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태겸(泰兼), 호는 가은(稼隱)이다. 강순항(姜順恒)[1745~1830]은 어려운 가정 형편에도 불구하고 50여 년간 어버이를 지극정성으로 봉양하여 고을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한 하늘이 낸 효자이다. 일곱 살 때는 이웃의 잔치에 갔다가 과일을 가슴에 품고 와서 어버이에게 드렸다. 비록 집안이 가난해 글을 배우지는 못하였지만 어...
-
조선 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현풍(玄風). 아버지는 선비 곽재훈(郭再勳)이다. 곽재훈은 곽결(郭潔)을 비롯한 곽청(郭淸), 곽형(郭泂), 곽호(郭浩)라는 네 아들을 두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곽재훈이 살던 마을도 왜적의 침략으로 참화를 입게 되었다. 그래서 곽재훈의 네 아들은 아버지를 데리고 마을의 동쪽에 있는 유가산의 동굴 속으로 피란을 갔다....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현풍(玄風). 자(字)는 순서(舜瑞). 아버지는 곽문만(郭文滿)이다. 곽경성(郭景星)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자질을 갖고 있어 언제나 어머니를 편안하게 하였다. 나이 10살이 되기도 전부터 부모님이 즐겨하는 것이라면 비록 뇌성벽력(雷聲霹靂)이 치는 캄캄한 밤이라도 반드시 구해 주었다. 곽경성의 이러한 행동은 아버지가 위독하였을 때도 그대로 나타났다...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현풍(玄風). 아버지는 소계(蘇溪) 곽주(郭澍)[1569~1617]이다. 곽주의 둘째 아들 곽의창(郭宜昌)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효성을 보였다. 곽의창이 다섯 살이 되던 해 아버지가 병이 들어 눕자 밤낮으로 그 곁을 떠나지 않고 간호하였다. 어느 날 한 손님이 아버지를 문병하러 오자 눈물을 흘리며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 형제는 항상 아버님을 곁...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현풍(玄風). 아버지는 안음 현감(安陰縣監) 곽준(郭䞭)[1551~1597]이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 당시 곽준은 안음 현감으로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켰다. 당시 곽준의 상관이던 백사림(白士霖)은 산성을 둘로 나누어 험준한 북쪽은 자신이 지키고, 평지에 가까운 남쪽은 곽준이 지키도록 하였다. 그러자 왜적들은 당연히 험준...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덕중(德中). 증조할아버지는 모하당(慕夏堂) 김충선(金忠善)이고, 아버지는 김진명(金振鳴)이다. 김여삼(金汝三)은 타고난 성품이 어질고 인정이 많은 사람으로 효성이 비할 데 없이 극진하였다. 어버이가 머무는 데는 혼정신성(昏定晨省)[밤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부모님의 밤사이 안부를 물음]의 예절로 깍듯이...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군칙(君則), 호는 삼감(三柑). 할아버지는 모하당(慕夏堂) 김충선(金忠善)이고, 아버지는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증직(贈職)된 김경원(金敬元)이다. 김진영(金振英)은 타고난 심성이 효성스러워 여덟 살 때 할아버지의 상중(喪中)에 빈객을 맞는 예절이 법도에 어긋남이 없어 절제사(節制使)[정삼품] 이운(李雲)이 극구 칭찬하였다...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도(淸道). 호는 순재(純齋)이다. 김처정(金處精)은 어려서부터 자질이 특출하고 남달리 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효성이 지극해서 세인들의 칭송을 받았다. 아버지가 불치의 병으로 30년간 신음하였다. 김처정은 그런 아버지를 10년간 밤낮으로 정성껏 약시중을 들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병세는 더욱더 나빠져서 음식도 먹지 못하고 20년간 사람의 젖만...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성장(聖章). 장릉 사칠신(莊陵死七臣)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김문기(金文起)[?~1456]의 후손이다. 김형규는 타고난 자질이 효성스러워서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명을 어긴 적이 없었다. 홀로 있는 어머니를 모시고 살면서 출타할 때는 반드시 알린 다음에 갔고, 돌아와서는 어머니를 만나러 가서 보는 데 반드시 시각을...
