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480
한자 達城龍鳳洞石佛立像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가사2길 39[양리 산 3-1]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5년 5월 12일연표보기 -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가사2길 39[양리 산 3-1]
성격 불상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2.8m
관리자 달성군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조 불상.

[개설]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達城龍鳳洞石佛立像)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 산 3-1번지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불이다. 비슬산 일원에는 신라 시대 이래의 많은 불교 유적과 유물이 있었는데, 불교가 융성하던 시절에는 99개의 절이 있었다고 한다.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이 있는 곳도 그 중의 하나로서 석불과 기와 조각만 산재할 뿐, 절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1416년(태종 16) 2월 9일과 1423년(세종 5) 11월 29일에 대견사 석상이 땀을 흘렸다고 조정에 보고된 기록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남아 있는데, 이 사료에 나타나는 대견사 석상이 바로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으로 추정된다.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의 조성 시기는 신체의 비례가 알맞고 풍만한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의 사실적인 묘사나, 신체의 굴곡을 잘 드러낸 부드러운 조각 기법 등으로 보아 통일 신라 시대라 생각된다.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은 화강암 판석 한 매를 사용하여 한쪽 면에 양각으로 서 있는 불상을 조성한 것으로서 왼손에 약호를 든 약사여래(藥師如來)이다. 크기는 2.8m이다. 불상의 일부가 마모되기는 하였지만 전체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약식화된 연화대(蓮花臺) 위에 조각하였으며 하부의 표현은 빈약하다. 그러나 머리는 소발(素髮)에 큼직한 상투 모양의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솟아 있으며, 풍만한 상호에 이목구비가 균형 있게 자리 잡았다. 얼굴은 풍만하고 이목구비가 균형 있게 자리 잡았다. 귀는 어깨에 닿을 정도로 길며, 목은 짧고 삼도(三道)는 표현되지 않았다.

법의(法衣)[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앞가슴을 둘러 양어깨를 덮어 입는 부처의 옷차림]이며 가슴 앞에 U 자 형태의 주름이 새겨져 있고, 두 다리에도 각각 타원형의 옷 주름이 있다. 법의 자락은 무릎 밑에서 부드럽게 마감되었다. 가슴에서 U 자 형태로 터진 옷깃은 어깨 뒤로 반전되어 넘겨졌으며, 한 줄기의 옷자락이 가슴 앞에서 약기를 받쳐 든 오른손 위로 넘겨져 있다. 왼손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 배 위에 얹어 놓았다.

광배(光背)[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배[舟] 모양으로 판석 자체를 거신광(擧身光)[부처나 보살의 온몸에서 나오는 빛] 형태로 다듬고 한 줄기 도드라진 선으로 원형의 두광(頭光)[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긴 타원형의 신광(身光)[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표현하였다. 광배의 가장자리 부분은 5구의 화불(化佛)과 불꽃무늬로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22 행정지명 현행화 유가면에서 유가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