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800429 |
---|---|
한자 | 農民 運動 |
영어공식명칭 | A peasant movement of Dalsu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일수 |
[정의]
일제 강점기 달성군 농민이 권익 옹호를 위해 조직적으로 전개한 사회 경제 운동.
[역사적 배경]
일제 강점기 농민 운동은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과 1920년 산미 증식 계획을 추진한 일제의 농업 정책의 결과로 나타난 식민지 지주제의 모순에서 비롯되었다. 달성군의 농민 운동은 1921년 10월에 가창면의 지이달(池二達), 서대수(徐大洙) 등이 가창면 농업 협동회를 조직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가창면 농업 협동회는 ‘대동단결, 최후까지 악지주에게 대항할 것', 지세 공과금 등 일제 세금 납부 거부, 부업으로 잠업 권장, 교육 기관 설치, 저축 등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또한 곡종 선택과 곡물 정제, 황무지 개간과 조림의 장려, 소작지의 평균화, 독농가(篤農家)에 대한 시상, 소작료 반분 및 소작료 운반비 부담 거부 등 소작농의 경제적 이익과 소작인 간의 협동성을 강조하는 자발적 소작인 단체였다.
[달성의 농민 운동]
가창 농업 협동회의 활동에 따라 불안해진 지주들은 1922년 7월 무렵 가창 농업 협동회 소속 소작인들의 소작지를 자신에 복종하는 소작농에게 옮기는 부당한 조치를 취했다. 그에 따라 신·구 소작인들 간에 격투가 벌어지는 등 소작권 갈등이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1923년 조선 노동 공제회 대구 지회를 변경하여 새로이 조직된 대구 노동 공제회는 농민 문제를 주요 활동 목표로 삼으면서, 지세의 지주 부담과 소작료 반분을 소작인 운동의 당면 목표로 설정하였다. 그 해 5월에는 달성군의 각 면에 소작인 조합을 결성해 나가기로 하여 1925년 3월 현재 달성군의 가창면, 성서면, 옥포면, 화원면, 논공면, 해안면, 월배면 등 7개 면에 조합이 조직되었다.
대구 노동 공제회는 농민 문제를 전담할 농민부를 새로 설치하고, 달성군 소작인 조합의 지도 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대구 노동 공제회는 1924년 12월에 대구 농민 대표회를 개최하여 지주의 소작농에 대한 수탈, 압박과 협박의 사례를 적나라하게 폭로하면서, 소작농의 지주 내지 일제 농업 정책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켰다. 이는 1925년 달성 각 면 연합의 낙작인회[소작 박탈 사건]의 조직으로 나타났다.
달성군의 소작 운동은 1922년 가창 농업 협동회의 소작지 이동 반대 투쟁을 시작으로 1923년 가창 소작인 조합의 소작료 반분, 지세의 지주 부담, 무상 노동 불응 투쟁 등을 내세우며 본격화되었다. 1924년 화원 소작인 조합의 추수 태업 투쟁이 전개되었다. 1925년에는 해안, 성서, 논공 등 3개 면에서 소작인 조합이 지세 불납 동맹을 결성해 지세 불납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에 달성군의 지주들이 소작인 조합의 소작 투쟁에 대해 소작지 이동으로 맞서고자 했으나 달성군의 각 면 소작 조합은 서로 연대하여 군 단위의 낙작인회를 결성하여 대응하였다.
[역사적 의의]
달성군의 농민 운동은 경상북도 지역에서도 가장 먼저 자발적으로 등장하였고, 대구 노동 공제회라는 사회 운동 단체와의 연대를 통해 본격적인 소작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반일 민족 운동의 주체로 성장해 나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