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창댐의 건설 개발제한구역이 되다 대구시는 일찍이 물이 부족한 도시였다. 일제강점기 대구시는 심각한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1918년 3월 31일 가창 구 정수장과 대봉 1호 배수지를 준공하였다. 1918년 2,800㎥의 용량으로 약 3만명에게 상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정수장을 건립하였지만, 이것으로 대구시민의 상수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928년 8월 25일 동아일보에는...
하루 1번 마을로 들어 온 삼천리 버스 1957~60년 마을에 처음 삼천리 버스가 들어왔다. 트럭도 올라오기 힘든 헐티로는 버스가 개통될 당시에도 돌만 가득한 도로였다. 1955년 57년 60년 다되가지고 여기 옛날에 버스를 넣기 시작해가지고 삼천리 버스라고 해가지고 버스를 넣어가지고 하루에 한번 내지 두 번 올라오고(김0생) 1952년 9월에 설립된 삼천리버스는 대구의 수성구와...
대구시 모퉁이,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1984년 동아일보에는 ‘행정구역 불편한 곳 많다’라는 제목으로 전국에 행정구역으로 인해 생활권이 바뀌어도 조정하지 않고 버스 갈아타고 군청과 도시로 출근하는 곳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첫 번째로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에 대한 이야기로 기사의 포문을 연다. 경북 달성군 가창면은 지리적으로 대구시의 한쪽 모퉁이에 위치, 대...
2012년 상수도가 들어오다 헐티로를 따라 가창댐으로 흘러 들어가는 용계천은 1급수로 보호받는 하천으로 가창댐의 원류이자 대구시민들의 지표수원이다. 그리고 이 수원을 통해 대구시의 약 36,000세대가 물 걱정 없이 깨끗한 상수도를 공급받고 있다. 수돗물 100% 공급 안되는 ‘부자동네’ 대구에서 부자들이 모여 산다는 수성구에서 수돗물이 나오지 않아 지하수를 이용하는 집이 120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