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878
한자 仁嶽大師
영어공식명칭 Inak Daesa
이칭/별칭 의선(義宣),의소(義沼),의첨(義沾)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46년연표보기 - 인악대사 출생
출가|서품 시기/일시 1763년 - 인악대사 출가
몰년 시기/일시 1796년연표보기 - 인악대사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08년 - 인악대사비 동화사에 건립
출생지 대구도호부 인흥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성격 승려
성별

[정의]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승려.

[개설]

본관은 성산(星山). 속성(俗姓)은 이씨(李氏), 속명(俗名)은 의선(義宣)·의소(義沼), 법명(法名)은 의첨(義沾), 호(號)는 인악(仁嶽). 아버지는 이휘징(李徽澄)이고, 어머니는 달성 서씨(達城 徐氏)이다. 고려조 개국벽상공신 대광사공 성산 부원군(開國壁上功臣大匡司空星山府院君) 이능일(李能一)의 23세손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 사항]

인악대사(仁嶽大師)[1746~1796]는 1746년(영조 22) 대구도호부 인흥촌[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유학을 공부하였고, 문장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1763년(영조 39) 용연사(龍淵寺)에서 공부하다, 이곳 승려들의 엄숙함을 보고 가선헌공(嘉善軒公)에게 출가(出家)하였는데, 이때 나이 18세였다.

1767년(영조 43) 벽봉(碧峰)으로부터 구족계(具足戒)를 받았으며, 『금강경(金剛經)』, 『화엄경(華嚴經)』 등 대승경(大乘經)을 배웠다. 서악(西岳)·홍유(泓宥)·농암(聾巖) 등에게 수학하였으며, 1768년 벽봉으로부터 두 번째 계를 받은 뒤 강당을 열고 설법을 시작하였다. 이후 영원암(靈源菴)으로 가서 운파(雲坡)에게 선문염송(禪門拈頌)을 배웠으며, 1770년 설파(雪坡)에게 세 번째 계를 받았다. 이후 팔공산(八公山)·계룡산(鷄龍山)·불영산(佛靈山) 등의 산을 유력(遊歷)하며 불법을 강의하였다. 1784년(정조 8)에는 은해사(銀海寺) 운부암(雲浮庵)에 주석하였다.

1790년(정조 14) 수원용주사(龍珠寺) 창건 때 불상의 개안 의식(開眼儀式)을 주재하고 불복장원문(佛腹藏願文)을 지었다. 용주사는 정조(正祖) 임금의 아버지인 사도 세자(思悼世子)의 원당(願堂)으로, 정조가 인악대사의 문장을 보고 크게 칭찬하였다고 한다. 1796년(정조 20) 비슬산 명적암(明寂庵)에서 법랍 34세로 입적하였다.

[사상과 저술]

문집으로 『인악집(仁嶽集)』 3권 1책이 전한다. 문집에는 「용주록(龍珠錄)」을 비롯하여, 인악대사가 지은 여러 사찰의 중창기(重創記)가 수록되어 있다.

[묘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에 위치한 용연사에 부도(浮屠)가 있다. 부도에는 ‘인악대사탑(仁嶽大師塔)’이라고 새겨져 있다.

[상훈과 추모]

대구광역시 동구 도화동에 위치한 팔공산동화사(桐華寺)에 인악대사비(仁嶽大師碑)가 건립되어 있다. 인악대사비는 1808년(순조 8) 건립되었는데, 당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로 있던 김희순(金羲淳)이 비문을 지었다. 또한 동화사에는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대구 동화사 인악당 대사 의첨 진영(大邱桐華寺仁嶽堂大師義沾眞影)[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1호]이 전한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30 행정지명 현행화 옥포면에서 옥포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