽 구릉과 비탈에 계속해서 돌방무덤과 앞트기식 무덤이 조영되었다. M1호분은 둘레돌[호석]이 돌려진 지름 16m, 높이 2.8m의 봉토 안에 굴식 돌방을 축조하였고, 둘레돌 남쪽에 봉토를 덧대면서 돌무지 덧널 1기와 돌덧널 4기를 증축하였다. 돌방은 깊이 195㎝의 구덩이를 파고 만든 반지하식으로, 돌방의 크기는 길이 330㎝x너비 300㎝x높이 210㎝이다. 평면 네모꼴이며 오른쪽에 계단식 널길이 설치되어 있다. 벽체는 30~60㎝의 깬돌을 2겹으로 쌓고 벽틈은 작은 깬돌과 강자갈로 메웠다. 벽석과 천장석에 부분적으로 회를 바른 흔적이 남아 있다. 천장은 2매의 판상돌을 얹은 궁륭상이다. 시신 안치대는 깬돌을 2~3단 쌓았고 안벽과 왼쪽 벽에 나란한 'ㄱ' 자 모양이다.

M2호분은 봉분의 규모가 지름 12~15.5m, 높이 2.5m이고, 굴식 돌방은 깊이 190㎝의 무덤구덩이를 파고 만든 반지하식이다. 돌방의 크기는 길이 270㎝x너비 220㎝x높이 210㎝이고 천장은 판상돌과 긴 돌 3매로 덮었다. 서단 벽의 중앙에 경사진 널길이 설치되어 있다. 벽석은 30~60㎝의 깬돌로 궁륭상으로 쌓았다. 시신 안치대는 안벽에 붙여 깬돌을 2~3단 쌓고 자갈을 깔았으며 1회 증축하였다.

[출토 유물]

출토 유물은 뚜껑 있는 굽다리 접시와 짧은 목 항아리·그릇 받침·병 모양 토기 등 토기류가 대부분이지만, 금동제 귀걸이와 금동 또는 청동으로 만든 허리띠 장식·관고리·화살촉·큰칼 등의 금속류도 있다.

[현황]

3차 발굴 조사된 M1호분 굴식 돌방 1기는 국립 대구 박물관으로 이전·복원되었고, 1차 발굴 봉토분 3기[M7호분·M8호분·M9호분]가 농협 하나로 마트 맞은편 보존 구역 잔여 구릉에 복원되었을 뿐 도로 개설과 상업 용지 개발로 고분 떼는 거의 소멸되었다.

[의의와 평가]

3차 발굴 조사의 M1호분과 M2호분은 대구광역시·달성군 화원읍 지역에서 현실, 연도부, 천장부, 봉토 등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유일한 돌방무덤으로, 대구광역시 지역의 돌방무덤 도입 양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