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김욱진의 시. 「2009, 유가 들녘」은 2010년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로, 2009년에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유가 들녘이 테크노 단지로 산업화하는 시련을 그리고 있다. 이 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 지역에서 땅을 부치며 순박하게 살아가던 사람들이 테크노라는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마모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 과정을 토속적 방언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장정일의 시. 「강정 간다」는 1984년 무크지 『언어의 세계』에 발표한 장정일(蔣正一)[1962. 1. 6~]의 등단작으로, 일상의 삶을 벗어난 세계로 상정된 '강정'은 삶의 고달픔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은 욕구로 만들어진 상상의 세계이다. 이 시에서 삶의 고달픔을 견디기 위해 시적 자아는 강정 가기를 항상 꿈꾸고 있다. 시적 화자가 울적하고 찌그러진 생...
-
달성군과 매일 신문사가 공동 주최하고 달성 문화 재단이 주관한 다큐 뮤지컬. 2013년 9월 27일과 28일 이틀 동안 달성군 화원읍 낙동강 사문진 나루터에서 펼쳐졌다. 피아노가 우리나라 최초로 사문진 나루터를 통해 유입된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만든 작품이다. 1900년 3월 26일 미국인 선교사 리처드 사이드보텀(Richard Sidebotham)[한국명 사보담]이 아내 에피를...
-
1996년에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작가 장정일이 발표한 소설. 「내게 거짓말을 해 봐」는 1996년에 발표된 소설이다. 한국에서는 외설 시비를 일으키며 장정일(蔣正一)[1962. 1. 6~]이 음란 문서 제조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를 선고받게 한 작품이다. 그러나 국내의 이와 같은 상황과는 달리 일본에서 발간되는 등 해외에서 더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이 소설은 당대 통념이나 윤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상징하고 대표하는 공식적 노래. 「달성 군민의 노래」는 대구의 뿌리인 달성군의 자연과 역사를 기리고 현재의 번영을 길이길이 누리고자 하는 군민의 기상과 염원을 담고 있는 노래이며 견일영이 작사하고 임우상이 작곡하였다. 「달성 군민의 노래」는 2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렴 두 구절은 반복된다. 1절은 비슬산과 낙동강으로 둘러싸인 달성군의 자연과 역사를, 2절은 사통...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이세진의 시. 「달성, 꽃피다」는 2010년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꽃 피는 계절 봄이 옴에 따라 그 자연을 닮아 순박하게 살아가는 달성군의 군민들도 봄의 꽃처럼 피어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작품이다. 이 시는 '봄에 꽃이 피어난다는 것'을 여러 가지 다양한 의미로 확장하는 중의법을 사용하고 있다. 달성에 꽃이 피는 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신표균의 시. 「도동서원 은행나무」는 2010년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이다. 400여 년의 수명을 지닌 도동서원(道東書院)의 은행나무를 소재로 하여 잃어 가는 우리 조상들의 삶의 자세, 유학자적 풍모를 일깨우고 있다. 총 4연으로 구성된 이 시는 400년간 이 땅을 지켜 온 은행나무의 겸허한 삶의 자세가 어떠한 이유로부터 비롯한 것인지를 드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김욱진의 시. 「도성암 가는 길」은 2009년 『비슬산 사계』에 수록된 시로, 비슬산에 대한 애정을 불교적 상상력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는 선명한 이미지와 은유적 수사가 뛰어난 시이다. 동해의 햇살, 산새 한 마리, 산사의 종소리, 비슬산 돌부처, 햇살에 버무려지는 허공 등의 시어들은 밝고 깨끗한 이미지들로 도성암(道成庵) 가는 길의 느낌을 선명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서지월의 시. 「비슬산 참꽃」은 2009년 『달성 문학』 창간호에 수록된 시로, 참꽃[진달래]을 소재로 하여 시련의 역사를 꿋꿋하게 살아온 우리 민중의 모습을 그려 내고 있다. 참꽃은 두 가지 삶을 은유하고 있다. 하나는 "얄리 얄리 얄라셩"으로 연상되는, 청산에서의 삶을 꿈꾸는, 그러나 실상 고통스러운 현실을 살아야 하였던 우리 민중들의 삶의 역사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권영시의 시. 「비슬산 춘설」은 2010년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로, 인간사에 의해 더럽혀진 세상을 깨끗하게 보존하려고 하는 '비슬산 춘설'의 기획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시는 눈이라는 소재가 가진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해서 자연이 세상에, 인간사에 경고의 신호를 보내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눈은 우선 하얀 색깔의 소재로 깨끗한 이미지를 가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김욱진의 시. 「산사 음악회」는 2010년 간행된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되어 있는 시로, 불교적 시각에서 오염된 인간사를 날카롭게 통찰하고 있다. 이 시는 부처의 삶과 그 정신을 기리기 위한 인간들의 몸짓이 그저 하나의 소란에 불과하다는 것을 풍자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인간의 "부처의 호명"이 그저 하나의 의식[전례]에 불과하다는 의미를 내포한...
-
일제 강점기에 달성 사문진 나루터에서 일부 촬영한 흑백 통속 영화. 「애련송」은 1936년 제1회 『동아 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당선작이며 『동아 일보』에 1937년 10월 5일부터 12월 14일까지 5회 연재된 최금동의 작품을 김유영이 연출하였다. 극예술 연구회는 『동아 일보』의 후원을 받아 김유영과 양세웅을 초빙해 연출과 촬영을 맡겨 1937년 10월 23일 영화 촬영을 시작...
-
2011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시인 박재희가 발표한 시. 「와우산성(臥牛山城)」은 2011년에 『달성 문학』 3집에 발표한 박재희[1956~]의 시이다. 「와우산성」의 주요 소재인 '와우산성'은 누운 소의 형상을 띠며, 비슬산 북서쪽 해발 700m에 위치한다. 대가야의 유물이 많이 출토된 유적지이며, 임진왜란 때 장군 곽재우(郭再祐)[1552~1617]가 왜군을 맞아 싸운 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신표균의 시. 「우록동 밤티못」은 2010년 간행된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로, 우록동 밤티골 밤티못의 신비한 유래를 통해 그 고장의 자연과 사람들이 맑고 깨끗하고 순박하다는 것을 의미화하고 있다. 이 시는 신화적인 상상력으로 우록동 밤티못을 신령하고 신비한 내력을 지닌 장소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는 우록동 밤티골에 연못이 생겨난 유래담이다...
-
대구 출신의 이규환이 일제 강점기에 달성 사문진 나루터에서 촬영한 흑백 무성 영화. 유신 키네마사가 제작한 35㎜ 흑백 무성 영화로 1932년 9월 18일 단성사(團成社)에서 개봉하였다. 개봉 후 큰 인기를 얻었으나 조선 총독부에서 영화 내용 중 반일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일부를 삭제하였다. 원작·각본·감독을 맡은 이규환(李圭煥)이 일본에서 영화를 공부한 후 귀국하여 제작...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문소윤의 시. 「참꽃 피다」는 시인 문소윤의 또 다른 작품인 「참꽃 군락지에서」와 함께 2012년에 간행된 『달성 문학』 제4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꽃의 개화와 처녀의 성장을 동일시하는 은유의 수사를 보여 준다. 이 시는 봄을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봄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니다. 봄이 오면 비슬산의 참꽃은 아름답게 필 것이다. 참...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박재희의 시. 「천사 2」는 2010년 『달성 문학』 제2집에 수록된 시로, 1960년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에 실제 있었던 '고장구'라는 걸인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이 시는 이름 없이 살아간 사람들, 그중에서도 가장 비천하고 주변적인 사람, 세상에서 소외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 걸인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이 시는 1960년대 근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시인 장정일의 시. 「햄버거에 대한 명상」은 1987년에 시집 『햄버거에 대한 명상』에 수록된 장정일(蔣正一)[1962. 1. 6~]의 시이다. 햄버거로 대변되는 미국 자본주의가 우리 삶에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고, 소비 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현대 문명을 풍자하였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층위가 병렬적으로 이루어진 시이다. 일단, 시와 요리의 서로 다른 장르가...
-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인 박광석의 문집. 박광석(朴光錫)의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중익(仲翼), 호는 노포(老圃)이다. 1764년(영조 40)에 출생하여 1845년(헌종 11)에 사망하였다. 1795년(정조 19)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감찰·남포 현감(藍浦縣監)·부교리·동부승지·호조 참의·안변 부사(安邊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노포집(老圃集)』은 19...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달성 지부에서 발행하는 문학 연간지. 『달성문학』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저명한 작가들의 시와 수필, 동화, 소설, 시조 등을 싣고 있다. 이들 작품들은 달성군의 자연과 문화, 인물, 유적 등을 소재로 지역 민초들의 향토적인 삶을 생생하게 그려 내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지닌 소재들을 활용하여 달성군이 문학의 고장임을 대외적으로 인식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달성군 노인 복지관이 주관하고 달성 시니어 문학에서 발행하는 문학지. 2011년에 창간된 『아름다운 울림』은 문학을 좋아하는 달성군 거주 노인들이 참여하여, 각기 살아온 삶의 이력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싣고 있는 문집이다. 문학적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살아온 경륜을 담은 진솔한 삶의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싣고 있는데, 수필과 생활문, 기행문, 시, 시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공원. 100년달성뿌리광장은 2015년 5월 달성군 개청 100주년을 기념하고, 다가올 100년을 상징하기 위하여 달성군청 앞의 강림지[구 금포 수변 공원]를 새로이 리모델링하여 준공하였다. 100년 타워, 인공섬, 정자, 바닥 분수, LED 조명을 갖추고 있으며, 100년달성뿌리광장 내 100년 타워가 있는 인공섬은 기존 육각정과 다리로 연...
-
달성 문화 재단이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사문진 나루터에서 매년 개최하는 피아노 콘서트. 우리나라의 최초의 피아노는 미국 선교사인 리처드 사이드보텀(Richard Sidebotham)[한국명 사보담]이 1900년 3월 26일 달성군 화원읍 사문진 나루터를 통해 들여왔다. 한국 최초의 피아노가 달성군 사문진 나루터를 통해 유입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2012년 10월 6일 오후 7시...
-
1948년 2월 7일 달성군을 비롯한 남한 지역에서 좌익 세력의 주도로 일어난 파업 사건. 미군정에 의해 불법화된 남로당과 민주주의 민족 전선은 1948년 5월로 예정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 총선을 앞두고 미군정 지역에서 단독 선거가 실시되어 단독 정부가 수립되는 것을 반대하여 1948년 2월 7일을 기해 전국적인 대규모 파업을 일으켰고, 이 파업 중 일부가 과격화되어 경찰과 물리적...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하리에서 3대에 걸쳐 70여 년 동안 지속해 온 현풍 곰탕의 원조 식당. 현풍 곰탕은 해주 곰탕, 나주 곰탕과 함께 전국의 삼대 곰탕으로 알려져 있다. 현풍 곰탕의 원조집은 1940년대에 조그만 밥집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와 중국, 미국 등의 해외에도 진출한 대구와 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향토 음식점 가운데 하나로 성장하였다. 곰탕은 예로부...
-
1960년 4월 달성군을 비롯해 전국의 학생들과 시민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민주·민족 운동. 한국 전쟁 이후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은 이승만 단일 체제를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하여 1956년 정부통령 선거에서는 관권의 개입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 당시 대구는 대표적 야당 도시로서 “못 살겠다 갈아보자”라는 민주당의 선거 구호가 대중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었다. 민주당 대통령...
