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801509 |
---|---|
한자 | 日常服 |
영어공식명칭 | Everyday Dress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언 |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착용해 온 한복과 양복의 일상생활용 의상.
[개설]
달성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상복은 한복 위주의 전통 의상과 양복 위주의 현대 의상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국 사회 전반에서와 마찬가지로 달성 지역에서도 1960년대까지는 간편화된 한복이 일상복으로 보편적이었다. 이후 생활 양식의 변화와, 저렴하고 관리에 편한 재질의 천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의복은 양복 양식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처럼 달성 지역에서 시대 및 계절의 변화와 연령층에 따라서 다양한 양식의 전통 의상과 현대식 양장을 찾아볼 수 있다.
[전통적 일상복]
남성의 경우, 겨울철에는 무명옷과 명주옷에 솜을 넣고 팔에는 토시를 착용하였으며, 외출 시 두루마기를 착용하였고 남바위를 썼다. 여름에는 삼베옷이나 모시옷을 입었으며, 우천 시 갓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깔을 썼다. 신발로 짚신, 미투리, 가죽신, 나막신, 고무신을 신었다. 여성의 경우, 겨울에는 무명과 명주로 단속곳, 풍차바지, 속치마, 겉치마, 속저고리, 겉저고리를 입었다. 여름에는 삼베나 모시를 재료로 만든 옷을 입었다. 달성 지역에서는 남성복으로 일제 강점기 때 생산된 옥양목 재질의 두루마기와 광목 바지 및 적삼이 발견되고, 여성복으로 광목과 삼베로 만든 저고리, 옥양목 재질의 큰치마, 삼베로 만든 고쟁이 등이 발견된다.
[현대의 일상복]
해방 이후에도 한복은 한동안 일상복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부유한 가정에서는 인조와 양단으로 만든 옷을 입었고, 가난한 가정에서는 광목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옷을 입기도 하였다. 1960년대 이후에는 모직이나 화학 섬유가 대량으로 생산되면서 전통 복식을 대체하였다. 의복과 신발이 공장에서 생산됨에 따라, 전통적인 길쌈에 의한 방식도 점차 사라졌다. 남성이나 여성 모두에서 양복과 양장이 보편화되었고, 전통 의상은 의례 시에만 입는 특별한 의상이 되었다.
1970년대 달성 지역에서 여성들은 특별한 행사 때 벨벳 치마저고리와 깔깔이 치마저고리를 입은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저고리에는 옥으로 장식한 브로치를 달기도 하였다. 깔깔이는 깨끼라고도 한다. 당시에는 시장에서 옷감을 구한 뒤, 집에서 재단하여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접 만들기도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달성 지역과 같은 농촌 지역에서도 전통적인 일상복과 작업복은 사라졌다. 디자인과 기능성 면에서 서양적이고 활동적인 의복이 보편화되어, 남성의 경우 서양식의 셔츠와 바지, 여성의 경우 셔츠와 몸뻬[일 바지]가 유행하였다. 특히 여성들의 몸뻬는 1970년대부터 성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