-
조선 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박득춘(朴得春)은 1530년(중종 25)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대구도호부 관할 하의 해안현(解顔縣) 사람으로 어버이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다. 박득춘은 부친상을 당하여 장례를 치른 뒤에 묘소 곁에 여막을 짓고 삼 년 동안 시묘(侍墓)를 살았다. 그 거처하는 모습과 곡읍(哭泣)하는 형상을 보고 사람들은 모두 유교적인 예법과...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 도호부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입지(立之), 호는 전귀당(全歸堂). 증조할아버지는 교관(校官)을 지낸 서우(徐遇), 할아버지는 주부(主簿)를 지낸 서언겸(徐彦謙)이다.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서행원(徐行遠), 어머니는 신천 강씨(信川康氏)이다. 서시립의 부인은 민충보(閔忠輔)의 딸 여흥 민씨(驪興閔氏)와 호군(護軍) 김희신(金希信)의 딸...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칠(景七), 호는 만회(晩悔)이다. 송병규(宋炳圭)는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우면서도 매사에 분명한 사람이었다. 어머니가 병으로 위독하여 거의 죽을 지경이 되자 송병규는 자신의 손가락 끝을 베어 그 피를 수혈하여 다시 되살아나게 하였다. 그런데 삼 일이 지난 후 다시 모친의 목숨이 경각에 이르자 송병규는 재차 자신의 손가락을...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자(字)는 문로(文老), 호(號)는 사성당(四省堂)이다. 후덕한 성품의 윤재훈(尹載勳)은 형제간에 우애는 물론 어버이에 대한 효성도 지극하였다. 오륙 세 때 밖에서 놀다가 홍시나 밤을 주우면 가슴에 품고 와서 어버이에게 주고 반드시 다 먹는 것을 보고서야 물러 나왔다. 1886년(고종 23) 어머니가 죽자 슬픔이 극도에 달하였으나...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정보(靖甫), 호는 금재(琴齋). 증조할아버지는 어모장군(御侮將軍)[정삼품] 정세검(鄭世儉)이고, 할아버지는 임하(林下) 정사철(鄭師哲)이고, 아버지는 낙애(洛涯) 정광천(鄭光天)[1553~1594]이다. 정기(鄭錡)[1574~1642]는 어려서부터 과거 시험을 통해 벼슬자리에 나가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오로지 가통...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호는 주헌(晝軒). 증조할아버지는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봉된 정종(鄭種)[1417~1476]이고, 할아버지는 호군(護軍)[정사품]을 지낸 정예운(鄭禮耘)이며, 아버지는 정세검(鄭世儉)이다. 정사민(鄭師閔)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어렵게 자랐다. 정사민은 타고난 심성이 착하여 부모에 효도하고 동기간에 우애하여 아...
-
개항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성옥(成玉), 호는 필암(必庵)이다. 제갈남학(諸葛南學)[1847~1903]은 어버이의 봉양에 있어 하루도 거르지 않고 손수 밥상을 들여가서 식사가 끝날 때까지 무릎을 꿇고 시중을 들었다. 제갈남학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외쪽으로 남은 홀어머니를 모시는 데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으로 자리에 누워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자...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의길(義吉), 이름은 채안(蔡安)이고 채굉(蔡宏)은 아명(兒名)이다. 아버지는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증직된 채원희(蔡元禧)이다. 채굉[1568~?]은 효성이 지극하여 어버이가 살아 있을 때는 봉양에 정성을 다하고 부모를 욕되게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입신양명(立身揚名)하여 부모의 이름을 빛나게 하였다. 아버지의 상(喪)을...