-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북한]이 발발한 전쟁에 대한 달성군의 상황. 6·25전쟁이 발발한 1950년 6월 25일 이후 7월 14일 육군 본부가 대구로 이전하였고, 7월 16일 피난 정부도 대구로 후퇴하였다. 달성군은 8월 1일부터 구축된 낙동강 방어선에 힘입어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는 크게 입지 않았다. 특히 왜관-다부동 전투, 창녕-영산 전투, 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박곡리를 연결하는 다리. 88 올림픽 고속 국도 상의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이기 때문에 88 낙동강교로 명명하였다. 1984년 6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서 경상북도 고령군을 거쳐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1984년 개통 당시 구간]에 이르는 88 올림픽 고속 국도[현재 광주 대구 고속 도로]가 준공됨에 따라 그 노선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각 가정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빚은 술. 달성 지역의 가정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가정에서 빚은 술을 의례용이나 일상용으로 사용하였다. 달성 지역의 대표적인 가양주(家釀酒)로는 하향주(荷香酒), 삼해주(三亥酒), 송순주(松筍酒), 스무주, 효소주 등이 있다. 하향주는 대구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된 술이다. 하향주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마을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가창 농업 협동조합은 농민들이 상호 협동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고 권익을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지역 농협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가창 농업...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단산리·상원리에 조성되어 있는 도보길. 가창 누리길은 자연 훼손 없는 친환경 산책로를 조성하여 도시민들에게 녹색 여가를 즐기며 등산 등 취미 생활과 건강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12년에 조성되었다. 가창 누리길은 단산리 회관에서 출발하여 구약수탕, 상원지, 전평지, 가창 체육 공원을 거쳐 한천 서원에 도착하는 24.8㎞의 도보길이다. 총...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주변으로 형성된 계곡. 달성군 가창면 오리 가창 댐에서 남서쪽 비슬산 헐티재 방향으로 약 16㎞에 걸쳐 형성된 계곡으로, 심산유곡이라 불릴 정도로 골이 깊고 골짜기 양측으로 우뚝 솟은 바위가 있으며 울창한 숲과 맑은 물을 자랑한다. 가창 정대 숲 계곡은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느티나무 숲 인근에 위치한 계곡이라서 불려진 명칭이고, 정대(亭垈)는 정자나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교단 소속 교회. 1952년 당시 냉천 교회를 다니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 지역 교인들과 1·4 후퇴로 피난온 교인들의 종교 활동의 편의를 위해 설립되었다. 가창교회는 한국 전쟁 중이었던 1952년 세워졌다. 달성군 가창면 일대는 일제 강점기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달성 광산이 있었다. 해방 후 본격적인 개발이 전개되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대구광역시 및 달성군 식수원의 정수 시설. 대구광역시의 수돗물은 낙동강·가창댐·운문 댐·공산 댐을 상수원으로 하고 있다. 대구 지역에 공급되는 하루 취수량은 낙동강이 120만 톤[73%], 운문 댐이 35만 톤[21%], 가창댐 및 공산댐이 9만톤[6%]이다. 대구광역시에서는 현재 매곡 정수장[낙동강], 문산 정수장[낙동강], 고산 정수장[운...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속하는 면. 가창면(嘉昌面)은 달성군에서 면적이 가장 넓고 산지가 많은 면으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서 남쪽 경상북도 청도군으로 내려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가창면은 용계리(龍溪里), 오리(梧里), 정대리(停垈里), 냉천리(冷泉里), 행정리(杏亭里), 상원리(上院里), 단산리(丹山里), 대일리(大逸里), 주리(蛛里), 옥분리(玉盆里), 삼산리(三山里) 및 우록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1리에 있는 달성서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1리 대일박마을은 달성서씨(達城徐氏) 집성촌이다. 이 마을은 1570년(선조 3)경 영동 김씨(永同金氏)들이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전하며, 1670년 조선 효종(孝宗) 때 천안 군수 달성인 서변(徐忭)이 임금에게 직소하였다가 곤장을 맞고 죽자 그 후손들이 피신하여 이 마을에 정착한 이래 서씨들...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1리에 있는 사성 김해김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1리의 큰마실은 사성(賜姓) 김해김씨(金海金氏) 집성촌이다. 우록1리의 중심이 되는 자연 촌락인 큰마실은 귀화 일본인의 후예들이 많이 사는 곳이다. 1602년(선조 35) 임진왜란 때 일본군 장수로 참전한 일본 이름 사야가(沙也可)가 귀화한 뒤 이곳에 정착하여 후손들의 세거지가 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2리에 있는 단양우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2리 백록마을은 단양우씨(丹陽禹氏) 집성촌이다. 백록마을의 입향조는 조선중종(中宗) 및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이던 역동(易東) 우탁(禹倬)의 후손 백록당(白鹿堂) 우성범(禹城范)이다. 단양우씨들이 고려 말 고려 왕실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자 화를 피해 당시 밀성부 풍각현 송촌 마을에 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가창면 관할 행정 기관. 가창면 행정복지센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6개 읍[화원읍·논공읍·다사읍·옥포읍·현풍읍·유가읍], 3개 면[가창면·하빈면·구지면] 중 가창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복지센터는 행정의 능률과 주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등록·주민 등록 업무·민원서류 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 대교구 소속의 성당. 1890년대 가창 지역의 파자미 공소로 부터 시작되어, 1998년 9월 3일 성당으로 승격되었으며 주보성인은 그레고리오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 지역에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고 교우들의 신앙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가창성당의 시작은 1890년대 이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파자미 공소이다. 당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심성이 올바른 사람 육성', '심신이 강건한 사람 육성', '세계화 마음을 갖춘 사람 육성', '앞서가는 창의적인 사람 육성'이다. 교훈은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이다. 1963년 10월 17일 가창 고등 공민학교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은 박재석이다. 1967년 11월 19일 가창중학교 3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찐빵 거리. 찐빵은 대한민국의 대표 먹거리이자 전통 간식으로 밀가루 반죽에 각종 소를 넣어 증기에 쪄낸 빵이다. 가창찐빵거리는 대구광역시에서 청도로 가는 30번 국도 변을 중심으로 500여m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10여 곳의 찐빵집이 성업 중이다. 2000년 3월 가창면사무소 맞은편에 옛날 찐빵집이 처음 문을 열면서 가창찐빵거리가 형성되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에 있는 문화 예술 공간. 가창창작스튜디오는 신진 예술가들에게 안정적인 창조 공간을 제공하여 창작을 활성화하고, 예술 교류 활동을 증진시킨다는 목적 아래 2007년 6월 17일에 개관하였다. 1949년에 개교한 가창 초등학교 우록 분교가 1994년 폐교되자, 창작 스튜디오로 활용하자는 대구 현대 미술가 협회의 제안을 대구광역시가 받아들여 지원하면서 설...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냇가에 갈대가 많아 아름다울 가(佳)와 내 천(川) 자를 써 '가천(佳川)'으로 표기했다가 후에 '가천(加川)'으로 한자를 바꾸었다. 가천은 가내라고도 불렀다. 본래 현풍군 묘동면에 속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 때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읍 가천동이 되었다. 1941년 구지면으로 편입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가천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태리(佳泰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가태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부터 명소가 많고 경치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산이 크고 마을이 앞으로 번창한다는 뜻에서 아름다울 가(佳), 클 태(泰) 자를 써서 가태라 이름 붙였다. 본래 현풍군 말역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말역면 가태동, 남통동 및 굴혜동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간경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낙동강 좌안(左岸)에 넓게 펼쳐진 충적 평야인 간경들은 달성군 옥포읍 간경리 일대를 크게 곡류하는 낙동강의 범람으로 형성되었다. 달성군 옥포읍 간경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이므로 간경들이라고 부른다. 간경(干京)이라는 지명은 현재 성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려 시대 서울인 개성을 방어하기 위하여 쌓은 성이라는 데에서 유래되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간경리(干京里)는 이 지역의 간경·갱경시·강경소라는 명칭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려 시대 수도 개성을 방어하려 성을 쌓고 지키는 곳이라 하여 방패 간(干) 자, 서울 경(京) 자를 써서 간경이라 하였다고 하며, 간경의 음이 속화되어 갱경시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일설에는 낙동강 가에 소[못]가 있었으므로 강경소 또는 갱경시라 하였다고 전해...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문리(甘文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감문에서 나온 명칭으로, 이곳에 감나무 재배가 잘 되고, 감맛이 달고 좋아 달 감(甘) 자를 써서 이름 붙였다. 한편 사람들이 글을 좋아하여 골목마다 글 읽는 소리가 나서 글월 문(文) 자를 사용하여 마을 이름을 감문이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본래 대구부 하서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강림리(江林里)는 이 지역의 마을 앞을 흐르고 있는 낙동강의 강(江) 자와 마을 남쪽 금계산(金鷄山)[489m]의 우거진 숲을 뜻하는 수풀 림(林) 자를 따서 강림이라 부르게 되었다. 옛날에는 성주군에 속해 있었으므로 성주 강림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본래 대구부 법화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법화면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에 있는 낙동강의 보. 강정 고령보(江亭高靈洑)는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있는 낙동강의 보로서 낙동강 상류 안동 댐에서 166㎞, 하류 낙동강 하구둑에서 168㎞ 지점인 낙동강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강정 고령보는 4대 강 정비 사업 과정에 건설되었으며, 전국 16개 보, 즉 한강의 이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서 매년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현대 미술제. 1970년대 중후반 달성군에서 70여 명의 현대 미술인들이 작품 활동을 하였다. 이를 계기로 1974년 대구현대미술제가 처음 개최되었으며 1979년까지 이어졌다. 이 시기의 주요 활동들은 당시의 미술계를 반영하였는데 모더니즘 미술, 전위 미술, 행위 예술 등이 최초로 혹은 대규모로 시행되어 한국 미술계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강정 마을에서 성행하는 민물 매운탕. 원래 이 지역에서 매운탕으로 유명한 식당이 들어선 곳은 현재의 강정 마을이 아닌, 낙동강과 금호강에 인접한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의 강창 마을이었다. 1970년대 강창교가 건립되면서 금호강 건너편의 낙동강에 인접한 강정 마을에 매운탕 식당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이곳에 처음 매운탕 식당을 개업한 사람은 강정 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던 나루. 강정나루터는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를 연결하던 나루이다. 나루터의 이름은 강을 중심으로 마주 보는 두 곳의 나루터 중 마을이 있는 쪽이나 좀 더 번창한 쪽의 이름을 따서 붙이는 경우가 많다. 강정나루터는 이 중 죽곡리의 옛 명칭인 강정리의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현재 강정나루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며, 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과 하빈면에 걸쳐 낙동강 변에 조성된 도보길. 강정보 녹색길은 인근 주민들에게 볼거리를 갖춘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도보길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에 개장하였다. 강정보 녹색길은 낙동강 변의 산길, 논길, 밭길, 마을길, 강변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의 강정 고령보(江亭高靈洑)에서 시작하여 강정 전망대, 문산 제방, 영벽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형성된 먹거리촌. 강정보 먹거리촌이 형성되어 있는 마을 앞에 강정 고령보가 위치하며, 마을이 과거 강정리여서 강정(江亭)이란 이름을 따서 부르게 되었다. 강정은 강가에 있는 정자란 의미로 옛날 이곳에 부강정(浮江亭)이란 정자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강정 고령보(江亭高靈洑)가 있는 강정 유원지 일대에 위치하며, 1960년대부터 낙동강·금호강...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달서구 파호동을 연결하는 다리. 다리가 위치한 금호강 변에 강창 나루가 있어 나루의 이름을 따서 강창교(江倉橋)라 부르게 되었다. 강창 나루라는 명칭은 이곳 금호강 변에 조선 시대 강창(江倉)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강창은 낙동강을 따라 배로 운반되는 미곡(米穀)을 저장하던 강변의 창고이다. 강창교가 가설된 금호강 변에는 예로부터 강창 나루가 있었...
-
1960년 6월 대구 지역에서 국민 보도 연맹 사건과 한국 전쟁 전후 양민 학살 사건의 경상북도 희생자 유가족들이 결성한 단체. 경북피학살자유족회는 4·19 혁명으로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가 회복되는 사회 분위기에서 6·25 전쟁 전후 정부에 의해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의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명예 회복, 유가족에 대한 배보상 등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긴급한 주요 사업으로 위령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강림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체적 역량을 지닌 사람, 정서적 역량을 지닌 사람, 사회적 역량을 지닌 사람, 도덕적 역량을 지닌 사람, 지적 역량을 지닌 사람'이다. 교훈은 '쓸모 있는 사람이 되자'이다. 1967년 6월 19일 금계 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이후 1968년 문교부 1개 면 1 중학교 설립 방침에 따라 11월 3일 경서중학교...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삼대리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를 연결하는 다리. 대구에서 낙동강을 지나 고령군으로 진입하는 초입에 위치하여, 고령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므로 고령교(高靈橋)라고 부르게 되었다.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삼대리의 고령교 바로 옆에는 도자기를 실어 나르던 질나루가 있었다. 일명 멍덕미 나루, 도진(陶津) 또는 덕산진이라고 부르던 이 나루는 고령에서 대구...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이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고봉리(高峰里)라고 하였다. 본래 현풍군 묘동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묘동면의 대고봉동과 소고봉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고봉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공공 행정을 담당하거나 공공 서비스 또는 공공 재화의 생산을 담당하는 공조직.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공공기관은 국가 행정 기관, 지방 자치 단체, 기타 공공 단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으로서 「초·중등 교육법」 및 「고등 교육법」이나 기타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급 학교, 「정부 투자 기본 관리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연구되고 있는 자연 과학·응용과학 및 생산 기술의 총칭. 과학·기술(科學·技術)은 과학과 기술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과학은 자연 세계에서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을 말하며, 기술은 물적 재화를 생산하는 기술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욕구나 욕망에 적합하도록 주어진 대상을 변화시키는 인간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과학은 기술의 발전을 촉...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풍경, 풍습, 사적 등을 체험하거나 구경하는 일. 대구광역시 달성군은 자연 자원과 문화재, 문화·역사 자원 등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옥포읍·현풍읍·유가읍을 비롯한 7개 읍·면에 비슬산이 펼쳐져 있고, 비슬산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크고 작은 산과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지역마다 병풍산, 금계산, 대니산, 마천산 등 수려한 산지가 솟아 있다. 군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관광 자원을 토대로 사람들의 관광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산업. 관광이란 말은 역경(周易)에 나오는 “관광지광 이용빈우왕(觀光之光利用賓于王)”의 관광지광(觀光之光)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며,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의 『계원필경(桂苑筆耕)』에는 과거 시험 준비라는 말로 사용되었다. 고려 말에 정도전(鄭道傳)은 그의 친구 이숭인(李崇仁)이 중국 선진 문물을 돌아보...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에 있는 비슬산의 봉우리. 관기봉(觀機峰)은 "신라 시대 고승 관기성사(觀機聖師)가 수도한 곳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라고, 관기봉의 정상석 뒷면에 새겨져 있다. 한편, 일연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포산이성(包山二聖)’이란 내용으로 관기(觀機)와 도성(道成), 두 성사에 관한 기록을 남겼는데 그 내용은 "신라에 관기와 도성이라는 두 어른이 살고 있...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광덕사(光德寺)는 1967년 정운성에 의해 창립되었다. 광덕사는 납골당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2015년 기준, 월평균 방문 불자 수는 약 200여 명이며, 부처님오신날과 같은 특별한 날에는 15,00여 명의 불자가 광덕사를 방문한 것으로 집계된다. 광덕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위치하고 있다. 가...
