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1653
한자 山神靈- 感動- 孝婦
영어공식명칭 Sansinryeong also impressed by daughter-in-law
이칭/별칭 「산신령 감동시킨 며느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집필자 박다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3년 -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 최정여·박종섭·임갑랑이 이점술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5년 -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한국 구비 문학 대계』7-14 달성군편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달성 군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4년 -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채록지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읍 음리
성격 민담|효자 효부담
주요 등장 인물 시어머니|며느리|남편|산신령
모티프 유형 효행|절행|산신령의 도움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에서 효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는 봉사인 시어머니와 앉은뱅이인 남편을 지극정성으로 모셔, 시어머니가 눈을 뜨고 남편이 벌떡 일어서게 됐다는 며느리의 효자 효부담이다. 이를 「산신령 감동시킨 며느리」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85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현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7-14 달성군편의 370~372쪽에 「산신령 감동시킨 며느리」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이는 1983년 조사자 최정여·박종섭· 임갑랑 등이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현 유가읍] 음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이점술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1992년 달성군에서 편찬한 『달성 군지』에, 2014년 달성 문화 재단과 달성 군지 간행 위원회에서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도 각각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내용]

아주 가난한 집에서 먹고 사는 것이 너무 힘들어서 딸을 신랑은 앉은뱅이이고, 시어머니는 봉사인 집안에 시집보내게 되었다. 시집간 딸은 앉은뱅이인 신랑과 봉사인 시어머니를 대신해 갖은 일을 하여 돈을 벌어 함께 먹고 살아야만 했다. 하지만 그 집에 며느리가 된 가난한 집 딸은 불평불만 없이 정성껏 신랑과 시어머니를 모셨다. 하루는 비슬산 같은 산이 있는데, 그 산을 넘어야만 친정에 갈 수 있어 산을 넘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호랑이가 앞을 떡하니 막고 앉아 있었다. 그것을 본 며느리는 호랑이에게 "산신령님예 제가 눈 어두운 시어니와 앉은뱅이인 신랑을 데리고 사니 집에 가서 그 분들을 잘 모셔 놓고 와서 저를 잡아먹으면 안되겠습니까?, 제가 여기서 잡아먹히면 사람들이 친정 가서 봉사인 시어머니와 앉은뱅이인 남편을 버리고 다른 데 살러 갔다고 안 하겠습니까?"라고 했다.

그러자 호랑이는 며느리가 가는 길을 비켜 주었다. 친정에 다녀온 며느리는 시어머니에게 “어무이예, 참 내가 친정을 갔다 오이 산신령이 제가 가는 길을 막고 있었습니다. 제가 집에 어무이하고 가장한테고 사실을 이야기하고 다시 산으로 가서 잡아먹히겠다고 했습니다. 이제 사정 이야기를 어무이께 드렸으니 지는 이제 다시 산으로 가 산신령님에게 잡아먹히로 가야겠습니다.”라고 했다. 그리고 일어나서 산으로 가려고 하자 앉은뱅이였던 신랑이 뻘떡 일어 서면서 "우리는 우야고 니가 갈라 카노?"라며 호통을 친다. 그러자 눈 어두웠던 시어머니도 눈을 퍼뜩 뜨면서 "아이고 야야, 우리는 어짜고 니가 간다 말고?"라고 하며 흐느낀다. 두 사람이 며느리를 놓아주지 않자, 며느리는 "어무이 지는 할 수 없습니더, 인제 어무이하고는 눈을 뜨고 저가부지는 다리를 떼고 하니 인자는 잘 살 수 있으니까네, 저는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심더. 두 분 행복하고 잘 사이소."라고 말하고 며느라는 그 산으로 갔다. 산에 가자 호랑이는 여전히 그 자리에 앉아 있었다.

며느리는 호랑이에게 "아이고 산신령님예, 지는 인지 죽어도 여한이 없습니더."라고 말한다. 그러자 산신령이 하는 말이 "왜?" 라고 물었다. 그러자 며느리는 "눈 어두웠던 어머니가 제가 죽으로 온다 하니 눈을 뜨게 되고, 앉은뱅이였던 남편은 저를 붙잡기 위해 두 다리로 걸어 다니게 되었심니더. 그라이 지는 이제 더 이상 죽어도 여한이 없심니더."라고 대답했다. 그 말을 듣자 산신령인 호랑이가 무릎을 치면서, "그러면 그렇지. 니가 하도 부모한테 효를 다하고 남편을 지극정성으로 모셨기에 내가 니 남편과 시어머니를 낫게 해 주었다. 내려가서는 남편과 시어머니를 모시고 더 잘 살거라"라고 말했다. 며느리는 그 길로 다시 산을 내려와 시어머니와 남편과 함께 행복하게 잘 살았다.

[모티프 분석]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의 주요 모티프는 '효행(孝行)', '절행(節行)', '산신령의 도움' 등이다. 전승 집단은 효와 열을 강조하기 위해 산신령을 등장시킨다. 현실에서 앉은뱅이인 남편이 걸을 수 있고, 눈을 뜨지 못하는 사람이 눈을 뜬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하다. 하지만 「산신령도 감동한 효부」에서는 산신령이라는 초월적인 존재를 등장시켜 효부인 며느리의 효와 열의 실천에 대한 보상책으로 시어머니와 남편의 병을 낫게 하고 행복한 결말로 이끌어준다. 또한「산신령도 감동한 효부」를 통해 현실에서는 극복 불가능한 일이지만 이야기 내에서 가능한 일로 실현시키는 전승 집단의 낙천적인 면모도 살필 수 있다. 이렇게 자신의 몸을 희생시켜서라도 실천하는 효행은 효 지상주의적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22 행정지명 현행화 유가면에서 유가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