-
개항기 달성 출신의 효자. 본관은 예산(禮山). 자는 양여(養汝), 호는 예산이다. 허호(許浩)[1824~1892]는 어렸을 때부터 총명하고 온순하였다. 아버지가 일찍 세상을 뜨자 남편을 여윈 충격으로 시력이 약해져 앞을 보지 못하게 된 어머니를 봉양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병환으로 누워 있는 어머니가 엄동설한(嚴冬雪寒)에 때 아닌 배를 먹고 싶다고 하자 백방으로 돌아다니며 배를...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전의(全義). 아버지는 이명후(李命厚)이다. 선비 곽내용(郭乃鎔)의 처 전의이씨(全義李氏)는 어려서부터 집안에서 『효경(孝經)』을 익혀 어른을 봉양함에 빈틈이 없어 일가친척들로부터 칭송이 자자하였다. 하지만 이씨는 나이 19세에 결혼을 한 지 불과 6개월 만에 남편이 세상을 떠나는 불운을 겪어야 하였다. 그래서 더 이상 세상을 살아갈...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선비 권일(權鎰)이다. 통덕랑(通德郞) 곽수형(郭壽亨)의 처 권씨가 혼례를 치른 지 1년도 되지 않아 곽수형이 중병에 걸렸다. 그러자 이제 갓 시집을 온 부인인 권씨는 남편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으로 약을 구하였다. 하지만 남편은 병이 낫기는커녕 오히려 깊어 갈 뿐이었다. 다...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거창(居昌). 아버지는 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된 신희양(愼希讓)[1536~1583]이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존재(存齋) 곽준(郭䞭)[1551~1597]은 안음 현감(安陰縣監)으로 두 아들 곽이상(郭履常)·곽이후(郭履厚)와 함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장렬히 최후를 마쳤다. 곽씨 집안...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광주(廣州). 아버지는 권관(權管)[종구품] 이심옥이다. 계공랑(啓功郞)[종팔품] 곽재기(郭再祺)의 처 광주이씨(廣州李氏)는 어려서부터 효성과 예절이 법도에서 한 치도 어긋남이 없었다. 임진왜란 때 침략해 온 왜구를 만나자 필시 몸이 더럽혀질 것을 알고 스스로 강물에 뛰어들어 자결하였다. 그 딸에 그 어머니라고 했던가. 당시 같은 처지...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계공랑(啓功郞)[종팔품] 박경(朴璟)이다. 선비 곽홍원(郭弘垣)의 처 밀양박씨(密陽朴氏)는 어느 날 강도가 집에 쳐들어와 남편을 칼로 찌르려 하자, 그 순간 남편의 앞을 가로막으며 강도의 칼날을 자신의 몸으로 받았다. 그로 인해 남편은 무사하였지만 박씨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입었다. 하지만 박씨는 임종을 맞...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안동(安東) 사람인 김연묵(金鍊默)의 처 고령김씨(高靈金氏)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늙은 시어머니를 지성껏 봉양하였다. 뜻밖에 시어머니가 눈병이 들어 앞을 보지 못하게 되자 더욱 극진히 봉양하였는데, 바깥나들이 때는 업고 다녔으며 밥을 먹을 때는 “이것은 무슨 반찬(飯饌)입니다.”라고 하면서 시중을 들었다. 그 후 김씨가 병이 들어 시어머니보다...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성주(星州) 사람인 김학래(金學來)의 처 청도김씨(淸道金氏)는 어려서부터 어진 성품과 단정한 행실, 지극한 효성으로 집안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하였다. 결혼 후 남편이 젊은 시절에 다른 사람의 유인(誘引)에 말려들어 하는 일 없이 세월을 헛되이 보내어도 오히려 온화하고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더욱 공손하게 대하였다. 그리고 남편이 칠팔 년 동안 가산...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김해(金海) 사람인 김호두(金昊斗)의 처 충주석씨(忠州石氏)는 결혼한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이 질병에 걸려 사경에 이르게 되자 자신의 손가락 끝을 베어 일주일간이나 그 피를 먹게 하여 남편의 생명을 연장시켰다. 젊은 나이로 청상과부가 된 석씨는 가난한 살림살이에도 불구하고 개가(改嫁)를 하지 않고 오로지 하나 남은 자식을 키우는 데 엄청난 공...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본관은 순천(順川). 아버지는 이충경(李忠敬)이다. 도성유(都聖兪)[1571~1649]의 8대손 도진극(都鎭極)의 처 순천이씨(順天李氏)는 나이 26세 때 남편과 사별하고 후사를 잇지 못함에 애통해 하며 남편의 장사를 치른다. 이씨는 모든 예식과 절차에 성의를 다한 뒤에 친정집과 시집의 부모님께 애틋하고 절절한 마음을 담은 유서를 남기고...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본관은 아주(鵝洲). 아버지는 신달모(申達謨)이다. 1776년(영조 52) 서재공(鋤齋公) 도여유(都汝兪)의 6대손 도필상(都必祥)의 처 아주신씨(鵝洲申氏)는 일찍이 남편을 여의고 후사마저 없어 자결하였다. 이에 평소 성격이 온후하고 인심이 후덕하던 주인의 은덕을 잊지 않고 노비 설만(雪滿)이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비용을 마련하여 극진히 장...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본관은 월성(月城). 아버지는 최진극(崔鎭極)이다. 도성유(都聖兪)의 6대손인 사인(士人) 도필해(都必海)의 처 월성최씨(月城崔氏)는 겨우 나이 스무 살에 남편을 여의게 되었다. 남편이 죽고 홀로 남은 어린 미망인에게 쏟아지는 동정 어린 조문(弔問)에 최씨는 남편을 따라 죽고 싶었으나 때마침 임신 중이라 그럴 수가 없었다. 그래서 유복자를...