-
1945년 8월 15일 달성군을 포함하여 우리 민족이 일제에 빼앗긴 주권을 회복한 역사적 사건. 1945년 8월 15일을 해방이라고도 한다. 광복은 내외적 발전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내적으로는 한말(韓末), 일제 강점기 국내외에서 다양한 이념과 방략(方略)에 따라 전개된 민족 독립운동의 지속적 전개에서 찾을 수 있다. 독립운동의 전환점을 만든 것은 전 민족적 항일 운동으...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광물의 채굴, 선광, 제련 등의 작업을 행하는 산업. 광업은 광물의 채광, 채굴 및 여기에 따르는 선광, 제련, 기타의 사업을 말하지만 경제학상으로는 유용 광물의 채굴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하며, 제련에 관련된 산업은 산업 분류상 제조업 중에서 금속 관련 공업에 속한다. 광업은 그 분류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광산물의 종류에 따라 금속 광업, 비금속...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고서 분기점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옥포 분기점을 연결하는 고속 국도. 88 올림픽 고속 국도[88 올림픽선]는 고속 국도 9호선으로 1980년 9월에 건설 계획을 세우고, 1981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6월에 준공하였다. 기존에 동서 고속 도로로 명명되다가 1988년 올림픽 대회를 기념하기 위해 1981년에 고서~옥포 구간을 88 올림픽 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하천을 건너거나 지장물, 다른 도로 등을 통과할 목적으로 만든 도로 상의 인공 구조물. 달성군은 서쪽으로 낙동강이 흐르고,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금호강, 하빈천, 현풍천, 차천 및 금호강 지류인 신천과 기타 소규모 하천들이 흐르고 있어 도로 상 교량 가설이 필수적이다. 또한 중부 내륙 고속 국도, 중부 내륙 고속 국도 지선, 광주 대구 고속 국도, 경부 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달성군은 비슬산을 비롯한 산지가 많아 육상 교통이 발달한 편이 아니었다. 조선 시대 동래에서 문경 새재를 넘어 한양으로 향하는 영남대로가 가창면을 통과하였다. 또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대구에 설화역[현재 달성군 화원읍], 현풍에 쌍산역, 하빈에 금천역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달성군 지역은 낙동강 수운을 통해...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교항리(橋項里)는 임진왜란 때 성산(星山) 이씨(李氏)가 이 마을에 처음 정착하였을 때 큰 다리가 놓여 있어서 이웃 법화(法化) 마을로 가는 길목이 되므로 마을 이름을 한자로 다리 교(橋) 자, 목 항(項) 자를 써서 교항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대구부 법화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법화면의 교항동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세청 숲에 있는 1991년 보호림으로 지정된 이팝나무 군락지. 교항리 이팝나무 숲은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다리목 마을에서 100m 정도 떨어진 구릉지에 있는 숲으로, 1991년 7월 24일 희귀 식물 자생지 보호림 제8-3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면적은 1만 5510㎡이고,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957번지 외 2필지이다. 대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교항천(橋項川)은 하천이 지나는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의 명칭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교항(橋項)은 당시 놓여 있던 큰 다리가 사람의 목 부분에 해당한다고 여겨 마을 주민들이 '다리 교(橋)'와 '목 항(項)' 글자를 넣어 붙인 이름이다. 교항천은 금계산(金鷄山)[489.3m]과 대방산(大方山)[378m] 사이의 선녀 골짜기를 따...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라리(九羅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구라(九羅)·구래(九來)에서 나온 명칭으로, 신라 시대 마을의 서쪽 봉화산 산정에 봉화대가 꽃과 어우러진 경치가 아름다워 경덕왕(景德王)이 아홉 번이나 왔다 하여 구래라 하였다고 한다. 또는 왕이 아홉 번이나 찾아와 마을이 아홉 번이나 빛났으므로 구라라고 하였다 한다. 본래 대구부 화현내면의 지역이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대에 형성된 모감주나무 군락지. 달성군 화원 유원지 북동쪽 진천천과 맞닿아 있는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7조에 의거하여 2000년 10월 18일 보호림 제8-5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만 9735㎡이다.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산99-1번지 외 1필지이고, 소유자는 현지 산 주인 대구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산. 2003년에 제정된 명칭인 구봉산(九峰山)은 9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구봉산 9개 구비 능선의 산길은 용의 몸통과 긴 꼬리 부분에 해당되며, 강을 따라가다 보면 용의 비늘처럼 생긴 청석 바위와 울창한 소나무 길이 펼쳐진다. 마천산령(馬川山嶺)의 북동쪽으로 낮은 구릉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이어지는데, 그 중앙부에 있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군인이자 행정 관료·정치인. 본관은 능성. 호는 취산(翠山)이다. 구자춘(具滋春)[1932~1996]은 1932년 5월 1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세천동 1027번지[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1027번지]에서 태어났다. 1950년 대구 사범 학교를 졸업한 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바로 군에 투신하였으며, 1954년 미국 육군 포병 학교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있는 구지 농업 협동조합은 농민들이 상호 협동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고 권익을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지역 농협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구지 농업협...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 일원에 조성된 농공 단지. 구지농공단지(求智農工團地)는 산업의 지방 분산, 지역 격차 해소 및 지역 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 일원에 조성되었다. 1989년 10월 23일 농공 단지로 지정받았으며, 1990년 10월 29일 실시 계획을 승인받았고, 1992년 12월 27일에 구지농공단지가 준공되었다. 구지농공단지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속하는 면. 구지면(求智面)은 신라 때 이곳의 지명인 구지산 부곡(仇知山部曲)에서 유래하였다. 구지면은 신라 때 구지산 부곡으로 부르다가 고려 1390년(공양왕 2) 밀양부(密陽府)에서 현풍현으로 편입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구지산(求智山)으로 개칭되었다. 구지가 소속된 현풍은 1895년(고종 32) 현풍군이 되어 대구부(大邱府)에 속하게 되었으며, 그때 구지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는 서흥 김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는 서흥김씨(瑞興金氏)의 집성촌이다. 서흥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을 주향하는 도동 서원(道東書院)이 있는 곳이다. 이 마을에 한훤당의 후손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입향조가 누구인지는 기록에 없지만 예조 참의를 지낸 김굉필의 증조할아버지가 현풍 곽씨(玄風郭氏)와 결혼해 처가인...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수리2리에 있는 창녕조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수리2리의 창녕 조씨(昌寧曺氏) 집성촌은 지리적으로도 경상남도 창녕군과 가깝고, 대니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에는 창녕조씨 문중에서 현조(顯祖)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기념비적 건물 두 채가 있다. 하나는 처사 조상천(曺尙天)의 추모 재사 첨경재(瞻敬齋)이고, 다른 하나는 통정대부(通政大...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오설리에 있는 군위 방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오설리는 군위방씨(軍威方氏) 집성촌이다. 오설리는 본래 현풍군 오설면의 지역으로서 오설면 소재지였다 하여 오설리라 이름 붙였다 한다. 오설리는 본래 연안 차씨(延安車氏)들이 개척한 마을이라고 전하지만, 조선선조(宣祖) 때 한성 좌윤(漢城左尹)을 지낸 이암 방계관이 입향한 이후 그 후손들이 세거하...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유산리에 있는 옥산 전씨 동성 마을. 유산리(柳山里)는 마을 앞에 버들[柳]이 많고, 마을 뒤에 산이 있어 유산이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유산리의 옥산전씨(玉山全氏) 집성촌은 옥산인 전의수(全義守)가 유가읍 초곡리에서 이곳으로 입향한 이래 집성촌이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총 50여 가구 중 25가구를 차지할 정도로 결속력이 강한 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응암3리에 있는 파평윤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응암3리 큰개마을은 지금부터 약 450년 전에 파평윤씨(坡平尹氏) 선비 윤사성이 입향한 이래 윤씨들의 세거 집성촌이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30여 가구의 윤씨들이 문중을 이루어 살고 있다. 달성군 지역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이 다시금 서쪽으로 휘감아 돌아 나가는 강가 동편의 충적 평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장학회. 구지면 장학회는 지역 사회 발전을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8년 장학 재단 설립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고, 2009년 2월 23일 구지면 장학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이사장에 제갈재봉을 선출하였다. 향토를 빛낼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하여 뜻있는 면민들이 십시일반 출연, 관내 10개 단체에서 4300만 원, 3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징리에 있는 경주 이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징리의 지명은 지형이 징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징리의 경주이씨(慶州李氏) 집성촌은 약 350년 전에 진위장군(振威將軍) 수문장을 지낸 경주인 이견용(李見龍)이 입향한 후에 그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경주이씨들의 집성촌이 되었다. 약 60가구 중 30가구 이상이 경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2리에 있는 김해김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2리 창동마을은 김해김씨(金海金氏) 집성촌이다. 창리(倉里)는 원래 현물, 조세곡을 모아 두던 외창(外倉)이 있던 마을이라는 뜻으로 붙여졌다. 본래 진양 강씨(晉陽姜氏)들이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전해진다. 그 후 임진왜란 때 고령군 우곡면에 살다가 청도로 피난 갔던 김해김씨 몇 집이 고향으로 귀환...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구지면 관할 행정 기관. 구지면 행정복지센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6개 읍[화원읍·논공읍·다사읍·옥포읍·현풍읍·유가읍], 3개 면[가창면·하빈면·구지면] 중 구지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행정복지센터는 행정의 능률과 주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등록·주민 등록 업무·민원서류 발급...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전통 시장. 1933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 구천 시장이 정리·확장되고, 차천 시장이 폐지됨에 따라 구지면 유지들이 결성한 기성회에서 시장 설치 운동을 전개하였고, 이에 따라 구지시장(求智市場)이 개설되었다. 1933년 5월 공설 시장 개설 인가를 받아 매월 3일·8일 개장하는 정기 시장으로 문을 열였다. 구지시장의 대지 면적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도덕적인 생활인 육성',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 '나눔과 베품을 실천하는 민주 시민 육성', '심신이 올바른 건강인 육성', '국제화 소양을 지닌 미래의 전문인 육성'이다. 교훈은 '높은 이상! 참된 생활! 힘찬 전진!'이다. 1947년 1월 16일 구지 고등 공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상리에 있는 과학 체험관. 2008년에 인재 육성 지원 센터 건립 계획[안]이 수립되면서, 국립대구과학관 건축물 설계 발표를 하였다. 2009년에 국립대구과학관 기공식을 하였고, 2010년에는 천체 투영관 천체 투영 시스템 및 국립대구과학관 건축이 완공되었다. 2011년에는 ‘국립대구과학관 운영 규정에 관한 훈령 제62호’에 의거 독립 운영 체제가 구축되었...
-
1951년 1월 1·4 후퇴 당시 국민 방위군 간부들이 군 예산을 횡령한 사건. 국민 방위군은 한국 전쟁 중 1950년 11월 중국 공산군이 참전하면서 전세가 급반전될 때, 이에 대비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1950년 12월 11일 국민 방위군 설치법을 공포하여 창설되었다. 이 법의 대상자를 ‘사병’ 혹은 ‘제2 국민병’이라고 불렀다. 그 대상은 만 17세 이상에서 40세 미만의 장...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에 있는 국민 건강 보험 공단 대구지역본부 소속 지사. 1989년 7월 전 국민 의료 보험이 시행되면서 달성군 의료 보험 조합이 설립되었고, 1997년 12월 「국민 의료 보험법」 제정으로 1998년 10월 1일 227개의 지역 의료 보험 조합과 공무원·교직원 의료 보험 관리 공단이 통합되어 국민 의료 보험 관리 공단이 설립되었다. 그 후 1999년...
-
1949년 6월 좌익 인사의 전향 및 교화를 위해 조직된 반공 성격의 관변 단체. 보도 연맹은 1948년 12월 「국가 보안법」의 구체적 운용 대책에 따라 조직한 반공 관변 단체로서 정식 명칭은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이다. 보도 연맹은 「국가 보안법」에 저촉되는 사람 중 좌익을 교화 전향시킬 목적으로 조직되었고, 구성원들은 좌익 전향자들이었다. 곧 남한의 단독 선거에 반대하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중리에 있는 국민연금공단 대구지역본부 소속 지사. 국민연금공단 대구지역본부 대구달성고령지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의 국민 연금 관련 업무를 관할하는 기관이다. 국민이 나이가 들어 생업에 종사할 수 없게 되거나 불의의 사고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었을 경우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연금을 지급하고 아울러 복지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국민 복...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군민 체육 시설. 군민운동장은 1985년 군민들의 생활 체육 활동의 증진을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 1번지에서 개장하였다. 군민운동장의 시설로는 축구장 1곳, 테니스장 3곳, 배구장[족구장 겸용] 1곳, 게이트볼장 1곳 등이 있다. 군민운동장은 달성군 군민 전체가 이용하는 공공 체육 시설로 총 면적은 3만 1622㎡이며, 각종 체육...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 1988년에 달성군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개관한 생활 체육 공간으로 달성군의 유일한 실내 체육관이다. 군민체육관의 총 부지 면적은 1만 439㎡, 건축 면적은 1,622㎡이다. 농구 코트 2개를 비롯하여 배드민턴 코트 6개, 샤워실 2개실, 내빈실과 사무실 각 1개실, 400석 규모의 관람석이 설비되어 있으며 향후 국제 규모...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와 음리 사이에 위치한 비슬산의 계곡. 비슬산 조화봉 주변 산지에서 발원한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합쳐져 서쪽으로 흐르는 현풍천이 형성한 계곡이다. 계곡에는 비슬산 자연 휴양림과 소재사, 유치곤 장군 호국 기념관 등이 있다. 굿밧골 계곡의 굿발골이라는 지명은 굿하는 무당을 의미하는 '굿바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골짜기를 흐르는 하천을 굿밧내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에 있는 산. 궁산(弓山)은 강창교부터 서재까지의 산세가 활대 모양을 이루고 있고, 정상에서 계명대까지의 산세가 화살 모양으로 마치 십자가 형태로 시위를 한껏 잡아당긴 활과 같다고 하여 붙은 지명이다. 궁산[250.9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와 달서구 호산동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와룡산에서 서쪽으로 이어진 산줄기 끝에 위치한다. 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산. 금계산(金鷄山)은 산의 지형이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풍수지리설에서 닭이 알을 품은 듯한 형세를 이르는 말]이라 하여 붙은 명칭이다. 산의 중간에 형성된 두 개의 골짜기가 주방의 도마와 비슷하다고 해서 도마산, 산 정상에 큰 바위가 솟아 있다고 해서 돌미산이라고도 불린다.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와 논공읍 노이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북서 방...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금계산 등산로. 금계산 명품 숲길은 2011년 11월 30일부터 2012년 1월 28일까지 2011년도 지역 프로 젝트 사업으로 추진하여 조성되었다. 금계산 명품 숲길은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 선녀 마을의 고속 국도 암거에서 시작되며 해발 489.3m의 금계산을 등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금계산 정상까지는 1.7㎞이며, 정상에서 달성군청 동편...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리(琴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금산(琴山)에서 나온 명칭이다. 이곳의 지형이 옥녀(玉女)가 베를 짜는 형상이라고 하여 짤 직(織), 비단 금(錦) 자를 써서 신라 시대부터 직금이라 불리었으나 근래에 와서 주변 지형이 옥녀가 거문고를 켜는 형상이라고 하여 거문고 금(琴) 자를 사용하여 금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본래 현풍군 우만면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장학회. 금맥장학회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학생이나 지체 장애인들에 대한 장학금 지급 사업을 통해 훌륭한 인재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금맥장학회는 박상하가 설립하여 1975년부터 장학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2년 5월 23일에 재단 법인 금맥장학회로 공식 설립 인가를 받았다. 금맥장학회는 2012년까지 총 2,7...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저수지. 금봉지(金鳳池)는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2년 설치 확정 승인을 받아, 1973년 12월에 착공을 하여 1977년 6월 30일에 준공되었다. 금봉지는 5번 국도의 동쪽과 달성군청의 동북 방면 사이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저수지로, 수계는 낙동강이며 수혜 지역은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지역 일원이다. 총저수...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예금 등에 의해 자금을 조성하고 이를 기업 또는 개인에게 재분배, 공급 및 중개하는 기관. 금융(金融)[finance]이란 상품의 거래와 매매를 동반하지 않고 이자를 매개 변수로 돈을 빌려주거나 빌려 쓰는 자금의 융통을 말한다. 따라서 금융에는 자금을 제공하고 이자 수익을 얻으려는 자금의 공급자와 이자를 지불하고 자금을 빌려 쓰려고 하는 자금의 수요자가 중요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포리(金圃里)의 포는 넓은 들판이라는 뜻이며, 옛날 김해(金海) 김씨(金氏)가 이 마을에 들어와 살면서 붙인 이름이라 한다. 본래 현풍군 노장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노장면의 금포동, 계호동, 평촌동, 봉동 및 장기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금포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를 가로질러 흘러 금포천(金圃川)이라고 불린다. 금포(金圃)는 마을 주변에 넓은 벌판이 있어 불리게 되었다. 금포천은 비슬산 정상에서 발원하여 금계산(金鷄山)[489.3m] 서쪽 골짜기에서 빠져나와 북서쪽으로 흐르며 낙동강에 유입한다. 달성군 논공읍 노이리에서 노홍지(蘆鴻池)를 거쳐 논공읍 금포리에서 교항천을...
-
대구광역시 북쪽을 돌아 서쪽으로 흐르면서 달성군 다사읍 인근에서 낙동강에 합류하는 강. 금호강(琴湖江)의 명칭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과 하양·청천·경산 등 구릉지의 갈대가 바람에 흔들릴 때 마치 비파와 같은 아름다운 소리가 나며, 물 흐름이 급하지 않고 호수처럼 맑고 잔잔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금호강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의 가사령[599m]과 승법령[709m]에서 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기곡리(基谷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기곡·터실에서 나온 명칭으로, 터가 좋아 발전할 수 있는 곳 또는 옛터가 있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본래 대구부 하북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북면의 기곡동과 성당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기곡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와 옥포읍 반송리를 연결하는 고개. 기내미재에 대한 정확한 명칭 유래는 찾을 수 없지만, ‘귀넘이’ 또는 ‘귀네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정감록(鄭鑑錄)』의 "이상향으로 가는 길목의 귀내미골"과 토정 이지함의 『토정가장결(土亭家藏訣)』에 "우이령(牛耳嶺) 넘어 이상향"이라고 기술된 내용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책에서 말한 우이(牛耳)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를 흐르는 하천. 기세곡천(寄世谷川)은 하천이 지나는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의 골짜기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기세곡(寄世谷)을 ‘차곡(車谷)’ 혹은 ‘찻골’이라고도 하는데, 옛날 차씨(車氏) 성(姓)을 가진 고관이 모함을 받아 이곳에 은거하였는데 항상 탄식하기를 기이한 세상을 만나 신세가 이리 되었다고 입버릇처럼 하며 살다 죽었다고 한다. 이에 연유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기세리(奇世里)는 이 지역의 기세·기세골이라는 명칭에서 나온 것이다.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옛날 차씨 성을 가진 사람이 모함을 받아 이곳에 은거하며 기이한 세상을 탄식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마을의 산과 바위 및 골짜기의 형태가 기이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다. 본래 대구부 생평...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기업, 또는 기업체란 영리를 얻기 위하여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조직체이다. 기업체의 종류는 2007년부터 ‘제9차 개정 한국 표준 산업 분류’에 따라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으로 구분된다. 1차 산업은 농업·목축업·임업·어업 등 직접 자연에 작용하는 산업을 말하며, 2차 산업은 물질적 재화를 재생산하는 제조업...
