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동기시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0349
한자 靑銅器時代
영어공식명칭 Bronze age
이칭/별칭 청동 시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윤정식

[정의]

달성 지역에서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기의 역사와 문화.

[개설]

청동기시대는 인류 역사의 발달 과정을 사용한 도구의 재료를 기준으로 나눈 3시대, 즉 석기 시대·청동기시대·철기 시대 가운데 하나로, 청동기가 생산되어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철기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때까지를 가리킨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 전 기간 동안 간석기를 병용해서 사용하였고, 철기가 일반화되기 이전인 초기 철기 시대에도 청동기를 병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 문화상은 비파형 동검과 거친 무늬 거울, 고인돌로 대표된다. 또한 청동기인들은 앞선 시기와 달리 구릉 지대에서 생활하였고, 민무늬 토기의 유적에서 곡물의 흔적이 보이는 것이라든지 반달 돌칼, 세모 돌칼과 같은 농구가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보다 훨씬 안정된 농경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의 달성]

오랫동안 계속된 신석기 시대는 청동기가 유입, 사용됨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즉 빗살무늬 토기 대신에 민무늬 토기[無文土器]가 등장하였고, 이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일 뿐 아니라 이 시대의 성격을 특징짓는 유물이기도 하다. 초기 민무늬 토기는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서 발원한 송화강 유역에 걸쳐 분포하며, 농경 문화와 함께 한반도 남쪽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 유적은 강을 따라 형성된 평야의 언덕진 야산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달성 지역 가운데 민무늬 토기 유적이 발견된 곳은 이전의 달성 지역인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월성동 구릉 일대와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구릉,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 구릉 등이다. 특히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구릉은 낙동강의 충적 평야에 고립된 곳인데, 현재 유원지로 조성된 구릉의 서남쪽 경사지에 고분 떼와 더불어 민무늬 토기와 홈자귀 등의 파편이 산재하고 있어 청동기시대에 이 지역에서도 농업을 기반으로 한 집단이 정착하여 생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호강의 소지류인 신천, 팔계천, 동화천, 율하천, 욱수천 유역과 낙동강으로 직접 유입되는 달서구 진천천, 성당천 유역의 낮은 구릉지와 충적지 및 선상지에 고인돌과 집자리를 포함한 대규모 마을 유적들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최근 재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조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달성군의 청동기시대 문화상이 보다 많이 밝혀지고 있다.

[달성 지역의 고인돌]

청동기시대의 무덤으로는 고인돌이 지배적이었다. 고인돌은 선돌과 함께 일종의 거석 문화로 알려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고인돌 밀집 지대의 하나이다. 경상도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남방식' 고인돌의 대명사로 불릴 만큼 달성 지역과 대구 일대에는 많은 고인돌이 남아 있었다. 8·15 광복 전에는 대구역과 달성 부근에 고인돌이 많이 유존해 있었고, 서남쪽의 달성군 화원읍 도로 부근에는 고인돌이 약 2㎞에 걸쳐 있었으며, 동남쪽으로는 대구 중구 봉산동, 대봉동에서부터 수성구 수성동 사이에 고인돌이 줄지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도시의 확장에 따른 시가지의 정비로 대부분 파괴되어 버렸고, 현재는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냉천리, 논공읍 금포리, 구지면 고봉리·평촌리, 유가읍 금리·유곡리·양리, 화원읍 천내리, 옥포읍 간경리 등지의 고인돌이 알려져 있다. 이렇게 고인돌이 밀집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미루어 달성 지역 여러 곳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많이 살았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29 행정지명 현행화 옥포면에서 옥포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2019.04.24 행정지명 현행화 유가면에서 유가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