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801614 |
---|---|
한자 | 百中 |
영어공식명칭 | Buddhist All Souls’ Day |
이칭/별칭 | 백중(白中),백중(百衆),백종,백종절,중원일,망혼일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집필자 | 정재영 |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행하는 세시 풍속.
[개설]
백중(百中) 은 음력 7월 보름으로, 망자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를 올리는 날인 동시에 머슴을 쉬게 하는 농업 생산 활동과 관련 있는 날이다. 이를 백중(白中), 백중(百衆), 백종(百種), 백종절(百種節),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 등이라고도 한다. 백중은 원래 불가에서 부처의 탄생, 출가, 성도, 열반일을 합한 4대 명절에 더하여 우란분재(盂蘭盆齋)가 행해지는 5대 명절에 해당된다. 달성 지역의 백중은 세벌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휴한기에 휴식을 취하는 날로서 농민들의 여름철 축제로 굳건하게 자리 잡았고,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백중놀이를 즐기면서 하루를 보내던 농민들의 명절을 뜻한다.
[절차]
달성 지역민들은 백중이 되면 백 가지 음식을 먹어야 좋다고 하여 제철 음식을 만들어 나누어 먹는다. 이날 숫자로 ‘백’이라는 말이 들어가 백 가지 음식을 먹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백설기를 만들고, 호박과 고추, 파, 부추, 깻잎 등 백중 무렵에 뜯을 수 있는 채소로 여러 종류의 전을 만든다. 이와 함께 집집마다 담가 놓은 농주를 백중에 먹는다.
다사읍 세천리에서는 약수탕에서 물을 맞으면 좋다고 하여 부녀자들이 물을 맞으러 간다. 현풍읍과 구지면에는 '쇠미꼬지'라는 풍습도 있었다. 보통 봄부터 가을까지 산에 방목하여 소를 키웠는데, 백중에도 소를 먹이러 산에 가며, 이날은 특별히 볶은 콩이나 밀, 생감자 등을 들고 간다. 감자는 구워 먹는다.
백중날 은 목동들이 모여 놀다가 일찍 소를 몰고 귀가하는데, 이날 늦게 소를 몰고 들어오면 소꼬리에 귀신이 붙어 소가 죽는다는 믿음 때문이다. 나이가 든 목동들은 어린 목동을 놀린다고 소꼬리에 귀신이 붙었다고 소리치면서 소를 두들겨 패야 귀신이 떨어진다고 일러 주면, 영문도 모르는 어린 목동은 자기 소를 두들겨 패고 소는 도망을 다니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근래에는 백중 무렵이 되면 이러한 세시 풍속보다 야유회나 관광을 많이 간다. 노인들이 많은 농촌에서 노인회나 화목계 등의 조직에서 적립한 자금과 관공서의 지원을 받아 관광버스를 대절하여 야유회를 떠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달성 지역에서는 집집마다 만든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 백 가지 음식을 먹을 수 있다고 하여 각자 만든 음식을 강가나 마을 앞 정자나무 밑, 재실 등에 가지고 나와 나누어 먹었다. 이것을 '풋굿' 혹은 '회취'라고 하였다.
또한 7월 칠석 무렵에 애벌 논을 매고 나서 일꾼들은 술을 마시고 놀며, 백중 무렵에 세벌 논을 다 매고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노는데, 이것을 '꼼베기 먹는다'고 하였다. 논을 맨 일꾼들이 '깨이말'이라 하여 소를 타거나 가마를 타고 풍물을 치면서 들어오면 논 주인들이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하였다. 아이들은 소를 먹이면서 밀이나 콩을 볶아 나누어 먹는다. 이것도 '꼼베기 먹는다'고 하였다.
이렇듯이 백중은 오래 전부터 농사일에 지친 머슴과 농부들이 쉬는 명절로 자리 잡아 왔다. 달성 지역에서도 이때를 머슴날 혹은 머슴 명일이라고 하였다. 백중에는 머슴들에게 옷값, 신 값, 담뱃값, 놀이 돈을 주어 며칠간 놀도록 하였다. 요즈음은 머슴이 없어 이런 풍습은 사라졌지만 자작 농부들이 깨끗한 옷이나 새 옷을 장만해 입고 노는 풍습은 최근까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