-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대구광역시 달성군은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지형적으로 남쪽의 비슬산괴와 북쪽의 팔공산맥을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낙동강과 접하고 있다. 따라서 지형적으로 전형적인 분지를 이루고 있는 대구시와는 다른 기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여름에는 남쪽의 비슬산이 습기를 많이 포함한 남...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김흥리(金興里)는 이 지역의 김흥이라는 명칭에서 나왔으며, 마을 주위 산에서 금이 많이 날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김해(金海) 김씨(金氏)가 피난한 마을로 김씨가 살면 흥한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산의 지형이 금[김](金) 자 모양이어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본래 대구부 생평곡면의 지역이었으나, 19...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 또는 황지 못에서 발원하여 대구광역시, 경상도의 중앙을 'ㄷ' 자 형태로 관류하며 금호강을 비롯한 달성군의 소지류 하천을 합류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강. 낙동강(洛東江)은 9차수 국가 하천으로 작은 개울과 같은 1차수 하천부터 남강(南江)과 같이 낙동강 본류에 직접 유입하는 8차수 하천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하계망으로 조직되어 있다. 그 유역 또한 광범위하여 영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남도 마산시, 부산광역시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낙동강 취수 정수장에서 악취가 발생한 사건.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에서 출발하여 부산을 거쳐 남해로 흘러 들어가는 영남의 젖줄로서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식수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낙동강 지류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시들이 운집해 있어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본류로 흘러 들어갈 경우 강 하류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속하는 법정리. 남리(南里)라는 명칭은 남쪽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안인(安仁) 마을의 남쪽이 되므로 남마 또는 남리로 불렀다고 전해지며, 쌍산(雙山)[269m]의 남쪽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본래 현풍군 논공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논공면의 남동과 신기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에 있는 알루미늄 전문 제조업체. 남선알미늄은 알루미늄 섀시 등 알루미늄 제품과 자동차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알루미늄 전문 기업이며, 에스엠티 케미칼, 삼라, 우방 등 20여 개 기업을 계열사로 둔 SM 그룹에 속해 있다. ‘품위 있는 공간 기쁨 있는 생활’을 모토로 하며 인간 존중, 기술 중시, 함께하는 경영을 경영 이념으로 구현하기 위해 설립되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남양금속은 국내 자동차 산업이 부흥하던 1987년 자동차용 특수 소재 제조 전문 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미국의 포드(Ford), 지엠(GM) 및 다임러 크라이슬러(Daimler Chrysler) 등 자동차 Big 3와 유럽의 볼보(Volvo), 피아트(Fiat), 일본의 스즈키(Suzuki), 닛산(Nissan), 마쯔...
-
1946년 미군정이 설치한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의 경상북도 및 대구, 달성, 경산, 고령 지역 입법 의원.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은 1946년 미군정이 군정 법령 제118호에 따라 설치한 입법 기관이다. 1946년 미군정은 군정이 존속하는 동안 한국인들로 하여금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을 구성하게 하고, 여기에서 정치·행정·경제·사회 개혁의 기초가 될 법령 및 정책안을 작성하여 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남지장사(南地藏寺)는 최정산(最頂山) 남쪽 산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지장 보살을 모시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사명 대사(四溟大師)와 의병장 우배순의 의병들이 훈련한 장소이기도 하다. 주지 스님은 원범이다. 684년(신문왕 4)에 양개 조사(陽价祖師)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남지장사의 부속 암자. 남지장사(南地藏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남지장사는 684년(신문왕 4) 양개 조사가 창건한 사찰로 조선 시대의 고승 무학 대사(無學大師)가 수도한 곳이며, 임진왜란 때에는 사명 대사(四溟大師)가 승병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였으나 그 당시 병화로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1653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남지장사의 부속 암자. 지장사(地藏寺)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신앙의 중심으로 모시는 도량이다. 지장이란 땅은 여러 가지 보배를 간직하고 종자를 양육하는 것과 같이 중생을 장양(長養)한다는 의미이다. 지장보살은 미륵불이 이 세상에 나타날 때까지 무불(無佛)의 세계에서 중생을 계도하는 보살을 말한다. 즉 지장 신앙은 지장보살의 가르침에 따르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리(內里)는 자연 마을인 안모정에서 나온 명칭으로, 이 지역의 모정(茅停) 마을 안쪽으로 분산되어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안모정 또는 내리·내동(內洞)이라 하였다. 본래 현풍군 구지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구지면의 내동·외동·장동·성산동·세암동 및 노곡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내동이 되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냉천리(冷泉里)는 이 지역의 마을 뒷산 계곡에 찬물이 나오는 샘이 많다고 하여 불린 찬샘·냉천·한천(寒泉)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본래 대구부 하수남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수남면의 냉천동과 대천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냉천동이 되었다. 1958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골프장. 1987년 사업자 등록을 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골프 여가 활동 공간을 제공하고자 냉천컨트리클럽을 개장하였다. 1987년에 7홀 규모로 설치되었으나 2007년에 9홀로 증설되었다. 냉천컨트리클럽[냉천 CC]은 대중 골프장으로 9홀 35파[총 길이 2,312m]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롱홀[파5] 1개홀, 미들홀[파4] 5개홀, 숏...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와 영오리를 연결하는 고개. 노비재는 옛 지도에는 해오라기 노(鷺)자를 쓴 노비현(鷺飛峴)인데, ‘느빗재’로도 불린다. 이 고개에는 조선 시대 과거를 보러 가던 선비가 이곳에서 쉬다가 해오라기가 나무에 앉았다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는 급제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팔공 지맥 가산[901.6m]에서 서쪽으로 뻗어나온 산줄기가 오계산[466.3m], 백운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속하는 법정리. 노이리(蘆耳里)의 지명은 이곳의 갈실·노곡(蘆谷)과 관련되어 있다. 갈실은 옛날부터 갈대가 많아 갈대골 또는 갈실이라 불리었으며, 한자로 갈대 노(蘆) 자, 골[골짜기] 곡(谷) 자를 써서 노곡이라 부른다. 본래 현풍군 노장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노장면의 노이동, 중리동(中里洞) 및 연화동을 병합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노이리에 있는 저수지. 노홍지(蘆鴻池)는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1년 8월 17일 설치 확정을 승인을 받아, 1973년 12월 18일 착공하여, 1977년 6월 30일 준공하였다. 총공사비는 4억 6492만 9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를 통해서 충당되었다. 노홍지는 12번 광주 대구간 고속 국도와 남쪽 451번 중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있는 논공 농업 협동조합은 농민들이 상호 협동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고 권익을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지역 농협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논공 농업...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은 동북쪽으로 금계산[해발 298m], 동쪽으로 걸산[해발 359m], 남쪽으로 비봉산[해발 288m]으로 둘러싸여 있고, 세 개 산에서 발원한 금포천, 하리천, 용호천 등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된다. 대구~마산 간 국도 5호선과 대구~군산 간 국도 26호선이 달성군 논공읍 위천리에서 교차하고 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 지역에는 교회가 없었고 논공 지역 주민들은 동산 병원 전도회 소속 손영균 전도사가 1933년 옥포에 세운 신당 교회[현 옥포 중앙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였다. 이후 교회 설립을 주도하는 조도철 영수와 신정식 등도 논공 지역으로 이사를 와서 옥포 신당 교회까지 다니면서 신앙생...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 대교구 소속의 성당. 1961년 화원 본당논공 공소로 시작하여 1988년 10월 1일 본당으로 승격한 천주교회이다. 주보성인은 성 이시도로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 지역의 교우들에 종교 활동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1년 당시 논공 지서 사택인 초가 8간을 김재복 회장이 매입하여 개조하고 공소로 사용해 왔다. 이후 198...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속하는 읍. 논공읍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서쪽 달성군으로 진입하면서 화원읍, 옥포읍을 지나 위치한다. 논공읍은 노이리(蘆耳里), 금포리(金圃里), 삼리리(三狸里), 위천리(渭川里), 상리(上里), 하리(下里), 남리(南里), 북리(北里), 본리리(本里里)의 총 9개 법정리와 32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논공읍(論工邑)의 논공은 한자로 논할 논(論) 자, 장...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1리에 있는 광주이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삼리1리 씩실마을은 광주이씨(光州李氏) 집성촌이다. 이 마을은 약 380년 전에 광주이씨, 이난미(李蘭美)라는 선비가 인근에 있는 현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고탄리에서 이주하여 마을을 개척하였다.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고탄리는 광산 이씨 한림공파(翰林公派) 후손으로 회령 판관을 지낸 이림의 차...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논공읍 관할 행정 기관. 논공읍 행정복지센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6개 읍[화원읍·논공읍·다사읍·옥포읍·현풍읍·유가읍], 3개 면[가창면·하빈면·구지면] 중 논공읍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행정복지 센터는 행정의 능률과 주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등록·주민 등록 업무·민원서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전통 시장. 논공중앙시장(論工中央市場)은달성군 논공면 북리 일원에 달성 산업 공단이 조성되고, 공장·아파트·상가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2010년 7월 정기 시장으로 등록하고 개장하였다. 논공중앙시장의 대지 면적은 2,312㎡, 건물 면적은 1,474㎡, 영업장 면적은 1,362㎡이며, 지하 1층 건물에 점포 50칸, 주차장, 화장실을 갖추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냉철한 지성과 창의력을 겸비한 사람을 기른다[지성인]', '따뜻한 가슴으로 베풀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도덕인]', '자신의 삶을 개척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른다[자주인]', '국제 사회를 주도할 경쟁력 있는 사람을 기른다[세계인]', '정서가 풍부하고 심신이 강인한 사람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착하고, 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장학회. 달성 장학회를 통한 장학 사업을 추진해오다가 보다 많은 우수 인재 발굴과 육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읍면별로 장학 재단을 설립하여 지원함으로써 장학 사업을 확대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면학 분위기를 조성하여 지역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9년 2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 출생의 차종태 전 진성 학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농사를 지을 때 사용하는 도구. 농경(農耕)은 신석기 문화 단계 후 충적세(沖積世)에 들어와서 현재와 거의 같은 자연 환경이 되면서 싹텄다. 그리하여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등 여러 대륙에서 각기 다른 자연 환경에 대응한 농경이 개시되면서 각기 다른 작물의 종류와 땅의 특성, 문화의 전통에 의해 농기구를 비롯한 농경 기술이 발달하였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토지 등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자원을 생산하는 경제 활동. 흔히들 농자 천하지 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한다. 인간이 이 세상에 출현하여 점차 발전하면서 농경은 생존의 문제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먹지 않고는 생존하지 못하며, 토지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는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농업은 국민 생활에 필요한 만큼의 식량을 생...
-
대구광역시 달성군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된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민이 자신들의 권익을 위하여 조직한 농업 생산자 협동조합이다. 달성군은 관내에 대규모 산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인접 도시가 베드타운화 되어감에 따라 비농민 인구 비중이 높은 편이다. 농협 중앙회 달성군 지부는 사업 추진 방향을 농협 차원을 넘어 농민, 비농민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농협 하나로유통의 달성 지역 지점. 농협 하나로유통 달성점은 농협 하나로 마트를 지도·지원하는 농식품 전문 유통 기업으로서 2015년 3월 2일 출범하였다. 농협 하나로유통 달성점은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농산물 유통 비용 절감, 다양한 출하처 확대, 산지와 소비지의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질서 확립, 그리고 대구광역시 및 인근 지역의 소비자에게...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서식하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달성군 일원의 산지 비탈진 곳의 아랫부분이나 골짜기 또는 마을 부근의 흙이 깊고 진 땅에서 잘 자라는 장수목(長樹木)으로 생장 속도가 빨라서 정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느티나무는 암수한그루이다. 높이 25m, 둘레 3m 정도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생선 비늘처럼 겉껍질이 떨어진다.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자모리와 구지면 도동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이 다람쥐가 많아서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사실이 아니고, 고개가 마치 다람쥐를 닮았다고 하여 옛날부터 다람재라고 불렸다고 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자모리에서 구지면 도동리의 도동 서원으로 가기 위해 넘어야 하는 동서 방향의 고개이다. 달성군 구지면과 현풍읍의 경계에 있는 대니산(戴尼山)[408m]에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고 있는 국적·인종·민족 배경이 다른 가정. 다문화 가정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한국 사회에서 나타난 초국적 이주의 결과로 새롭게 구성된 가족의 형태이다. 여성 가족부가 추산한 2015년 다문화 가족의 수는 82만 명으로,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7년 33만 명과 비교하였을 때 248% 증가하였다. 행정 자치부에서 발표한 2015년 지방 자치 단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있는 다사 농업 협동조합은 농민들이 상호 협동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고 권익을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지역 농협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다사 농업...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 일대의 식당에서 판매하는 논메기매운탕. 다사 메기매운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의 한 메기 양식장의 유료 낚시터에서 낚시꾼을 상대로 메기 매운탕을 끓여 준 것에서 유래되었다. 메기 양식장을 겸한 유료 낚시터를 운영한 한 농부가 낚시꾼들의 요청에 의해 전통적 방식으로 끓여 준 매운탕이 널리 알려지면서 일대에 식당가가 형성되어 흔히 다사 메기매...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전한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여 정직하고 예절 바른 민주 시민을 기른다[도덕인]',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워 미래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른다[자주인]', '과학적 사고와 창의를 바탕으로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는 창조인을 기른다[창조인]',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건전한 심신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 지역 신도들의 종교 활동을 돕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1951년 5월 19일 대구 동문 교회[현 동로 교회]를 다니던 피난민 이윤조 외 3명이 다사면 매곡동김인식의 집에서 박관빈 전도사를 초청하여 전도 집회를 통해서 교회가 창립되었다. 1966년에 가서야 윤봉춘, 김이덕, 정차연 등이 첫...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 대교구 소속의 성당. 2005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아파트 단지의 조성과 더불어 교우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본당 설립의 필요성에 의해 설립된 성당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교우들의 종교 활동의 편의를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8월 26일 김성태 신부를 초대 주임 신부로 하여 설립되었다. 2005년 직물 공장으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대구 도시 철도 2호선의 역. 다사역(多斯驛)이라는 역명은 역이 위치한 지역인 다사읍에서 따온 것이고, 다사라는 지명은 하빈현(河濱縣)의 옛 이름인 다사지에서 따온 것이다. 다사는 신라어로 물[水]을 뜻한다고 한다.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 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다사역이 개통되었다. 다사역은 심도 17.7m의 지하 2층으로 되어...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속하는 읍. 다사라는 지명은 하빈현(河濱縣)의 옛 이름인 다사지(多斯只)에서 유래된 것으로, 다사는 신라어로 물[水]을 뜻한다고 한다. 다사읍(多斯邑)은 인접한 하빈면과 함께 그 일대를 예로부터 다사지현(多斯只縣) 또는 답지(畓只), 별호 금호(琴湖)라고 불렀는데, 신라 757년(경덕왕 16)에 하빈현으로 고쳐서 대구현 등과 함께 수창군(壽昌郡)의 속현(屬縣)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에 있는 청주 양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 달래마을은 청주양씨(淸州楊氏) 집성촌이다. 이 마을은 1610년(광해군 2)에 훈련원(訓鍊院) 판관(判官)을 지낸 청주인 양득효(楊得孝)가 입향한 이래 양씨들의 세거 집성촌이 형성되었다.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를 보면 총 69가구 중 청주양씨가 42가구라고 기록되어 있어 당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1리에 있는 김해김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1리 매실마을은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집성촌이다. 