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군인이자 행정 관료·정치인. 본관은 능성. 호는 취산(翠山)이다. 구자춘(具滋春)[1932~1996]은 1932년 5월 1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세천동 1027번지[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1027번지]에서 태어났다. 1950년 대구 사범 학교를 졸업한 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바로 군에 투신하였으며, 1954년 미국 육군 포병 학교를...
-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친일 관료. 권중식(權重植)[1892~1943]의 일본식 이름은 야마모토 시게오[山本重夫] 또는 산본승우(山本昇佑)이다. 권중식은 1892년 경상북도 달성군 성북면[현 대구광역시 북구]에서 태어났다. 1913년 11월 문관 보통 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15년 4월 조선 총독부 군 서기에 임용되어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1921년 조...
-
일제 강점기에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활동한 친일 관료. 아버지는 김종윤(金鍾潤)이며, 부인은 한정순이다.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김재환(金在煥)[1884~1950]은 1884년 6월 3일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서 태어났다. 1907년 일본오사카[大阪] 부립 시노노메[東雲學校]를 졸업하고, 1907년 9월 대한 제국탁지부(度支部) 서기 판임관(判任官)에 임명되었다. 이어 19...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관료.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서봉(西奉)이다. 김치열(金致烈)[1921~2009]은 1921년 9월 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본주오 대학[中央大學] 법학과를 졸업하고, 1943년 고문 문관 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1945년 4월 일본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도쿄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설하였다. 김치열은...
-
개항기 달성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초휘(初諱)는 김진효(金鎭孝), 자는 충거(忠擧), 호는 수암(睡巖). 아버지는 학생(學生) 김희전(金熙典), 동생은 김기식(金麒埴), 김진식(金震埴), 김구식(金求埴), 김창식(金昌埴), 김홍식(金弘埴)이다. 부인은 숙인(淑人) 인동 장씨(仁同張氏) 장석용(張錫龍)의 딸이다. 장석용의 아들은 경상 관찰사를 역임한 장승원(張...
-
개항기 달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자는 윤약(允若), 호는 낙하(落下). 증조할아버지는 김경운(金慶運), 할아버지는 김규섭(金奎燮), 아버지는 김준동(金駿東), 외할아버지는 박경오(朴慶五)이다. 김희국(金熙國)[1824~1901]은 1824년(순조 24)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에서 출생하였다. 35세가 되던 1858년(철종 9)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정치인이자 경제인.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이다. 제13대·제14대·제15대 국회 의장을 지낸 박준규(朴浚圭)[1925~2014]가 아들이다. 사위는 민주 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국회 의원을 지낸 백남억(白南檍)[1914~2001]이다. 사촌 동생 박두을(朴杜乙)[1907~2000]의 남편은 삼성...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계몽 운동가·관료. 박해령(朴海齡)[1857∼1920]은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에서 태어났다. 1907년 2월 대구 광문사(大邱廣文社)[달성 광문사] 문회가 학교 설립을 통한 교육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명칭을 대동 광문회(大東廣文會)로 바꿀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자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시작되었다. 대동 광문회 회장을 비롯...
-
일제 강점기에 달성군에서 활동한 친일 경제인. 서병주(徐炳柱)[1885~1956]의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1885년 10월 6일에 태어났다. 1913년 대구부에 도로 용지를 기부하여 조선 총독부로부터 목배 1개를 받았다. 1921년 조선 총독부의 매일 신보사가 주최한 내지 관광단[일본 관광단]에 참가하였다. 1924년 조양 무진 주식회사, 1937년 경북 상공 주식회사(慶北商工...
-
일제 강점기에 달성군에서 활동한 친일 경제인. 서병화(徐炳和)[1883~?]의 본관은 달성(達城), 일본식 이름은 달원장종(達原莊種)이다. 1883년 9월 대구부 동성정[현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에서 태어났다. 1908년 대한 제국탁지부 임시 재원 조사국 양지과 대구 출장소 기수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한 일 병합 직후인 1910년 조선 총독부 임시 토지 조사국 대구 출장소...
