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1675
한자 - 不孝-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집필자 배혜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3년 9월 4일 -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 최정여·박종섭·임갑랑 등이 김용암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5년 -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한국 구비 문학 대계』7-14 달성군편에 수록
채록지 달성군 화원면[현 화원읍] 설화리
성격 설화|민담|여성 지인담
주요 등장 인물 며느리|아들|시아버지
모티프 유형 지혜로운 여성의 문제 해결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지혜로운 부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는 시아버지께 불효하는 모습을 지켜본 아내가 지혜를 내어 남편이 스스로 깨닫게 되었다는 여성 지인담(智人談)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5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현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7-14 달성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83년 9월 4일 달성군 화원면[현 화원읍] 설화리에서 조사자 최정여·박종섭·임갑랑 등이 김용암[남, 당시 59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인데, 세찬 비가 내리고 있어서 녹음에 방해가 되었다고 한다.

[내용]

한 가정에 한 호불 아버지가 살아 계셨어요. 있는데 참 그 며느리 거 착실한 분이라요. 이런데 그 어느 날은 그 분들의 시아버님은 어떻냐, 그 가정에서 아주 일도 잘 도우고 모든 손자도 잘 도우고 이런 분인데, 참 머 모든 그런데, 그 미느리 한 날은 시아바시 얼굴을 쳐다보이까 머리가 길었더랍니다. 그런데 머리를 깎아야 되겠는데

"그래, 오늘 아버님 머리를 깎아이소."

"오냐, 깎지."

이라고 아들이 그날 출타를 하는데 그래 그 아버님 되는 사람이 아들한테

"야야, 오늘 내가 머리 좀 깎으로 돈을 쪼끔 도고."

이랜 기라요. 이라이까

"아이고, 내 바쁩니다. 뒤에 깎아이소."

이카고 그 출타를 했뿟어요. 했는데 미느리 마당에서 그 소리를 들으이까 말이지이 기가 찬다 이기라. 이래서 뒤쫓아 미느리 쫓아 나갔는 기라요. 나가서

"아이, 여보, 거 좀 있으소, 있으오."

이러이 말이지이 급히 쫓아 나가이께 그기 아들이 말이지이 서가 있드라 이기라. 자기 남편이 이럴 때,

"여보 나 오늘 돈 좀 주시오."

"뭐 할라카노?"

"내 오늘 말이지이 어데 볼 일이 있는데 어데 갈라카만 말이지이 난 머리를 좀 단속을 해야 되겠다."

고 이런 이얘기를 하이까

"그래."

카미, 주머니 돈을 쑥 빼 주거던. 그런데 그래서 이 돈을 가지고 가서 자기 시아바시,

"오늘 이발하이서."

이랬는기라. 그래 놓고 그날 참 이발을 떡 했는데, 그래 참 그 분이 출타를 해가지고 말이지 미칠 있다가 떡 둘이는 잘짜를 떡 그날은 말이지이 일부에 이 참 자기 부인이 그 미느리 말이지이 저녁을 안 묵고 자기 남편이 보는데 저녁을 안 먹었는 기라요. 안 묵고 떡 앉아 있으인께네 아가 말이지이 저녁 자기 아들이 묵는 걸

"임마, 너 저녁도 묵지 마라."

이라이까 미칠 출타했다 왔는 말이지, 이 아들이 생각할 때 이상한 점이 있다 말이라.

"왜 집에서 무슨 심장 상하는 일이 있었느냐?"

"머, 없지요. 당신이나 저녁 먹으라."

고. 그 눈치가 이상하고 이래서 말이라 아들이 물었는 기라. 물으이 남편이 저녁을 다 먹고나이 아들 뚜디라 팬다.

"너 겉은 놈은 죽어야 되지. 살아가 안 된다."

아를 뚜디라 패는 기라. 패기 시작하는데 그래 그 남편이 생각하니 '무슨 잘못을 해가 애가 저리 뚜디리 맞느냐' 싶어서 물었는 기라.

"아이, 당신 닮은 아 이런 거는 죽어야 된다. 자기 지집만 알고 말이야 자기 부모는 모르고 이것도 키워 노마 당신 닮아서 말이징. 이런 행동을 할 낀데 이걸 키와가 뭐 할끼냐고. 앞으로 키워봐라. 마, 당신 우리 아바님만치 나 많애서 말이지이 머리 깎알라카마 안 주고 자기 지집은 말이지이 머리 단속 할라카마 돈 줄낀데 이것 놔도 뭐 할끼냐꼬. 이거 죽있뿌고 우리 차라리 이거 없이 사는 기 편타 말이라."

말했는 기라. 하이께네 이거 저거 남자가 가마 생각하이 말이지 자기 잘못을 스스로 깨닫고 그 자기 부인한테 손이야 발이야 빌고

"다시는 내가 이런 짓을 안 하겠다. 용서해 도고."

이라미, 그 남자의 거 뭐 그거 남자가 불효자식은 아닌데, 우리가 참 무안정에 바뿌고 하면은 그러한 말이지이. 사람이 이 동네에도 불효가 아이더라도 그것을 딱 곤치서 그 남편을 옳은 사람을 만들더라 카는 이런 이애깁니다.

[모티프 분석]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의 주요 모티프는 '지혜로운 여성의 문제 해결'이다. 불효한 남편의 행동을 지혜로 바로잡는다는 「남편 불효를 고친 아내」는 큰 틀에서 여성 지인담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또한, 「남편의 불효를 고친 아내」는 같은 마을에서 전승되는 「맏동서의 지혜로 화목해진 김씨네」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며느리 설화라고도 할 수 있다. 「맏동서의 지혜로 화목해진 김씨네」에 비하면 작은 사건 하나에 불과하지만, 전체적으로 시아버지를 향한 남편의 잘못된 행실을 두고 보지 못하고 지혜롭게 꾀를 내어 남편을 스스로 깨닫게 한다는 측면에서 여성[며느리]이 가정의 화목을 위하여 불효라는 잘못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며느리가 잘 들어와야 집안이 편하다.'는 옛말을 잘 보여 주는 며느리 설화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