김해김씨들이 언제부터 이 마을에 입향하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를 보면 마을에 거주하는 250가구 중 74가구가 김해김씨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해김씨 문중의 건물인 매천정과 세한정, 학화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에 있는 파평 윤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의 파평윤씨(坡平尹氏) 집성촌은 1571년(선조 4)경 경기도 파주군 문양포에 살던 윤인협(尹仁浹)이 마을에 입향한 이래 윤씨들의 세거 집성촌이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마을 이름도 입향조가 살던 고향 이름을 따서 문산골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지금도 50여 가구의 윤씨들이 살고 있다. 낙동강...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1리에 있는 동래정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1리 용두골 마을은 동래정씨(東萊鄭氏) 집성촌이다. 입향조는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 장군을 도운 의병장이었던 문상재(汶上齋) 정상구(鄭尙耉)이다.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에서는 마을에 거주하는 68가구 중 42가구가 동래정씨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도 30여 가구의 정씨들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2리에 있는 성주이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2리 서부실 마을은 성주이씨(星州李氏) 집성촌이다. 조선 1780년(정조 4)에 성주인 경채당 이인선(李仁善)이 입향한 이래 세거 집성촌이 되었다.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를 보면 마을에 거주하는 58가구 중 42가구가 성주이씨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도 성주이씨들...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박곡리에 있는 동래 정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박곡리 박실마을은 동래정씨(東萊鄭氏) 집성촌이다.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를 보면 총 82가구 중 동래정씨가 62가구라고 기록되어 있어 당시까지만 해도 동래정씨들로 구성된 종족 마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도 정씨들이 마을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인근의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굼마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에 있는 문화 유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박실원마을은 문화유씨(文化柳氏) 집성촌이다. 유반(柳班)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는 이 마을은 1557년 조선 선조(宣祖) 때 문화인 유희상(柳希祥)이 입향한 이래 문화유씨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1998년에 편찬한 『달성 마을지』를 보면 총 81가구 중 문화유씨가 59가구라고 기록되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성주 도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도촌 마을은 성주도씨(星州都氏) 대종파(大宗派) 집성촌이다. 그러나 지금은 대구광역시의 배후 도시로 아파트와 상가가 밀고 들어와 아파트촌으로 변모한 가운데, 도씨들의 집성촌이 가까스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성주도씨는 고려태조(太祖)가 후삼국을 통일할 당시 명망이 높은 지방 호족이었던 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에 있는 능성구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굼마 마을은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집성촌이다. 굼마 마을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의 자연 마을로 들이 넓은 지역이다. 세천리는 마을의 삼면을 금호강이 둘러 흐르고 있는 지형에 위치하고 있고 마을 앞에 늪이 있어 누시울 또는 세천이라 불리었다. 세천리는 금호강이 동쪽에서 서쪽~남쪽으...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에 있는 추계 추씨 동성 마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이내마을은 추계추씨(秋溪秋氏) 집성촌이다. 전형적인 배산임수형인 이내마을은 1520년(중종 15)경 통훈대부(通訓大夫)를 지낸 추계인 추상의(秋尙義)의 7대조 추세(秋世)가 입향하여 살면서 추씨들의 세거 집성촌이 형성되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약 80여 가구 중 60여 가구가 추계추...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다사읍 관할 행정 기관. 다사읍 행정복지센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6개 읍[화원읍·논공읍·다사읍·옥포읍·현풍읍·유가읍], 7개 면[가창면·하빈면·구지면] 중 다사읍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행정복지센터는 행정의 능률과 주민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등록·주민 등록 업무·민원서류 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장학회. 다사장학회는 다사읍 출신 또는 거주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적이 우수하면서도 생활 환경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 학생과 각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다사읍을 빛낼 훌륭한 인재를 발굴·육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다사장학회는 2008년 지역 11명의 독지가와 문양2리 마을회로부터 3억 원의 기금을 출연 받아 2008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신체적 역량을 지닌 사람', '정서적 역량을 지닌 사람', '사회적 역량을 지닌 사람', '도덕적 역량을 지닌 사람', '지적 역량을 지닌 사람'이다. 교훈은 '성실·창의·봉사'이다. 1951년 3월 1일 사립 다사중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74년 3월 1일 공립 왕선 중학교로 전환하여 재개교한 후 동년 7월 3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산리(丹山里)는 봉단산(鳳丹山) 아래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대구부 하수남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수남면이 달성군 가창면으로 재편됨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단산동이 되었다. 1958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대구시에 편입되어 대구시 단산동이 되었다. 1963년 1월...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오리와 달서구 상인동을 연결하는 고개. 달비고개라는 이름은 '달비골'에서 유래하였다. 927년 왕건이 공산전투에서 견훤에게 크게 패한 후 도망치는 중에 어느 계곡에 위치한 임휴사에서 쉬고 있을때 크고 둥근 달이 떠올라 왕건의 등 뒤를 비추어 '달배(月背)골'이라고 불려졌다는 설과 '계곡이 깊어 달이 뜨면 달빛이 계곡을 환하게 비춘다'고 하여 달비골이라고 불...
-
대구광역시 대덕산 남쪽과 청룡산 북쪽에 위치한 달성군의 계곡. 달비골은 927년(태조 10) 공산전투에서 왕건이 견훤에게 크게 패한 후 계곡에 위치한 '임휴사'에서 쉬는데, 그때 크고 둥근 달이 떠올라 왕건의 등 뒤를 비추어 그 계곡을 '달배골[月背]'이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계곡의 골이 깊어 달이 뜨면 달빛이 계곡에 비춰진다' 하여 달비골로 불렀다고 전한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감문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와 소질을 계발하여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도덕적인 예절인을 기른다',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여 미래 지향적인 세계인을 기른다', '다양한 체험 학습과 수련 활동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활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이다. 1967년 10월 10일 학교 법인 달성 학원의 설립...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감문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창의와 소질을 계발하여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도덕적인 예절인을 기른다',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여 미래 지향적인 세계인을 기른다', '다양한 체험 학습과 수련 활동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생활인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성실'이다. 1967년 10월 10일 학교 법인 달성 학원이 설립 인...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주최로 매년 10월에 열리는 독서 발표 대회. 달성 독서종합발표대회는 우수 학생을 발굴하여 시상함으로써 바람직한 독서 생활의 습관화 및 건전한 인성 함양을 이루고 독서를 통하여 정보의 수용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력을 높이고자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주최로 1998년부터 개최되었다. 달성 독서종합발표대회는 연간 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원교리에 있는 사회봉사 단체. 세계 모든 사람들 사이에 ‘너그러운 이해’의 정신을 조성하고, 도덕적인 정부와 시민을 장려하며, 시민·사회·상업·도덕의 번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Liberty, Intelligence, Our Nation's Safety’의 머리글자에서 단체의 명칭이 정해졌다.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봉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사회봉사 단체. 로타리 클럽은 인도주의 활동을 통해 세계 이해와 평화 증진에 이바지하고, 환경 보호와 같은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 현안들에 대처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봉사 단체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민간 봉사 단체로서 '초아의 봉사'라는 모토에서 볼 수 있듯이 주요 목적은 지역 사회, 직장,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의 봉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 비슬산 자연 휴양림 인근에 위치한 암괴류. 달성 비슬산 암괴류는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화강암의 거석 또는 바위나 자갈 크기의 둥글거나 각진 암석 덩어리들이 집단적으로 산 사면이나 골짜기에 솔리플럭션(solifluction)과 동상 포행(凍上匍行) 등에 의해 아주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쌓여 형성된 특이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달성 비슬산 암괴류의 형성...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대에 분포하는 습지. 달성 습지(達成濕地)는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대를 포함하여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호촌리 일대에 걸쳐 있다. 달성 습지는 낙동강과 금호강, 진천천과 대명천이 합류하는 지역에 자리한다. 보기 드문 범람형 습지로 주변으로는 충적 저지와 범람원이 발달하여 있다. 금호강 최하류의 제내지(堤內地)[둑 안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노인 경제 활동 지원 시설. 노인 일자리 전담 기관인 달성 시니어클럽은 고령화로 인해 늘어나는 노인 세대의 부양 부담과 노인 단독 세대, 노인 빈곤 및 사회와의 단절 등 다양한 노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지역 사회 어르신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내에 있는 학습 능력 향상 지원 센터. 달성 에듀콜센터는 2012년 8월 16일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이 상담 및 학습 코칭을 통하여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청내에 개소하였다. 달성 에듀콜센터는 학습 코칭 및 상담이 필요한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습 태도 향상 프로그램...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산하에 설치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재 발굴 및 양성 기관. 달성 영재교육원은 2004년 수학·과학 및 발명 영재를 조기 발굴하여 그들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산하에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다. 2004년부터 운영되어 온 달성 영재교육원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를 대상으로 수학과 과학, 발명 분야에 대한 영재 교육...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사회단체. 달성 청년회의소는 지도 역량 개발, 지역 사회 개발, 국제 우호 증진의 순수 3대 이념을 실천하고, 다음 세대를 이끌어 나간다는 책임과 지역 사회 활동을 통하여 내일의 지도자를 양성하며, 회원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세계 평화와 인류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1988년에 창립하여 현재까지 지역의 재능 있는 젊은 인재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하리에 있는 지역 축산업협동조합. 1983년 1월 13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 186번지에 설립된 지역 축산업협동조합으로서 축산업 농가의 소득 증대와 조합원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조직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 축산 농가 조합원의 생산성 제고와 함께 생산 축산물의 판로를 개척 및 확대하고 유통의 원활한 흐름을 만들며, 필요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는 한국·일본 양국의 교류를 알 수 있는 전시관. 달성 한일우호관(達城韓日友好館)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장수로 와서 조선에 귀화(歸化)하여 조선에 조총(鳥銃) 기술을 알려 주고, 대구광역시 달성군 우록리에 정착한 모하당(慕夏堂) 김충선(金忠善)을 기리고, 한국과 일본의 우호와 문화 관광 교류를 위하여 건립되었다. 2011년 4월 17일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북리·본리리 일대에 조성된 일반 산업 단지. 달성1차산업단지는 새로운 공업 기지 조성을 통하여 국토의 균형 개발과 토지 이용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공업의 지방 분산 유치에 따른 지역 격차 해소, 소득 증대, 고용 기회 제공을 목적으로 총면적 4.07㎢의 규모로 조성된 내륙 공업 단지이다. 1979년 3월 23일 건설부 공고 제35호로 지방 공업 개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와 논공읍 본리리를 연결하는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의 터널. 달성1터널은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중부 내륙 고속 국도 지선]에 위치하고 있는 터널이다.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은 중부 내륙 고속 도로 본선과 지선이 갈라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리(池里)의 현풍 분기점[현풍 JC]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의 금호 분기점[금호 JC]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예현리·응암리·내리·창리 일원에 조성된 일반 산업 단지. 달성2차산업단지의 설립 목적은 전자·반도체 장비·정보 통신[IT] 분야 등의 기업 유치로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1991년 7월 10일 지방 공단 지정[경상북도 고시 제254호]을 받았으며, 1995년 10월 23일 실시 계획 승인[대구광역시 고시 제1995-210호]을 받았다. 1995...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를 통과하는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의 터널. 달성2터널은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중부 내륙 고속 국도 지선]에 위치하고 있는 터널이다. 중부 내륙 고속 도로 지선은 중부 내륙 고속 도로 본선과 지선이 갈라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리(池里)의 현풍 분기점[현풍 JC]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의 금호 분기점[금호 JC]에 이르는 30㎞ 거...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에서 관내 교직원에게 수여하는 교육 상. 달성교육상은 달성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교직원을 발굴하여 포상하기 위해 1981년에 제정되었다. 교원의 사기 진작은 물론 달성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 정책의 일환이다. 1981년 제1회 달성교육상 수상에는 초등학교 부문 한 명만 선발하였으나 1984년 제3회 달성교육상부터 중·고등학교 부분까지 확...
-
대구광역시 달성교육지원청 주관으로 매년 열리는 초등학생, 중학생 육상 대회. 달성교육지원청 교육장배 육상경기대회는 학생들의 건전한 운동 풍토를 조성하여 건강 체력을 증진하고 육상 경기 인구의 저변 확대로 잠재력이 있는 우수 선수를 발굴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개최되었다. 9월에서 10월 사이에 대구 시민 운동장 육상 경기장에서 열리는 육상 대회이다. 달성군 내 초등학생, 중학생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있는 생활 체육 시설. 달성국민체육센터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여가 활동을 위하여 총 사업비 78억 원을 들여 건립되었다. 2009년 6월 건축 설계 공모 및 설계 용역을 착수하였고, 2010년 12월에 착공하여, 2013년 4월 29일에 준공하였다. 개관은 2013년 10월 29일에 하였다. 달성국민체육센터의 대지 면적은 4,968㎡, 연면적은...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 주최로 매년 열리는 국악 경연 대회. 대구광역시 교육청 소속 동부, 서부, 남부, 달성 4개 지원청에서는 10월에 1~2일 정도 대구 학생 문화 센터에서 학생 작품 전시, 공연 등을 추진한다.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은 그 행사의 일환으로 달성국악경연대회를 개최한다. 달성국악경연대회는 지역 내 우수한 국악 인재를 발굴하고 국악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 개청 100년 기념 상징 조형물. 달성군 100년 타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군 개청 100년을 기념하고, 미래 100년의 비상을 상징하기 위해 만든 '100년 달성' 기념 상징 조형물이다. 달성군의 100년 역사와 군민의 자긍심을 상징하기 위한 달성군 100년 타워는 2014년 6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5년 4월에 최종 완공,...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달성 지역 근로자 복지 지원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 거주 노동자들의 권익과 복지 증진을 위한 시설로서 현재 한국 노동조합 총연맹 달성 지역 지부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노동 상담소를 통하여 근로자들의 문제를 전문적으로 상담하여 해결하여 주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 근로자의 복지 증진과 문화 생활 향상을 제공...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노인복지관. 달성군 노인복지관은 노인 여가 시설로서 종합 상담, 교양, 취미 생활 및 사회 참여 지원, 건강 증진 등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종합 복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 거주 노인의 건강 증진, 교양, 오락 그 밖의 복지 증진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
광복 후 달성군에 설립되었던 좌익 농민 운동 단체. 달성군 농민조합은 1945년 12월 전국 농민 조합 총연맹 결성에 앞서 결성된 것으로 보인다. 달성군 농민조합이 결정되기 전인 1945년 10월에는 대구 지역과 함께 대구 달성 연합 농민 조합 협의회가 결성되어 있었다. 달성군 농민 조합은 농촌 지역인 달성군의 농민 문제, 곧 소작료와 토지 문제 해결 그리고 이를 위한 정치 활동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다문화 가족 전문 지원 기관. 달성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여성 가족부의 지원을 받아 달성 복지 재단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전문 지원 기관으로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지역 공동체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건강한 다문화 사회 건설을 추구하고 있다. 달성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한국어 교육, 가족 통합 교육,...
