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쌍선폭포와 과부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1648
한자 雙仙瀑布- 寡婦城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 「쌍선폭포와 과부성」『한국 구비 문학』Ⅱ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4년 - 「쌍선폭포와 과부성」『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관련 지명 쌍선폭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성격 전설|성지 전설
주요 등장 인물 곽재우 장군|지역 여자|어린이
모티프 유형 성을 지켜낸 아녀자의 힘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에서 과부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쌍선폭포와 과부성」은 남편들이 전쟁 나간 사이에 남아 있는 여인들이 곽재우(郭再祐)[1552~1617] 장군을 도와 성(城)[적을 막기 위하여 흙이나 돌 따위로 높이 쌓아 만든 담]을 지켜냈기에 과부성(寡婦城)이라고 부른다는 성지(城地) 전설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광순이 편찬하고 국학 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Ⅱ에 실려 있다. 2014년 달성 문화 재단과 달성 군지 간행 위원회에서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도 같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쌍선폭포는 달성군 유가읍 음리에서 1㎞ 정도 비슬산을 향해 올라가다 왼편에 위치한다. 왼편 유가사에서 내려오는 물과 오른쪽 소재사에서 내려오는 물이 합쳐져 쌍선폭포가 되었다.

임진왜란 곽재우 장군이 이 쌍선폭포 부근을 성터로 정하고 직경 2㎞ 정도의 요새를 만들어 싸움을 했다. 남편들이 다른 지역에서 싸울 동안 여자들만 있는 성터에 왜군들이 쳐들어 왔다. 다행히 남아 있던 여자와 어린이들이 힘을 모아 싸움에서 승리하게 되었고, 그때부터 그 성을 과녀성 또는 과부성이라고 불렀다 한다.

[모티프 분석]

「쌍선폭포와 과부성」의 주요 모티프는 '성을 지켜낸 아녀자의 힘'이다. 「쌍선폭포와 과부성」임진왜란 때 활약했던 곽재우 장군의 업적과 함께 전쟁 나간 남편을 대신해 성을 지켜낸 여인과 어린이의 공로를 기리는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22 행정지명 현행화 유가면에서 유가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