-
근대 달성 출신의 관료.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운오(雲五). 아버지는 서덕희(徐德禧)이다. 서상용(徐相龍)[1858~1927]은 1894년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문과 병과(文科丙科)에 급제하였다. 1894년 승정원(承政院) 가주서(假注書)에 임명되었고, 부사정(副司正)에 부임하였다. 1899년 홍문관 경연 시독관(弘文館經筵侍讀官), 1900년 비서원 비서승(秘書院秘書丞...
-
일제 강점기 달성군에서 활동한 친일파 관료. 본관은 평산(平山). 호는 성당(誠堂), 일본식 이름은 사루교쿠[申鈺]이다. 신현구(申鉉求)[1886~1975]는 1886년 9월 20일 경상북도 대구부 봉산정[현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서 태어났다. 1907년 7월 대한 제국탁지부(度支部) 세무 주사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1908년 1월 1일 재무서 주사로 임명되었다. 경술 국...
-
개항기 달성 출신의 관료이자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성석(聖錫), 호는 경재(景齋)·경도(景陶). 단양 우씨 판서공파 파조 우홍명의 손자인 우전의 12세손이며, 아버지는 우진권(禹鎭權)이다. 우성규(禹成圭)[1830~1905]는 달성에서 태어났으며, 서울에 올라와 거주하면서 이름난 사람들과 사귀면서 학문을 닦았다. 1865년 흥선 대원군이 만동묘(萬東廟)를 부수어 없애...
-
일제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자는 성민(聖玟) 또는 성천(聖天), 호는 향산(香山). 아명은 주경(周經)이다. 윤상우(尹相佑)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였다. 아버지는 윤필은(尹弼殷)이며, 작은 아버지는 윤상은(尹相殷)이다. 윤상태(尹相泰)[1882~1942]는 1882년 9월 30일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에서 태어났다. 1905년 1월 거제(巨濟) 군수에 배명되었다가...
-
1940년부터 1960년대까지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한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기업인이자 정치인. , 이순희(李淳熙)[1908~1971]는 1908년 경상북도 달성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으며, 1930년 일본도시샤 고등 상업 학교[同志社高等商業學校]를 중퇴하였다. 1946년 12월 경상북도 대구부 침산동[현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있던 조선 방직 주식회사...
-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친일 관료. 본관은 영일(延日). 일본식 이름은 오천교원(烏川僑源)이다. 정교원(鄭僑源)[1887~?]은 1887년 4월 24일 경상북도 달성군 서면[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1910년 조선 총독부 임시 토지 조사국 서기를 지냈다. 1917년 12월 경상남도 거창군 군수가 되었으며, 1921년 2월 조선 총독부 도이사관에 임명되었다. 1925...
-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친일 경제인. 진희규(秦喜葵)[1878~1959]는 한 일 병합 이후인 1911년부터 1920년까지 경상북도 참사(參事)로 복무하였다. 그 사이 1915년 10월 일본 적십자사 특별 사원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10월 대구부에 자신의 토지를 도로 부지로 기부하여 목배 1개를 받았다. 1918년 대구 은행에 자본을 투자하고 감사역이 되었다. 1919년...
-
개항기 달성 지역에서 활동한 관료이자 애국 계몽 운동가.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량(士良), 호는 자은(紫隱). 홍만조의 6세손이며, 아버지는 성균 진사(成均進士) 홍가모(洪可謨)이다. 홍필주(洪弼周)[1857~1918]는 1857년 출생하였으며, 아버지 홍가모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거주한 것으로 보아 홍필주도 강화군에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홍필주는 1896년 1월 안동...
-
일제 강점기 달성군 출신의 관료. 황영수(黃英秀)[1888~?]는 1888년 11월 27일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만촌동[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서 태어났다. 1897년 한문을 사숙하였고, 1906년 대구 사범 학교 물리·화학·산술·영어 등 초보 과정에 입학하였다. 1907년에는 대구 양잠 전습소와 대구 세무 강습소(大邱稅務講習所)에서 수학하였다. 황영수는 1907년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