-
대구광역시 달성군 공무원들로 구성된 독서 문학 단체. 문학을 사랑하는 달성군 지역 공무원들이 전국의 유명 문학관과 기념관 등을 견학하며 선인들의 발자취를 더듬고 그들의 삶을 담아보고자 달성군 독서문학회 글LOVE를 창립하였다. 2007년에 설립하여 제1대 전종율, 제2대 백진흠, 제3대 서점태, 제4대 이재석이 회장을 맡았다. 주로 봄가을에 청마 문학관, 이육사(李陸史) 문학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비슬로 130길 17에 있는 달성군 관할 공공 보건 의료 기관. 달성 군민의 다양한 보건 의료 욕구를 충족시켜 군민의 건강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달성 군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달성군 보건소는 1963년 11월 1일 달성군 조례 제28조에 의거 대구시 중구 태평로 대구역 앞에 설치되었다. 1968년 10월 18일 달성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사회적 경제 주체들의 협의회. [예비] 사회적 기업과 마을 기업, 협동조합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과 이해·협력을 통하여 사회적 경제 주체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2013년 7월 19일 [예비] 사회적 기업, 마을 기업, 협동조합 등 18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달성군 사회적경제협의회가 출범했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새마을 운동 단체.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근면·자조 협동이라는 새마을 정신에 입각한 새마을 운동에 나눔·봉사·배려의 실천 덕목을 더해 선진 군민 정신 함양 운동을 전개하는 단체다.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바탕으로 새마을 운동의 지속적인 추진과 향상을 도모하고 달성군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3월 1일 새마을 운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 성하리에 있었던 생활 체육 단체. 달성군 생활체육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생활 체육 진흥 및 육성 사업 지원 업무를 수행한 체육 단체다. 생활 체육 진흥을 통한 군민 건강과 체력 증진, 군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과 선진 체육 문화 창달, 체육의 생활화 운동 전담, 다양한 체육 동호인 조직 활동에 대한 체계적 지원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달성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 제114조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된 국가 기관이다. 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 재판소 등과 병립하는 독립된 합의제 헌법 기관으로 선거와 국민 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과 정치 자금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있다. 달성군 선거관리위원회는 중앙 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시·도 선거관리위원회인 대구광역시 선거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달성군 산하 공기업. 달성군 시설관리공단은 군내 각종 공공시설의 관리 및 운영을 대구광역시 달성군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는 공기업으로 2014년 4월 출범했다. 군내 각종 공공시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증대, 민간 경영 기법 도입을 통한 비용 절감, 고객 감동 서비스를 실현하고, '꿈이 이루어지는 행복한 달성'을 만드는 밀알이 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군민들을 위한 문화 공간. 전시·공연·문화 강좌·생활 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달성군민들이 문화 생활과 여가 선용, 건강 증진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2011년 1월에 달성문화센터 운영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 후 달성문화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고, 2011년 6월 3일에 건축물이 준공되었다. 2011년 7월 15일...
-
한국 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경상북도 달성군에서 발생한 양민 학살 사건. 한국 전쟁 중 남한 지역에서 진행된 양민 학살은 국군 및 미군, 인민군 등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남한에 의한 양민 학살은 인민군이 점령하였던 지역, 빨치산 근거지 일대, 전쟁 직후 비점령 지역 등에서 최소한의 법적인 심리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 1949년 6월 5일 결성...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달성 지역 여성단체협의회. 여성 단체들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양성 평등 실현 및 지역 사회 복지 증진을 통하여 달성군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여성 단체이다. 대구광역시 달성 군내 여성 단체의 친목을 도모하며 지역 사회 발전 및 주민 복지 증진을 통하여 달성군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1년 2월 6일 설립되었으며 초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여성 문화 복지 기관. 지역 여성들의 사회 참여와 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달성군 시설 관리 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설로서 각종 문화 체육 공연 전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자녀와 남성 모두에게 개방하여 군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 여성의 능력 개발과 사회 참여 및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각 읍면 이장 협의회로 구성된 연합 단체. 달성군 이장연합회는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행정 기관에 전달·반영, 리의 발전을 위한 자주적·자율적 업무 처리, 지역 주민 간 화합 단결과 이해의 조정에 관한 사항, 기타 지역 주민의 편의 증진과 봉사의 임무를 담당하는 이장들의 협의체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내 현직 이장들로 구성되며 각 읍·면 이장 협의회 회장,...
-
1945년 광복 직후 달성군에서 조직된 민간 자치 기구. 광복 직후 결성된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1945년 9월 6일 조선 인민 공화국으로 개편됨에 따라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달성군 위원회도 같은 해 10월에서 12월 사이에 달성군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고, 인민 위원장에는 김선기가 선정되었다. 대구의 북성로에 사무실을 두고 활동하였다. 달성군 인민위원회의 지역에 대한 통치 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 달성군 인터넷 방송은 보다 좋은 정보 및 편의의 제공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알 권리를 보호하고 달성군의 다양한 모습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었다. 2000년에 전국 최초로 인터넷 농업 방송을 시작한 후, 산업, 교육, 관광, 건강 방송이 추가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농업, 산업, 교육, 관광, 건강 등 총 다섯 가지 방송으로 나누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장애인 종합 복지관. 달성군 장애인복지관은 지역 장애인의 복지 향상은 물론 군민 모두가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달성군을 대표하는 복지 시설이다. 달성군 장애인복지관은 달성군 및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에게 상담, 의료, 교육, 직업, 사회 심리, 지역 생활 지원, 스포츠 여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 달성군 장애인재활자립작업장은 장애인 편의 시설이 갖추어진 자립원과 장애인 복지관 등 각종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사업장에 고용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인의 재활 자립을 도모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데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달성군 재활 자립원은 2002년 3월 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재향 군인 단체. 재향군인회의 회원 상호 간의 상부상조를 통한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복지 증진 및 권익 신장은 물론 유사시 향토 방위의 협조 및 지원, 국제 재향군인회와의 친선 유지 및 유대 강화, 호국 정신 함양 및 고취 활동 등을 끊임없이 수행하여 왔으며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의미의 견인차 역할과 대변자 역할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달성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성 문화 재단에서 개최하는 전국 규모의 사진 공모전. 달성군의 매력적인 관광 자원 발굴을 통하여 달성 관광의 우수성을 알리고 새로운 이미지의 관광 자원을 대외 홍보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2012년 100년 달성 전국 사진 공모전을 처음 개최하였다. 달성 전국사진공모전의 응모 분야는 강정보·달성보·비슬산 및 달성의 관광 자원 등을 소재로 한 작품, 달성의 전통 문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정신 보건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 군민의 정신 건강을 위해 달성군 보건소와 서대구 대동 병원이 협력하여 지역 사회 정신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2007년 개소하였다. 부속 기관으로서 전국 최초로 통합 정신 치매 센터[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테크노상업로 95의 유가면사무소 1층:최초설립지]를 개소하여 운영 중이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종합 사회 복지 시설. 달성군 종합사회복지관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종합적인 복지 사업을 실시하여 지역의 자원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의 경제·사회·문화적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하며, 소외 계층의 참여 의식과 자립 능력을 배양하여 지역 주민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있는 종합 복지 센터이다. 저소득층 주민의 자립 능력 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지역 청소년을 위한 전문 문화 시설. 달성군청소년문화의집은 군민의 문화적 정서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여가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달성군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영되는 청소년 전문 문화 시설이다. 달성군 청소년들의 정보·문화·체험·휴식 공간이자 창작 공간으로서 건립되었다. 청소년들을 위한 건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및 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달성 지역 청소년센터. 지역 청소년의 활동을 지원하고, 청소년의 복지를 증진하며, 사회 여건과 환경을 청소년에게 유익하도록 개선하고 청소년을 보호하고 청소년에 대한 교육을 보완함으로써 청소년의 균형있는 성장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청소년의 복지 증진과 정서 함양 등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한 청소년의 수련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달성...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열리는 지역 청소년들의 축제 행사. 청소년의 달인 5월을 맞아 청소년들에게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주인 의식을 고취시켜 건전한 청소년으로 육성하기 위해 달성군 청소년축제 한마당을 개최하였다. 초창기 행사 명칭은 ‘달성군 청소년축제 한마당’이었으나, 2015년 ‘달성군 청소년축제 한마당’에서 ‘달성군 청소년축제’로 개칭하였다. 달성군 청소년축제는 청소년의 달 기념식...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있는 체육 단체.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체육 진흥 및 육성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달성군 체육회는 1987년 결성되어 운영되다가 2016년에 달성군 체육회와 달성군 생활 체육회를 합친 통합 ‘달성군 체육회’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해체되었다. 체육 단체 통합은 2015년 3월 「국민 체육 진흥법」 개정에 따른 것으로, 달성군은 2015년...
-
달성 복지 재단과 달성군 지역 사회 복지 협의체가 매년 주관하는 행사. 달성 복지 재단과 달성군 지역 사회 복지 협의체는 사회 복지 종사자들의 자긍심 고취 및 결속 강화를 하고 복지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2012년 9월 21일 달성군 행복복지한마당 행사를 처음 개최하였다. 2015년 달성군 행복복지한마당 행사는 10월 31일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
-
개청 100주년을 맞아 '대구의 뿌리 달성 꽃피다'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새로운 100년을 향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대구광역시 달성군은 2014년에 개청 100주년을 맞이하여 '대구의 뿌리 달성 꽃피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새로운 100년을 향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달성군은 1995년에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달성군립 도서관은 100년 달성의 미래를 열어갈 지식·정보의 요람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 지역민에게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14년 3월 20일에 개관하였다. 달성군립 도서관의 대지 면적은 1,954㎡, 건축 면적은 678.18㎡, 연면적은 2,007.68㎡이며, 지하 1층·지상 3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군립 합창단.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합창단으로 관내 각종 공연 및 음악 활동 지원을 통해 달성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군민의 정서 함양과 지역 문화 예술 진흥을 위해 설립되었다. 달성군립 합창단은 1999년 5월 창단되었고, 2013년 6월 달성 문화 재단 소속으로 이관되어 활동을 펼치고 있다. 달성군립 합창단은...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향토의 명예를 드높인 사람 또는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 달성군민상은 지역 사회 발전과 경제 활성화 등 각 분야에서 향토의 명예와 군민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묵묵히 일해 온 사람을 표창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1985년 군 조례 제1007호로 제정되어 시행되다가 1995년 달성군의 행정 구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됨으로써 1996년 9월 25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이 군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날. 달성 군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높이고 화합 단결하는 정신으로 전 군민이 경축하기 위해 1996년 9월 25일 조례 제1592호 「대구광역시 달성군민의 날 조례」가 제정되었다. 달성군민의 날은 매년 10월 9일로 정해져 있으며 달성군청과 군민들은 이날을 기념하는 행사와 군민의 화합과 발전을 위한 축제 행사를 함께...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달성군민의 날을 기념하여 매년 10월에 열리는 기념행사. 달성 문화원은 군민의 날을 기념하여 1996년부터 문화행사를 주관하였다. 군민의 날 기념 문화행사는 달성 문화원 전시실에서 열리는 달성 충효 예술제 행사와 달성군 현풍읍 상리 사직단에서 열리는 사직제 행사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 기간은 제1회 군민의 날 기념 문화행사[1996년]부터 제8회 군민의 날 기...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매년 10월 9일에 열리는 읍·면 대항 체육 대회. 달성군은 행정 구역의 개편으로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로 편입된 이후 1996년 10월 군민의 날 행사와 함께 군민 체육 대회를 개최하였다. 군민 체육 대회는 매년 10월 9일 달성 군민의 날 행사와 함께 치러지며, 참여 인원은 지역 주민을 비롯해 달성 군수, 지역 국회 의원, 달성군 의회 의장 및 의원, 재경...
-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각 읍·면에 있는 공립 작은도서관 시설. 달성군은 지리 및 문화적 여건을 극복하고 지역민의 문화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각 읍·면에 공립 작은도서관을 건립하였다. 2005년 달성군청 도서관 건립을 시작으로 현재 총 11개의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달성군의 공립 작은도서관으로는 달성군청 도서관,다사읍 작은도서관, 화원읍 작은도서관, 논공읍 작은도서관, 다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화원읍·논공읍·현풍읍·옥포읍·유가읍·구지면·가창면]을 중심으로 하여 달서구·남구·수성구와 경상북도 청도군[각북면·이서면·풍각면], 그리고 경상남도 창녕군[성산면]에 걸쳐 있는 산지. 달성군 남쪽 대부분 지역에 걸쳐 있는 비슬산의 면적은 1,300만㎡로, 1986년 2월 22일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토산(土山)이면서 산줄기가 각 방향으로 뻗어 있어 산세(山勢)...
-
한국 전쟁 전후 달성군에서 자행된 양민 학살 현장에 대해 조사·발굴한 사건. 한국 전쟁 전후 달성군에서 자행된 양민 학살은 사형 선고라는 법적인 근거 없이 국가 권력에 의해 자의적으로 이루어진 것이었기에 법치주의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에 따라 양민 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1960년 국회 특별 조사반이 진행한 달성군의 양민 학살 현...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위한 시설. 달성군 시설 관리 공단에서 관리하는 시설들로 공공 체육 시설과 동네 체육 시설로 나눌 수 있다. 공공 체육 시설은 군민 전체가 이용하는 체육 시설이고, 동네 체육 시설은 달성군 내 각 읍·면의 동네에 마련된 각종 체육 시설이다. 달성군에 있는 각종 체육 시설은 군민들의 체육 증진 활동을 위하여 198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의 행정 사무를 맡아 보는 지방 행정 관청. 달성군청은 비슬산 참꽃을 브랜드로 삼고 있으며 ‘대구의 뿌리 달성 꽃피다’라는 슬로건을 앞세워 대구의 뿌리에서 대구를 넘어 대한민국 중심 도시로 거듭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행정과 자치 업무 등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조선 총독부의 대규모 군·면 통폐합...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청 내 도서관. 2005년 달성군민들의 풍성한 독서 문화 향유를 위하여 달성군청 내에 도서관 및 열람실을 조성하였다. 달성군청 도서관은 달성군청 문화 복지 시설 2층에 조성된 도서 대출 및 열람 공간으로, 열람실 외에 서고·도서 자료 보관실·인터넷 검색실 등의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총 면적은 332.02㎡이고, 열람실은 145.45...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다사 농악 보존·공연 단체. 달성다사농악보존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일대에서 공연하던 달성 다사 농악 12차 진굿의 보존 및 전승하기 위해 만든 단체이다. 달성 다사 12차 진굿을 보존하고 계승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 전통 문화 예술의 창달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제4대 상쇠 배기순[1931~2009]은 광복 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에 있는 지역 문화 개발과 향토 문화 연구를 위해 설립된 문화 예술 단체. 달성문화원은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 향토 문화의 개발·연구·조사 및 문화 진흥 사업을 통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5년 11월 21일 창립총회를 거쳐 1986년 2월 5일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 상리에서 개원하였다. 1986년 달성문화원 개원 당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문화 예술 진흥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예술 공연 및 문화 진흥을 위하여 문화 예술의 창작 및 활동 지원과 개발, 자문 등 달성군의 문화 예술 활동의 진흥을 위해 달성군수가 위탁하는 사업을 하는 문화 재단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문화 예술 진흥과 지역민의 문화 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10년 9월 17일 재단 설립 기본...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하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인안리에 있는 낙동강 보. 달성보(達城洑)는 취수 기능을 확대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청정 에너지인 소수력 발전과 친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4대 강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2월 2일 착공되었으며, 2011년 11월 26일에 준공되었다. 총길이는 580m[가동보 162m·고정보 418m]이며, 높이는 9....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역에서 달성군 화원읍·옥포읍·논공읍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숲속 도보길. 달성보 녹색길은 인근 주민들에게 볼거리를 갖춘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도보길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에 개장하였다. 달성보 녹색길은 대곡역에서 출발하며, 대구 수목원을 거쳐 화원읍의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南平文氏本里世居地)[대구광역시 민속 문화재 제3호], 까치봉, 기내미재[약...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사회 복지 기관. 달성복지재단은 군민의 증가하는 복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분산되어 위탁 중인 시설 가운데 유사한 것은 한곳으로 모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이다. 군민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부응하고 복지 서비스의 전문성을 증진하여 내실있는 사회 복지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생활 정보 포털 사이트. 달성사랑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취업, 부동산, 맛집, 문화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정보지로서 코리아 사랑에서 운영하고 있다. 코리아 사랑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53길 90[구로동 615-1]에 있다. 지역민들에게 좋은 정보를 상세히 제공함으로써 생활의 편익을 도모하고, 지역 사업자들에게 광고를 할...
