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948
한자 文鳳城
영어공식명칭 Moon Bongseong
이칭/별칭 경휘(慶輝),후은(後隱)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봉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2년연표보기 - 문봉성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23년 8월연표보기 - 문봉성 사망
거주|이주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수학|강학지 광거당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지도보기
성격 문인|학자
성별
본관 남평(南平)

[정의]

근대 달성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학자.

[가계]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경휘(慶輝), 호는 후은(後隱). 충선공(忠宣公) 문익점(文益漸)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인산재(仁山齋) 문경호(文敬鎬),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문달규이다. 부인은 현풍 곽씨(玄風郭氏)와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며, 둘째 아들은 독립운동가인 문영박(文永樸)이다. 문영박은 임시 정부에 군자금을 지원하는 등 항일 독립 사상이 국내외에 미친 영향이 아주 크다고 인정되어, 1990년에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활동 사항]

문봉성(文鳳城)[1852~1923]은 광거당(廣居堂)[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소재]을 지어 공부하고 싶은 선비들에게 학문의 길을 열어 주었다. 광거당의 '광거'는 『맹자(孟子)』 제2장의 대장부론에서 나오는 말이다. 이를 살펴보면, “천하의 넓은 집에 거처하며 천하의 바른 자리에 서서 천하의 큰 길을 걷는다. 뜻을 얻으면 백성과 함께 도리를 행하고 뜻을 얻지 못하면 홀로 그 도리를 행한다. 재산이 넉넉하고 지위가 높음으로도 마음을 방탕하게 할 수 없고 가난하고 천함으로도 바꾸지 못하고 위세와 무력으로도 굴복시킬 수 없는 이러한 사람을 대장부라 부른다[居天下之廣居 立天下之正位 行天下之大道 得志與民由之 不得志獨行其道 富貴不能淫 貧賤不能移 威武不能屈 此之謂大丈夫]."

광거당 편액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이름난 서화가였던 석촌(石村) 윤용구(尹用求)[1853∼1939]의 작품이다.

[묘소]

『남평 문씨 대동보(南平文氏大同譜)』에 따르면, 묘는 인흥동 장벽산(將壁山)에 있으며,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이 찬갈(撰碣)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