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024
한자 衣生活
영어공식명칭 Clothing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는 시대별, 성별, 연령별, 용도별 복식 생활.

[개설]

의생활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일상복과 의례복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를 다시 시대와 성별, 연령별로 구분할 수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의생활은 다른 지역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일부 의례복은 마을마다 혹은 지역마다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일상복]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상복은 한복 위주의 전통 의상과 양복 위주의 현대 의상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국 사회 전반에서와 마찬가지로, 달성 지역에서도 1960년대까지는 간편화된 한복이 일상복으로 보편적이었다. 이후 서구적 생활 양식이 보편화되고, 저렴하고 관리가 용이한 섬유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양복 착용이 일상화되었다. 이처럼 달성 지역에서 시대 및 계절의 변화와 연령층에 따라서 다양한 양식의 전통 의상과 현대식 양장을 찾아볼 수 있다. 달성 지역에서는 남성복으로 일제 강점기 때 생산된 옥양목 재질의 두루마기와 광목 바지 및 적삼이 발견되고, 여성복으로 광목과 삼베로 만든 저고리, 옥양목 재질의 큰치마, 삼베로 만든 고쟁이 등이 발견된다.

광복 이후에도 한복은 한동안 일상복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부유한 가정에서는 인조와 양단으로 만든 옷을 입었고, 가난한 가정에서는 주로 광목을 사용해 옷을 장만하였다. 1960년대 이후에는 모직이나 화학 섬유가 대량으로 도입되었으며, 의복과 신발이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됨에 따라 전통적인 길쌈이 사라졌다. 남성이나 여성 모두 양복과 양장이 보편화되었고, 전통 의상은 의례시에나 입는 특별한 의상이 되었다.

[의례복]

의례용 복식은 출생 의례와 관례(冠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을 수행할 때 착용하는 의복을 가리킨다. 출생 의례용 복식은 백일이나 돌에, 관례 복식은 성인 의례에, 혼례 복식은 혼례에 사용되는 복식이다. 상례 복식은 상장례(喪葬禮) 시 유복친(有服親)의 복식이며, 제례 복식은 각종 제의를 주관할 때 착용하는 복식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의 출생 의례에 따른 배내옷, 백일복, 돌복은 다른 지역과 유사한 편이다. 명문 집성촌이 산재한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는 1980년대까지 관례와 계례(筓禮)를 행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 솔례 마을에서는 관례 때 상투에다가 망건을 두르고 갓을 착용한 후 행의(行衣)와 두루마기를 입었으며, 여성의 계례에서는 댕기 머리를 풀고 머리를 올려 비녀를 꽂고 족두리를 착용하였다.

상례와 제례에서 착용하는 복식은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다. 달성 지역에서도 상례 시 상주는 효건(孝巾)과 굴건(屈巾)을 쓰고 수질(首絰)을 매었다. 상의는 몸통에 소매를 달고 임을 길게 늘어뜨렸다. 하체에는 갓겹바지 위에 짧은 치마를 걸치고 행전(行纏)을 쳤다. 그 위에 두루마기보다 소매가 더 넓은 중단(中單)을 입고 요질(腰絰)을 매었다. 묘사(墓祀), 향사(享祀), 기제사(忌祭祀) 등에 유건(儒巾)이나 갓을 쓰고 도포나 두루마기를 착용하는 사례가 많다. 경우에 따라 양복 위에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기도 한다. 젊은 층에서는 양복이나 단정한 외출복을 입고 제례에 참석하는 경우도 많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11.12 행정지명 현행화 현풍면 -> 현풍읍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