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유학자 우성규의 문집. 우성규(禹成圭)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유학자로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성석(聖錫), 호는 경재(景齋), 경도(景陶)이다. 1830년(순조 30)에 달성에서 태어나 1905년(고종 42)에 사망하였다. 1865년(고종 2) 만동묘 훼철령에 상소를 올려 반대하는 뜻을 밝히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향리로 돌아왔다. 영덕 현령, 예안 현감...
-
조선 전기 달성 출신의 문신인 전경창의 문집. 전경창(全慶昌)의 본관은 경산(慶山), 자는 계하(季賀), 호는 계동(溪東)이다. 1532년(중종 27)에 출생하여 1585년(선조 18)에 사망하였다. 1555년(명종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73년(선조 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검열·정언에 이르렀으며, 대구의 연경 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되었다. 『계동집(...
-
조선 전기 달성 출신인 곽재겸의 문집. 곽재겸(郭再謙)[1547~1615]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익보(益甫), 호는 괴헌(槐軒)이다. 임진왜란 때 서사원(徐思遠)과 협력하여 의병 활동을 하기도 했으며, 정유재란 때는 사촌 동생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 전투에 참전하여 왜적을 물리친 공으로 부호군(副護軍)에 올랐다. 이후 향리에서...
-
조선 중엽 달성에서 활동한 학자 서사원의 문집. 서사원(徐思遠)은 조선 중엽의 학자로 한강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행보(行甫), 호는 낙재(樂齋), 미락재(彌樂齋), 만오당(晩悟堂)이다. 1550년(명종 5)에 출생하여 1615년(광해군 7)에 사망하였다.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 청안 현감(淸安縣監) 등을 지냈다. 이후 여러 관직...
-
조선 전기 달성 출신의 학자 배신의 문집. 배신(裵紳)의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경여(景餘), 호는 낙천(洛川)이다. 1520년(중종 15)에 출생하여 1573년(선조 6)에 사망하였다. 156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572년에 동몽교관이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후에 도동 서원(道東書院) 별사에 봉향되었다. 『낙천집(洛川集)』은 1862년(철종 13) 이원조(李源祚)...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인 박광석의 문집. 박광석(朴光錫)의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중익(仲翼), 호는 노포(老圃)이다. 1764년(영조 40)에 출생하여 1845년(헌종 11)에 사망하였다. 1795년(정조 19)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감찰·남포 현감(藍浦縣監)·부교리·동부승지·호조 참의·안변 부사(安邊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노포집(老圃集)』은 19...
-
임진왜란 때 귀화하여 달성에 정착한 일본인 김충선의 문집. 김충선(金忠善)[1571~1642]의 본관은 김해(金海), 일본 이름은 사야가[沙也可], 자는 선지(善之), 호는 모하당(慕夏堂)이다.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휘하의 선봉장으로 침입했다가 조선으로 귀화하였다. 선조(宣祖)가 "바다를 건너온 모래(沙)를 걸러 금(金)을 얻었다"며 김해 김씨로 사성(賜姓)하였으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장학회. 구지면 장학회는 지역 사회 발전을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장학 재단 설립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고, 2009년 2월 23일 구지면 장학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이사장에 제갈재봉을 선출하였다. 향토를 빛낼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하여 뜻있는 면민들이 십시일반 출연, 관내 10개 단체에서 4300만 원, 3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장학회. 다사장학회는 다사읍 출신 또는 거주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적이 우수하면서도 생활 환경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학생과 각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다사읍을 빛낼 훌륭한 인재를 발굴·육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다사장학회는 2008년 지역 11명의 독지가와 문양2리 마을회로부터 3억 원의 기금을 출연 받아 2008년...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내에 있는 학습 능력 향상 지원 센터. 달성 에듀콜센터는 2012년 8월 16일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이 상담 및 학습 코칭을 통하여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청내에 개소하였다. 달성 에듀콜센터는 학습 코칭 및 상담이 필요한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습 태도 향상 프로그램...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산하에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재 발굴 및 양성 기관. 달성 영재교육원은 2004년 수학·과학 및 발명 영재를 조기 발굴하여 그들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산하에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다. 2004년부터 운영되어 온 달성 영재교육원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를 대상으로 수학과 과학, 발명 분야에 대한 영재 교육...
-
달성 복지 재단과 달성군 지역 사회 복지 협의체가 매년 주관하는 행사. 달성 복지 재단과 달성군 지역 사회 복지 협의체는 사회 복지 종사자들의 자긍심 고취 및 결속 강화를 하고 복지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2012년 9월 21일 달성군 행복복지한마당 행사를 처음 개최하였다. 2015년 달성군 행복복지한마당 행사는 10월 31일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
-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각 읍·면에 있는 공립 작은도서관 시설. 달성군은 지리 및 문화적 여건을 극복하고 지역민의 문화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각 읍·면에 공립 작은도서관을 건립하였다. 2005년 달성군청 도서관 건립을 시작으로 현재 총 11개의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달성군의 공립 작은도서관으로는 달성군청 도서관,다사읍 작은도서관, 화원읍 작은도서관, 논공읍 작은도서관, 다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청 내 도서관. 2005년 달성군민들의 풍성한 독서 문화 향유를 위하여 달성군청 내에 도서관 및 열람실을 조성하였다. 달성군청 도서관은 달성군청 문화 복지 시설 2층에 조성된 도서 대출 및 열람 공간으로, 열람실 외에 서고·도서 자료 보관실·인터넷 검색실 등의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총 면적은 332.02㎡이고, 열람실은 145.45...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에 있는 장학회. 옥포경복장학회는 학업 성적은 우수하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학생들에게 면학의 길을 열어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7월 케이비원김정도 대표 이사가 3억 원을 출연하여 설립되었으며 8월 29일 설립 등기를 완료하였다. 2009년 달성군으로부터 4억 원, 2010년 달성군으로부터 3...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봉리에 있는 장학회. 유가청담장학회는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유가청담장학회는 2008년 3월에 장학 재단 설립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김윤철 이사장의 호 청담(靑潭)을 장학회 명칭으로 해 기본 자산 3억 원으로 설립하였다. 이후 달성군으로부터 2008년 12월에 4억 원, 2010년에 3억 원을 지원받고, 2017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현내리에 있는 장학회. 정목하빈장학회는 2008년 달성군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정목하빈장학회는 생활 환경이 어려워 수학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8년 설립한 정목하빈장학회는 기본 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부리에 있는 장학회. 현풍현암장학회는 2008년 김징완 이사장이 3억 원을 기탁하면서 출범한 장학 재단으로, 매년 현풍읍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현풍현암장학회는 학업 성적은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학생들에게 면학의 길을 열어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에 현 이사장인 김징완 이사가 3억원을 출연하고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