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새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801727
영어공식명칭 Bird's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오산1리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4년 - 「새노래」 이도금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새노래」『대구의 뿌리 달성』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
가창권역 경상북도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 구분 유희요
가창자/시연자 이도금[여, 1920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에서 새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개설]

「새노래」는 영남 지방에서만 불려진 민요로 알려져 있으며, 온갖 조류와 고사를 연관시켜 그 생긴 모양이나 울음소리 등의 특징을 노래로 불렀다. 명조(名鳥)에서 부터 잡조(雜鳥)에 이르기까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새들과의 교감을 노래하거나 새를 통해 서정에 잠기기도 하였다. 「새노래」는 민요지만 널리 전파되어 판소리에 삽입되어 불려지기도 했다. 새를 소재로 한 민요는 「새타령」과 「새노래」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달성군에서는 「새노래」가 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4년 간행한 『대구의 뿌리 달성』에 실려 있다. 이는 1994년 달성군 풍산면 오산 1리에서 이도금[여, 당시 74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새노래」는 비교적 짧은 노래이다. 먼저 '새야 새야' 구절과 같이 새를 부르고, 다음에 부엉새, 뻐꾹새, 비단새 등 세 종류의 새와 특징을 노래한 후 '어디 가 자고 왔노'라고 묻는 것으로 노래를 마무리한다.

[내용]

새야 새야 비엉새야/ 이찌밭에 비엉새야/ 올새비단 뻐꾹새야/ 남국화초 비단새야/ 그치옷을 떨치 입고/ 니 어디 가 자고 왔노/ 동쪽 서쪽 뻗은 가지/ 재자식이 자고 왔소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한국인은 일찍부터 새를 노래하였는데, 고구려유리왕(琉璃王)이 지었다는 「황조가(黃鳥歌)」를 비롯해서 고려 시대의 「청산별곡(靑山別曲)」에서도 새에 대해 노래한다.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으로서도 손색이 없는 「새타령」과 「새노래」도 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달성군의 「새노래」는 비교적 짧은 노래이지만, 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세 종류의 새를 등장시켜 그 특징을 서술하고 있어 문학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