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창리 901유적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653
한자 倉里 901遺蹟
영어공식명칭 The Ancient Site at Chang-ri, Dals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 901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1년 10월 24일~2012년 1월 12일 - 창리 901유적 대동 문화재 연구원이 발굴 조사 실시
현 소재지 창리 901유적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 901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대동 문화재 연구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60[두류동 148-5]
성격 유적
면적 5,426㎡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던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적.

[위치 및 현황]

창리 901유적은 행정 구역상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창리·수리리에 위치한다. 중부 내륙 고속 국도 현풍 IC에서 지방도 1093호선을 따라 구지면 소재지를 지나면 도로의 우측에 낙동강으로 진입하는 창리교가 나온다. 창리교에서 1.5㎞ 정도 가면 낙동강 제방과 해발 50m 내외의 소구릉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일대 제방 안쪽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ITS 기반 지능형 자동차 부품 시험장 건립 예정 부지가 위치한다. 유적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로 5개의 구역으로 구분되는데, 제1구역은 북서쪽에, 제2구역~제5구역은 남동쪽에 해당한다.

제1구역[시굴 Ⅰ구역]은 비미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의 곡간부에 위치하며, 제2구역[Ⅲ-1]은 비미산의 남동쪽에 위치한 단독 구릉 중 동편 구릉 정상[34.6m]에서 북쪽의 '갈밭들'인 평지에 해당한다. 제3구역[Ⅲ-2]은 비미산의 남동쪽에 위치한 구릉 중 서편 구릉 정상[35.6m]에서 북쪽으로 뻗어 내려오는 능선의 동쪽 곡간부에 해당하며, 제4구역[Ⅲ-3]은 비미산 남동쪽에 위치한 단독 구릉 중 동편 구릉과 서편 구릉 사이 남쪽 비탈에 해당한다. 제5구역[Ⅲ-4]은 비미산 남동쪽에 위치한 단독 구릉 중 동편 구릉의 남동쪽 비탈에 해당한다. 조사 전 대부분의 구역이 구릉의 비탈과 곡부에 위치하고 있고, 최근까지 산림과 경작지, 분묘로 이용되고 있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구 달성 ITS 기반 지능형 자동차 부품 시험장 건립 공사'로 인해 삼한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지표 조사와 시굴 조사 및 분포 확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지표 조사는 2008년 10월과 2010년 10월에 각각 2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유물 산포지 3개소와 분묘 떼 1개소[제Ⅰ~Ⅳ구역], 자연 제방 및 배후 습지 1개소[제Ⅴ구역]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굴 조사[4만 7120㎡]와 분포 확인 조사[5만 2000㎡]가 실시되었다. 시굴 조사는 2011년 5월 30일부터 그해 11월 1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삼국 시대의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유구와 관련 유물편이 다수 출토되었다. 분포 확인 조사 구역에서는 유적과 관련된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유구가 확인된 곳을 중심으로 5,426㎡에 대한 발굴 조사가 같은 해 10월 24일부터 2012년 1월 12일까지 대동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실시되었다.

한편 발굴 조사 진행 중 미보상으로 시굴 조사가 실시되지 못한 제Ⅳ구역과 제Ⅲ-4구역의 보상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삼한 문화재 연구원의 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가마와 수혈 등의 유구가 확인된 제Ⅲ-4구역의 1,012㎡가 추가되어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제1구역에서 삼국 시대의 목탄 가마 1기, 제2구역에서 근래 논[둑], 제3구역에서 자연 구, 제4구역에서 삼국 시대의 수혈 4기·구 3기, 통일 신라 시대의 집자리 1기·우물 1기, 조선 시대의 집자리 3기·수혈 3기·구 1기, 시대 미상의 수혈 2기·화덕 자리 1기·구 5기·주혈군[57공], 제5구역에서 삼국 시대의 토기 가마터 2기·집자리 3기·수혈 2기, 통일 신라 시대의 돌방무덤 2기, 조선 시대의 집자리 1기·수혈 5기·문주석 1기·암거 시설 1기·구 2기, 시대 미상의 수혈 3기·석렬 1기·주혈군[60공] 등 총 167기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조사 과정에서 다수가 출토되었고, 이 중 유적의 시기와 성격을 보여 줄 수 있는 295점이 보고되었다.

삼국 시대의 목탄 가마는 반지하식 구조로 연소부, 소성부, 연도부, 측구, 측면 작업장, 전면 작업장 등이 잘 남아 있는 상태이다. 다만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조성 시기가 분명하지 않으나, 고고지자기 연대 측정 결과는 A.D.330±20년, 방사성 탄소 연대는 2010±40BP로 측정되었다. 더불어 인접한 곳에서 확인된 토기 가마의 조업 시기, 목탄 가마의 구조적 특징 검토를 통해 4세기 대 백탄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숯가마는 대개 깊은 산중에 위치하는데 비해 창리 901유적의 숯가마는 낙동강 변의 나지막한 구릉의 비탈에 위치하며 육로 이외에도 낙동강을 통해 다른 지역에 목탄을 공급하기 편리한 입지 조건을 하고 있다. 더불어 강변에 위치함으로써 수로를 이용해 목탄을 생산하기 위한 기본 목재를 공급받기도 유리하며, 구릉 비탈의 하단부와 평지가 만나는 지점에 조성된 점은 생산의 효율성과 생산 후 이동의 편리성이 고려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삼국 시대의 토기 가마는 장축이 북서-남동으로, 구릉의 비탈에 등고선과 직교되게 2기가 인접해서 조성되어 있다. 주변부에는 토기의 원료인 점토 산지가 있고, 풍부한 물과 더불어 주변 구릉에서 목재를 쉽게 구할 수 있어 재료 조달적인 면에서 양호한 입지를 점하고 있다. 또한 육로와 더불어 낙동강과 접하고 있어 제품을 수로를 통해 다른 지역에 공급하였을 가능성도 크다. 토기 가마는 반지하식 구조로 연도부는 삭평되었지만 소성실, 연소실, 요전부 등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 중 1호 가마의 규모는 현 길이 560㎝, 너비 86~106㎝, 장단비는 6:5:1로 세장방형에 가깝다. 토기 가마에서는 연질옹, 토기 구연부편·구경부편·파수·동체부·대각·저부, 원형 토기, 토제품, 벽체편 등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편이다. 이 중 노형 토기편 5점과 와질 토기도 몇 점 확인된다.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의 특징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1670±40BP] 등의 비교 검토를 통해 조업 시기는 3세기 말에서 4세기 대이며, 중심 시기는 4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영남 지역에서 조사된 토기 가마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창리 901유적에서 조사된 유구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뉘는데, 삼국 시대에는 생산 유적 위주이고 통일 신라 시대 이후에는 분묘와 생활 유적이 중심이다. 삼국 시대에는 이곳이 생산 마을로 발달하였다는 것을 알려 주며, 토기 가마와 목탄 가마의 존재는 늦어도 4세기 대에 이곳에서 생산된 토기와 목탄이 육로와 수로를 통해 가까운 현풍이나 구지, 그리고 주변 지역인 대구, 고령, 합천, 창녕 방면으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상정하게 한다. 통일 신라 시대 이후로는 점차 생활 마을들이 이 일대로 확대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것으로 판단된다.

창리 901유적은 주변에서 조사된 바 없는 4세기 대의 토기 가마나 목탄 가마 등의 생산 유구가 확인되었고, 통일 신라 시대 이후의 생활 유구, 분묘 등 다양한 시기의 유구와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달성군 구지면 지역의 삼국 시대 이후 거주민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