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608
한자 倉庫
영어의미역 Warehous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최정용

[정의]

조선 시대 창원 도호부 관내에 설치되었던 물품 저장 또는 보관 시설.

[개설]

창고는 창원 도호부가 행정이나 군사 업무의 수행 과정에 필요한 곡물 및 무기류 등의 보관과 관리를 위해 관내에 설치·운영한 시설이다. 『창원 부읍지(昌原府邑誌)』에 의하면 당시 창원 도호부 관내에는 약 10개가량의 창고가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현황]

창원 도호부 관내의 창고들을 설치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먼저 농본 사회인 당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면서 현물로 징수된 세곡이나 특산물 등 곡물들을 보관하고 수송하기 위해 설치·운영한 창고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원 도호부 관아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던 사창(司倉), 서쪽 20리에 위치하고 있었고 마산포에 있었기 때문에 마산창이라고도 불렸던 해창(海倉)과 옆에 있었던 조창(漕倉)이 여기에 해당된다. 해창에는 전세(田稅)와 대동미를 1척당 1천석을 적재할 수 있는 조선(漕船) 25척이 배치되어 있었으며 조선(漕船) 1척에는 사공(沙工) 1명, 격군(格軍) 15명, 조보(漕保) 32명이 배속되었다.

다음으로 관내의 어려운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설치·운영한 창고로 구체적으로는 창원 도호부 관아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던 진창(賑倉)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요역(徭役)의 과중한 부담과 폐해를 줄이기 위하여 설치했던 균제고(均濟庫)도 넓은 의미에서는 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창원 도호부 관아 자체의 필요 경비 조달을 위해 설치·운영된 창고를 들 수 있다. 손님을 맞이하고 전송하는데 필요한 경비로 사용될 곡식을 보관했던 영송창(迎送倉)과 관아 일군들에게 지급할 급료를 보관하는 창고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차역고(差役庫) 또는 차역창(差役倉)이 여기에 해당되며 모두 관아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네 번째로는 무기류 보관 창고로 육군의 무기를 보관했던 육군기고(陸軍器庫)와 수군의 무기를 보관했던 수군기고(水軍器庫)가 있었다. 육군기고는 관아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수군기고는 서쪽 20리에 있던 해창 옆에 위치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 외에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반산창(盤山倉)이라는 창고에 대한 기록도 전해진다. 반산창(盤山倉)좌조창(左漕倉)이라고도 부르는데, 창원도호부에서 남쪽 7리의 반룡산(盤龍山) 아래 해변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19세기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의 『진해현 읍지(鎭海縣邑誌)』를 보면 진해현에는 사창(司倉)이 있어 미두(米豆)등을 보관하였고, 『웅천현 읍지(熊川縣邑誌)』에는 웅천현(熊川縣)의 창고로 성(城) 안에는 읍창(邑倉)과 대동고(大同庫), 관청고(官廳庫), 공고(工庫)가 있었고, 현(縣)의 서쪽 30리에 서창(西倉)이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