-
1990년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성산업단지에서 일어난 노동운동. 달성산업단지(達城産業團地)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과 구지면에 위치한 지방 산업 단지이다. 대구광역시의 섬유 공업과 창원시의 기계 공업 등 두 공업 지역을 연결하는 연관 공업을 유치, 발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달성군 논공면과 구지면 일대에 1979년 3월 23일 건설부가 지방 공업 장려 지구로 지정 및 개발하였다....
-
달성 산업 단지 입주 기업체 및 지원 기관의 각종 산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공공 기관. 달성 산업 단지의 총면적은 4.07㎢이고, 조성 대상 면적은 2.55㎢, 공장 분양 면적은 25만 1000㎡이다. 달성산업단지관리공단은 「산업 집적 활성화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 제31조」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목적은 달성 산업 단지 입주 기업체 및 지원 기관의 각종 산업...
-
달성군 노인 복지 회관에서 출판 기념회 및 시화전 등을 중심으로 열리는 문학제. 2011년에 달성 실버 문학집 『아름다운 울림』 창간호를 발간하였으며, 2014년에 『아름다운 울림』 제3호를 발간하는 한편, 대표 글을 낭송하는 시간을 가졌다. 달성실버문학제는 『아름다운 울림』이라는 문학집을 발간하고 시화전을 개최하거나 낭송회를 가지기도 한다. 『아름다운 울림』은 문학을 꿈꾸는 50...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진행되는 지역 순회 기획 공연. 2011년 달성 문화 재단의 출범과 함께 달성군 내에서 상대적으로 문화 공간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민들의 문화 활동을 장려하고, 주민들에게 문화 공연 등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문화 향수 욕구를 충족시키며, 군민 화합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달성예술꽃마차를 시작하였다. 연간 수차례에 걸쳐 각종 장르의 음악 공연, 찾아가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원교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 담당 기관. 달성우체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우정 사업 본부 경북 지방 우정청 산하 우체국이다. 달성우체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우편·체신·금융 관련 사업과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1년 현풍 우편소로 문을 열었으며 1941년 현풍 우편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인 1...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에 있는 유교 교육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 전통문화와 미풍양속을 익히고 체험하는 교육 기관이다. 달성유림교육원은 지역 유림 간의 소통과 화합 및 청소년 세대를 위한 인성 교육 실시, 그리고 민족정신과 도덕성 함양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2012년 5월 24일 개관한 달성유림교육원은 현풍 향교 소속으로, 그 전신(前身)은 유림 회관(儒林會館)이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이 주최하고 달성 문화 재단이 주관하는 음악회. 달성음악회는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예술 공연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고 일상에 지친 심신을 해소하며 건전한 여가 생활 즐기게 할 목적으로 2015년 8월 8일 처음 개최되었다. 2015년 달성음악회는 주제와 일시, 장소, 출연진 등을 달리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총 3회 개최되었다. 대중가요, 가곡, 팝페라 등 다양한...
-
1946년 10월 달성군에서 발생한 노동자·시민의 파업 사건. 1946년 9월 대구·달성 지역에서 식량 문제가 폭발 일로에 있을 때, 대구에도 총파업이 파급되었다. 당시 대구의 5개 신문사가 9월 25일부터 10월 3일까지 신문을 발행하지 못하였으며, 9월 24일 전국 노동 조합 평의회[전평] 경상북도 위원회의 파업 지시에 따라 9월 30일부터 모든 공장들이 파업에 돌입하였다. 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에 전승되고 있는 이천 농악 보존·공연 단체. 달성이천농악보존회는 이천 농악을 보존하고 전승하며, 지역 문화 발전과 이천 농악을 전국적으로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 예술 단체이다. 달성이천농악보존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에서 행해진 판굿을 계승한 이천 농악을 보존하고 이를 전승하여 지역의 전통문화의 정신과 그 예술성을 높이기 위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서 매년 4월에 개최되는 장애인 생활 체육·문화 행사.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체육 활동을 통해 장애인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유도하며 재활 의지를 높이고, 지역 장애인의 체육 활성화 및 생활 체육 저변 확대를 위해 2005년 4월 처음 달성장애인한마음축제를 개최하였다. 달성장애인한마음축제는 식전 행사와 기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장학회. 학업 성적이 우수하면서도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할 수 없거나, 각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달성군을 빛낼 인재를 발굴, 육성 및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10월 9일 달성장학회 육성 조례가 공포되었다. 2000년 2월 18일 발기인 총회를 개최했으며 4월 26일 장학 재단 설립 허가 및 설립 등기를 완료하고...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달성종합스포츠파크는 달성군민들의 체육 증진을 위하여 2014년 3월 31일에 개관되어, 축구 및 각종 스포츠 종목이 열릴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달성종합스포츠파크의 총 면적은 14만 4500㎡이며, 주경기장은 인조 잔디 축구장으로 400m 트랙이 설치되어 있고, 보조 경기장은 축구 전용 구장이다. 또한 테니스장 6...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심신이 건강한 사람[신체적 역량]', '미래 지향적인 사람[정서적·사회적 역량]', '가치관이 바른 사람[도덕적 역량]', '창의적인 사람[지적 역량]'이다. 교훈은 '성실·탐구·협동'이다. 1950년 10월 29일 경상북도 교육청으로부터 달성중학교로 설립 인가[6학급]를 받아 1951년 10월 22일 개교하였다....
-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 지원청에서 매년 개최하는 창의 과학 캠프. 달성창의과학캠프는 체험 및 놀이 중심의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 유발과 탐구력을 신장시키고, 협동 생활을 통해 집단 사고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기초 과학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어 미래 과학자로서의 태도를 육성하기 위해서 1994년 달성 교육 지원청 주최로 처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의 달성 문화원에서 군민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문화 학교. 달성 문화원은 사회 교육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존 및 전승하고,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 활용하도록 하고, 여가를 선용하여 건전한 생활 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2004년 달성충효문화학교를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 632번지[현풍동로 92] 달성 문화원 강의실에서 시작...
-
달성 문화원에서 매년 10월에 주관하는 작품 전시회. 달성충효예술제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존 전승하며 향토 작가의 창작 활동을 활성화하고 예술 작품을 통하여 문화 군민 자질 향상과 정서 함양에 기여하고자 1985년 달성군의 주관으로 처음 열렸다. 달성 문화원이 개원하면서부터는 달성 문화원이 주관하였다. 제3회 달성 충효제[1987년]와 제4회 달성 충효제[1988년] 때는 전야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성 문화원에서 여름 방학 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문화 학교. 조상의 충효 정신과 전통 예절을 가르쳐 미래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이 건전하게 성장하고 주인 의식을 고취하게 하기 위하여 달성군 주최로 1985년 제1회 달성 충효 교실이 열렸다. 1987년 폐지하였다가 1988년 재개하였다. 달성 문화원이 개원하면서 제2회 달성 충효 교실부터 달성 문화원이 운영...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있는 세계 평화 통일 가정 연합 소속 교회. 세계 평화 통일 가정 연합은 1954년 5월 1일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로 창립된 신종교 단체로, 약칭 통일 교회로 알려져 있다. 1994년 대한민국에서 세계 평화 가정 연합회를 설립하고 1996년 미국에서 세계 평화 가정 연합을 창설하여 1997년 기존의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를 세계 평화...
-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지. 달성포털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뉴스, 구인·구직, 부동산 등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정보지이다. 여론 조사, 뉴스 등의 언론 정보와 다양한 생활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게 하고,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과 소통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달성포털은 2005년에 개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월 1회 이상...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달성 하빈 들소리 보존 단체. 달성하빈들소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전승 되어온 농요로서 대구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된 민요이다. 영남 지역 메리토리의 선율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달성하빈들소리는 모두 10개의 소리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 해의 농사 순서와 일치한다. 지신밟기 - 가래질 소리 - 망개 소리 - 목도 소...
-
달성군의 지역 특산물인 토마토를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축제.. 달성군에는 논공 지역의 토마토 브랜드 '조은인연'을 비롯해 하빈면과 다사읍 등지에서 220여 농가가 연간 1만2천 톤의 토마토를 생산해 연간 150억 원 이상의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이렇게 달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토마토의 브랜드 가치 상승과 재배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달성군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 달성 중학교 내에 있는 위기 학생을 돕는 치료 상담 센터. 달성Wee센터는 위기에 처한 학생들이 건강하고 보람찬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원스톱 상담 및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이다. Wee는 We[우리들]·Education[교육]·Emotion[감성]의 약자이다. 어른들은 나[I]와 너[You] 속에 우리[We]를 발견할 수 있도록 사랑으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한정리에 있는 저수지. 달창지(達昌池)는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62년 5월 8일 설치 확정 승인을 받아, 1963년 11월 7일 착공하여, 1972년 12월 30일에 준공하였다. 총공사비는 11억 8842만 4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를 통해서 충당되었다. 달창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과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달천리(達川里) 앞으로 금호강(琴湖江)이 흘러 달내 또는 달천(達川)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한 옛날에 달천리에 지네가 많아 지네를 없애기 위해 닭을 길러 마을 이름을 달래(達來)라고 하였다. 이로 인해 달내·달천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동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남면이 다사면으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와 박곡리에 걸쳐 형성된 평야. 달천리 평야(達川里平野)는 곡류하는 금호강이 범람하여 우안(右岸)에 형성된 달성군 다사읍 박곡리와 달천리에 걸쳐 형성된 충적 평야이다.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이므로 달천리 평야라고 부르고, 줄여서 달천 평야라고도 한다. 금호강이 낙동강에 합류하기 전에 심하게 곡류하면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의 활주 사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김흥리에 있는 산. 당납산(幢納山)[401.4m]은 달성군 옥포읍 김흥리와 논공읍 본리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남동쪽의 비슬산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당납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이고, 산의 정상에는 잡목과 수풀이 우거져 있어 조망이 불량하다. 삼각점은 창녕 314이고, 위치는 경도 128.48, 위도 35.74이다. 당...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용리 비슬산 정상의 대견사지에 암석이 탑처럼 쌓여 있는 지형. 비슬산 대견사지 일대를 중심으로 탑처럼 쌓여 있는 각종 형상의 화강암 바위들이 많이 분포하는데, 이러한 지형을 학술 용어로는 토르(tor)라고 부르고 우리말로는 탑바위, 층바위라고 한다. 토르는 모습에 따라 부처 바위, 거북 바위, 곰바위 등으로 불리운다. 비슬산 대견사지 토르의 경우 지표 아래...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와 달서구 대곡동과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도시 철도 1호선 역. 대곡역(大谷驛)은 대구광역시 도시 철도 1호선의 서쪽 종점이다. 대곡(大谷)이라는 명칭은 역이 위치한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대곡이라는 지명은 예전 지명인 한실을 한자어로 바꾼 것으로 이 지역은 골이 깊고 큰 마을이란 뜻에서 한실로 불렸다. 부역명은 정부 대구 청사역이다. 대곡역은 20...
-
1948년 11월 경상북도 대구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 경비대 6연대의 좌익계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킨 사건. 국방 경비대 6연대는 1946년 2월 18일 대구에 창설되었다. 6연대는 4연대와 함께 군대 내 좌익 세력이 가장 깊게 뿌리내린 곳이었다. 1948년 4월 제주도에서 단선 단정에 반대하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된 이래 같은 해 10월 여수 14연대가 4·3 사건 진압을 거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자원봉사 활동 개발·장려·연계·협력 사업 수행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의 자원봉사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 지원 육성함으로써 공익을 위한 자원봉사의 촉진에 기여하는 자원봉사 인프라 구축 기구이다. 지역 내 자원봉사 활동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지원 육성하며, 자원봉사 단체 및 자원봉사 관계 기관과의 파트너쉽 구축을 통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유가읍 일대에 조성 중인 일반 산업 단지.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대구 경북 경제 자유 구역[DGFEZ]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부로부터 R&D 특구로 지정되어 동북아 R&BD의 허브로서 연구 기관·대학·기업을 중심으로 주거, 상업, 교육, 문화 등이 조화된 유비쿼터스 환경의 미래형 첨단 과학 도시로 조성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계획 인구 5만 명의 첨단 유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냉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튼튼한 몸을 가꾸는 사람', '긍정적이고 도전을 즐기는 사람', '소통하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 '정직하게 스스로 일을 하는 사람', '통합하여 창조적으로 표현하는 사람'이다. 교훈은 '정직하고 예절 바르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33년 12월 1일 가창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3...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치매 및 중풍 질환자 치료 기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노인을 위한 간호 및 부양이 치매 노인의 의존적 특성, 가족의 노인 부양 기능 저하 및 약화, 산업화로 인한 생활 패턴 변화 등으로 매우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구가톨릭치매센터는 논공 가톨릭 병원과 연계하여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즉각적인 진료·치료 서비스와 전문 요양...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소방 행정 기관. 대구강서소방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및 하빈면 일원과 달서구 13개 동[호산동·호림동·파호동·이곡동·갈산동·신당동·죽전동·감삼동·장기동·용산동·장동·월암동·대천동 일원]의 소방 업무를 수행한다. 대구강서소방서는 화재의 예방 및 진압, 긴급 구조 및 구급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에 있는 연구 및 교육 기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大邱慶北科學技術院)은 2003년 12월 11일 제정된 「대구 경북 과학 기술 연구원법」[법률 제6996호]에 따라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 공공 기관으로 약칭은 DGIST이다. 2004년 국책 연구 기관으로 출범한 대구 경북 과학 기술원은 고급 과학 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지식 기반 산업·첨단...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있는 달성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관할하는 대구광역시 교육청 산하의 교육 지원청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교육지원청은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제34조에 근거하여 시도의 교육 학예에 관한 사무를 분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구광역시 달성교육지원청은 달성군을 관할 구역으로 하고 있으며, 관할 구역 내 공·사립의 초등학교·중학교·기술학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농업 기술 지원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 농업기술센터는 달성군 지역의 농사와 생산 기술의 신속한 보급과 농촌 사회의 개조를 촉진하고 농민 생활 향상을 꾀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 기구이다. 1962년 3월 21일 제정·공포된 「농촌 진흥법」에 따라 전국에 설치한 농촌 지도소를 1998년 농업기술센터로 개칭했다. 21세기 달성군 농업의 발전을 위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민의 대의 기관. 대구광역시 달성군 의회는 1987년 헌법 제118조, 1988년 법률 제4004호, 1990년 법률 제4310호에 따라 지방 자치 제도가 부활함에 따라 1991년 4월 15일부터 활동을 재개한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주민 대표 기관이자 의결·입법 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구성된 최초의 지방 의회는 제1공화국 시기인...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부리에 있는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지역 사업소.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달성사업소는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7개 지역 사업소[중남부 사업소, 동부 사업소, 서부 사업소, 북부 사업소, 수성 사업소, 달서 사업소, 달성사업소] 중 하나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가창면, 다사읍, 하빈면 제외]의 상수도 관련 업무를 관할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기관.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매곡정수사업소는 대구광역시 상수도 사업 본부 산하 6개 정수 사업소[매곡정수사업소·고산 정수 사업소·문산 정수 사업소·가창 정수 사업소·공산 정수 사업소·죽곡 정수 사업소] 중 하루 생산 규모가 가장 큰 생활용수 생산 시설이다. 대구광역시 시민들이 365일 믿고 마실수 있는 깨끗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기관.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죽곡정수사업소는 대구광역시 상수도 사업 본부 산하 6개 정수 사업소[매곡 정수 사업소·고산 정수 사업소·문산 정수 사업소·가창 정수 사업소·공산 정수 사업소·죽곡 정수 사업소] 중 유일하게 공업용수를 생산, 공급하는 시설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일원에 조성된 공단 지역에 필요한 공...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에 있는 대구광역시 산하 환경 자원 관리 사업소. 대구광역시 환경자원사업소는 가정·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 폐기물을 보다 위생적이고 안정적으로 매립·처리함을 목적으로 조성된 대단위 환경 기초 시설이다. 친환경적인 환경 자원 사업소를 관리·운영함으로써 환경 오염 방지뿐 아니라 맑고 깨끗한 대구를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1982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부리에 있는 공공 도서관. 지식 정보 센터로서의 역할과 책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교육, 지역 주민들의 문화 역량 강화 및 학생들의 학습 공간 제공을 위하여 1991년 12월 20일 경상북도립 달성 공공 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 1995년 3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 달성군으로 행정 구역이 변경됨에 따라 대구광역시립 달성도서관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대구광역시립 희망원은 노숙인 복지 시설로서 1958년 12월 31일 설립하여 운영하다 1980년 4월 1일 대구 천주교 유지 재단에 운영권을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재단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이념을 바탕으로 일정한 거주지와 생계 수단을 가지지 못한 채 장기간 길거리에서 노숙 생활을 하는 노숙인을 보호하면서 그들에게 적절한 전문...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에 있는 대구 지방 교정청 산하 교정 기관. 대구교도소는 영남 지역 5개 광역시·도[대구광역시·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북도·경상남도]에 산재해 있는 18개 교정 기관의 교정 행정 업무 집행을 관리·감독하는 중간 감독 기관인 대구 지방 교정청 산하 기관이다. 대구 지방 교정청 산하 18개 교정 기관 중 교도소는 13개소[대구교도소, 경북 북부 제1교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사는 품성을 지닌 어린이', '꿈을 갖고 계획하며 키워 가는 어린이', '폭넓은 교양을 갖추고 깊이 있는 사고를 하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28년 5월 28일 구지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11월 1일 개교[4년제]하였다. 1938년 4월 1일 구지...