-
조선 후기 경상도 현풍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포산(苞山). 아버지는 존재(存齋) 곽준(郭䞭)[1551~1597]이다. 류문호(柳文虎)의 처 포산곽씨(苞山郭氏)는 곽준의 딸이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자 곽준은 안음 현감(安陰縣監)으로 두 아들 곽이상(郭履常)·곽이후(郭履厚)와 함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에 맞서 장렬히 싸우다 최후를 마쳤다. 황석...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밀양(密陽) 사람인 박지운(朴之運)의 처 창녕성씨(昌寧成氏)는 나이 18세에 혼례를 치른 지 얼마 안 되어 남편이 죽었다. 그러자 비통한 마음에 눈을 감고 아무것도 보지 않으며 입을 닫고 곡기를 입에 넣지 않았다. 그런 성씨의 모습이 너무나 애처로워 시아버지가 미음을 마시고 기운을 차려 눈을 뜰 것을 권하자 이렇게 말하였다. “지아비가 이...
-
개항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효자. 서덕희(徐德禧)의 처 경주(慶州) 최씨(崔氏)는 효성으로 가난한 살림살이에도 불구하고 시부모의 명이라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반드시 순종하여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최씨는 장한 며느리일 뿐만 아니라 훌륭한 어머니로 자식들을 올바르게 훈육하여, 아들인 서상용(徐相龍)[1858~1927]이 1894년(고종 31)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
고려 후기 경상도 성주목 화원현 출신의 열녀. 본관은 진양(晉陽). 아버지는 고려 때 상서(尙書)를 지낸 강유곤(姜裕昆)이다. 충주(忠州) 사람인 석귀홍(石龜泓)의 처 진양강씨는 빼어난 미인으로 담소한 성품에 올곧은 지조를 지닌 여자였다. 강씨가 나이 열세 살에 혼례를 올렸는데, 겨우 한 달 만에 석귀홍이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그러자 강씨는 남편의 장례를 치른 후 스스로 목숨을...
-
조선 후기 경상도 대구도호부 출신의 열녀.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김치목(金致穆)이다. 은진 송씨(恩津宋氏) 효정공파(孝貞公波) 21대손 송인식(宋仁植)의 처 경주김씨(慶州金氏)는 90세 노령의 시아버지가 병들자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고 기도하며 지성으로 돌보았으나 차도가 없었다. 그러자 시아버지의 병구완을 위해 엄동설한(嚴冬雪寒)에 눈 덮인 산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해 주고...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열녀. 순조(純祖) 말년,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에 이씨 낭자(李氏娘子)가 살고 있었다. 어느 여름날 아버지가 병중에 외출하여 어머니가 죽을 끓여 아버지가 있는 곳으로 가지고 갔을 때 뜻밖에 집에 불이 났다. 겨우 열두 살 어린 나이의 이씨 낭자는 타오르는 불길 속에서 자기 몸으로 젖먹이 남동생을 감싸서 살려 내었지만 정작 자신은 타 죽고 말았다. 이 고을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