-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일대에 조성 중인 국가 산업 단지. 대구국가산업단지는 대구광역시의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글로벌 경쟁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9년 9월 30일 국토 교통부로부터 국가 과학 산업 단지로 지정되어,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국가산업단지는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인 미래형 자동차, 첨단 기계, 차세대 전자 통신,...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바르게 판단하여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굳센 어린이[건강인]', '푸르고 깨끗한 환경을 가꾸는 어린이[자주인]'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바르며 굳센 어린이'이다. 1963년 6월 1일 옥포 국민학교 금계 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은 후, 196...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정신과 몸을 가꾸는 어린이[건강]', '예술을 즐기고 창조하는 어린이[도전]',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어린이[정직]', '고장을 이해하고 봉사하는 어린이[소통]', '문제의식을 가지고 탐구하는 어린이[통합]'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바르며 굳센 어린이'이다. 1935년 4월 1일 논공 공립 보통학교 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인성]', '새로운 발상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어린이[창의]', '특기와 소질을 계발하여 품격 있는 삶을 가꾸는 어린이[교양]',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어린이[리더]'이다. 교훈은 '슬기롭고[智] 착하며[德] 튼튼한[體] 어린이'이다. 1996년 11월 9일 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배려와 예절을 실천하는 학생[덕(德): 공동체 의식 함양]', '남다르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학생[지(知): 창의·인성 함양]', '건강한 몸과 깨끗한 환경을 가꾸는 학생[체(體): 건강]'이다. 교훈은 '남다른 생각으로 창의성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33년 3월 29일 논공 공립 보통학교[4년제]로 인가를...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모두를 위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배려인]', '바르게 생각하고 스스로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기본 실력을 갖추고 새 생각을 펼치는 어린이[창의인]', '건강과 체력으로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건강인]', '긍정과 도전으로 꿈을 키우는 어린이[긍정인]'이다. 교훈은 '도덕적이고 창조적인 다사 어린...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중리에 있는 달성 지역 관할 치안 행정 기관. 대구달성경찰서는 대구광역시경찰청 산하에 설치된 10개 경찰 관서[중부 경찰서·동부 경찰서·서부 경찰서·남부 경찰서·북부 경찰서·수성 경찰서·달서 경찰서·성서 경찰서·달성 경찰서·강북 경찰서] 중 하나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 국가의 안녕, 질서, 관내 치안 유지 및 주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업무를 관할하...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원교리에 있는 소방 행정 기관. 대구달성소방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화원읍·현풍읍·유가읍·옥포읍·구지면 등 5읍 1면 63개 리의 소방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화재의 예방 및 진압, 긴급 구조 및 구급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 1-100번지에서 대구달성소방서로...
-
해방 후 대구와 달성 지역이 연합하여 결성한 최초의 농민 운동 단체. 해방 후 대구와 달성 연합으로 만들어진 농민 운동 단체로서 토지 문제, 농민의 사회 경제적 안정 등을 위해 활동하였다. 일제 강점기 토지 모순과 식민지 지주제의 모순을 혁파하고, 궁극적으로 토지 문제를 해결하며 당면 과제로는 소작료 개선을 통한 농민 생활의 안정을 목표로 하였다. 대구달성연합농민조합협의회는 이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있는 자활 센터. 대구광역시 달성군 관내의 자활 급여 특례자, 조건부 수급자, 일반 수급자, 차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자활 자립을 목표로 직업 능력 개발 훈련을 실시하고, 단위 사업단의 운영을 통하여 생활의 안정과 자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 기관으로서, 보건 복지부와 달성군이 지원하고 민간단체가 운영하고 있으며 생산적인 복지를 실현하고 있다. 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참되고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적]', '새롭게 궁리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지적]',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신체적]', '나보다 우리를 존경하는 어린이[정서·사회적]'이다. 교훈은 '힘 있고 참되며 멋을 갖춘 어린이'이다. 2004년 3월 1일 대구도림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은 김태일이다. 2016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서 동구 괴전동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노선. 대구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 최초의 지하철로서 기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의 설화명곡역, 종점은 동구 괴전동의 안심역[혁신 도시·첨복 단지]이다. 기점인 설화명곡역은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와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1995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상인역 공사 현장에서의 가스 폭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에서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노선. 대구도시철도 2호선은 대구를 동서(東西)로 가로지르는 지하철로서 기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의 문양역, 종점은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의 영남대역이다. 서쪽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는 문양역, 다사역, 대실역이 있으며, 동쪽인 경상북도 경산시에는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이 있다. 20...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정직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학생[예절인: 도덕적 역량]',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학습하는 학생[창의인: 지적 역량]',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의지가 굳센 학생[건강인: 신체적 역량]', '봉사와 협동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학생[협동인: 사회적 역량]'이다. 교훈은 '새로운 생각과 바른 생활을 가꾸어 미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신체적 역량]',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지적 역량]', '참되고 예절 바른 어린이[도덕적 역량]', '나보다 우리를 존중하는 어린이[사회적 역량]', '나를 찾고 꿈을 위해 도전하는 어린이[정서적 역량]'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2007년 11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안정되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갖고 신체 활동의 즐거움을 알고 운동하는 어린이[건강·체력]', '자신의 가치를 긍적적으로 표현하고 자신 있는 태도로 끈기 있게 노력하는 어린이[긍정·도전]', '타인의 말에 경청하고 나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는 어린이[소통·배려]', '자신과 남을 속이지 않고 스스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에 있는 신진 미술 작가들을 위한 창작 공간. 미술 대학 졸업 예정자들이 신진 작가로 데뷔하여 전시와 창작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로 2001년 대구미술광장이 개관되었다. 2001년 건립된 이후, 2008년까지 대구 미술 협회가 대구미술광장으로 운영하다가, 2008년 12월부터 대구미술광장 창작스튜디오로 명칭을 변경하고 대구광역시 지원으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남을 배려하고 생각과 행동이 바른 어린이[사회적]', '새롭게 생각하고 실력 있는 똑똑한 어린이[지적]',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아름다운 어린이[신체적]', '더불어 꿈을 향해 노력하는 어린이[사회·도덕적]'이다. 교훈은 '굳세고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38년 7월 16일 반송 간이 학교로 설립되었으...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소질을 찾아 꿈을 가꾸는 학생', '함께해서 모두가 행복한 학생', '정직과 자율을 실천하는 따뜻한 학생',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적 학생'이다. 교훈은 '정직·성실·실력 있는 건강한 학생'이다. 1948년 2월 7일 달성 논공 국민학교 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았다. 19...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마음속 온기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따뜻한 학생', '정직하게 생활하고 스스로 행동하는 착하고 바른 학생', '긍정의 힘으로 꿈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학생', '새롭게 생각하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창의적인 학생',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튼튼한 학생'이다. 교훈은 '맑고 건강한 어린이'이다. 195...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대구 상공 회의소의 달성 지역 사무소. 지역 상공업계를 대표하여 회원의 권익을 대변하고 각종 제도의 개선 건의를 통해 경영상의 애로를 해소함으로써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또한 중앙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 및 대학교, 연구 기관, 경제 단체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 지역 기업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행동하고 예절을 실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실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꾸는 어린이', '자신의 꿈과 재능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건강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이다. 1939년 8월 28일 서재 간이 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43년 4월 26일 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SW 혼(魂)·창(創)·통(通) 인재 육성'이다. '혼(魂)'은 위대한 멘토들이 겪은 다양한 여정을 내 삶으로 체화하는 것을 말하며, '창(創)'은 불가능한 것을 상상하고 실현 가능한 방법을 찾아냄을 의미한다. '통(通)'은 배려 정신으로 협업하며 타인에게 영감을 주는 인재를 뜻한다. 교훈은 '높은 이상,...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 습관과 굳센 체력을 지닌 어린이', '자신감과 끈기를 지닌 어린이', '더불어 살며 배려하는 어린이', '정직하며 예의 바른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참되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30년 9월 28일 공립 옥포 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4년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예절과 질서를 지키는 바른 어린이[도덕인]',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개성인]', '서로 돕고 더불어 발전하는 어린이[협동인]',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건강이]'이다. 교훈은 '정직하고 예절 바르며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2006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마음·생각이 바른 어린이[건강인]', '새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인]', '생명을 사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공동체인]'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참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이다. 1944년 3월 20일 용계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동년 4월 15일 개교하였다. 1963년 3월 1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르게 생각하고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가꾸는 어린이[건강인]', '함께 생각하고 서로 돕는 어린이[협동인]'이다. 교훈은 '꿈을 향하여 최선을 다하며 참되고 건강한 사람이 되자'이다. 1933년 3월 29일 유가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정신 의료 기관. 대구정신병원은 지역 최초의 정신 의료 기관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화, 다양화, 기계화, 내외적 갈등 증대 및 사회관계 악화 등으로 인해 증대되는 정서적인 불안정과 정신 건강의 문제점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설립된 병원이다. 정신 질환자의 요양과 진료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구정신병원은 1979년 12월 26일 착공하여 19...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학생', '소질과 적성을 찾아 꿈을 가꾸는 학생', '남을 배려하고 예의 바른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더불어 살아가는 자질을 갖춘 학생'이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새롭게, 도전은 끝없이'이다. 2003년 2월 27일 교사 및 부속 건물을 준공한 뒤 동년 3월 1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예절과 규칙을 잘 지키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어린이[자주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이다. 교훈은 '정성껏, 의좋게, 씩씩하게'이다. 1999년 11월 5일 대구광역시립 학교 설립 계획이 의결된 뒤, 2003년 1월 2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금속 절삭 기계 제조업체. 1952년 국영 대한 중석 광업으로 출범한 대구텍은 현재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의 버크셔 헤서웨이 그룹이 운영하는 외국인 투자 기업이며 초경 절삭 공구와 양질의 텅스텐 분말 등을 생산하는 세계적 기업이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최고의 금속 절삭 공구를 대구텍이 공급하는 것이 회사의 목표이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현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과 인성을 가꾸는 어린이', '새롭고 슬기롭게 궁리하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꿈과 미래를 만들어 가는 어린이'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운 하빈 어린이'이다. 1923년 5월 26일 하빈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4년 4월 15일 하빈 공립 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워 가는 학생[지적·정서적 역량]', '예의 바르고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학생[도덕적·사회적 역량]',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의지가 굳은 학생[신체적 역량]',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학생[지적 역량]'이다. 교훈은 '높은 꿈, 깊은 생각, 더불어 사는 어린이'이다. 1906년 4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롭게 생각하고 지식을 키워 가는 어린이[지적 역량 계발]', '바르게 행동하고 예절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적 역량 계발]', '개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꿈을 가꾸는 어린이[정서적 역량 계발]', '자율과 협동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사회적 역량 계발]',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꾸는 어린이[신체적 역량 계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건강한 정신과 체력을 바탕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어린이[신체적 역량]', '긍정적인 생각과 도전 의식을 가진 어린이[정서적 역량]', '정직하고 자율적인 어린이[도덕적 역량]', '소통과 배려로 함께 어울리는 어린이[사회적 역량]', '지식을 통합하고 창조하는 어린이[지적 역량]'이다.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있는 대구 화원 농업 협동조합은 농민들이 상호 협동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고 권익을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이다. 지역 농협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달 등 가입 조합원의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대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천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건강인]', '바른 품성으로 예절을 실천하는 학생[도덕인]',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탐구하는 학생[창조인]', '배우는 기쁨을 즐기며 꿈을 가꾸는 학생[자주인]'이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로우며 굳센 학생'이다. 1920년 6월 20일 화원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1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원교리에 있는 대구 환경 공단의 달성 지역 사업소. 대구환경공단은 대구시 전역에서 발생되는 하수·분뇨·생활 쓰레기·음식물 쓰레기·침출수 등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시민 생활의 편익을 도모하고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환경 기초 시설을 통합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구환경공단 달성 사업소는 달성군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일부 지역에서 유입되...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오산리에 있는 산. 원래 대니산(代尼山)이었으나 연산군 때 한훤당 김굉필(金宏弼)이 이곳에 거주하게 되면서 성현인 공자의 자인 중니(仲尼)에서 니(尼)는 그대로 살리고 대신할 대(代)를 일 대(戴)로 고쳐 '공자를 받드는 산'이라는 의미인 대니산(戴尼山)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것이 변하여 태리산(台離山) 또는 제산(梯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설에는 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농업용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체. 대동은 경운기·트랙터·이앙기·바인더·수확기[콤바인]·농업용 엔진 및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농기계 국내 점유율 1위 기업이다. 농촌 근대화와 기계 산업 발전에 선도자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친환경 농기계 글로벌 NO.1’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동은 1947년 농기구를 만드는 철공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에 있는 주물 생산 전문 제조업체. 대동금속은 대동 공업의 자회사이며, 농업용 기계 주물, 자동차용 주물 및 기타 주물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강주물 제조업체이다. 고난이도 주물 소재의 국산화 개발과 양산 공정의 설계를 실현함으로써 대한민국 기계 산업의 뿌리가 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1987년 12월 미국인터멧(Intermet)사와 합작하여 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에 속하는 법정리. 대리(大里)는 대니산 밑의 으뜸가는 큰 마을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현풍군 마산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현풍면으로 재편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대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대리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전문 제조업체. 대리정밀은 자동차 구동 부분인 미션 파트 부품을 제조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 업체로 현대 기아 자동차의 1차 협력 업체이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최상의 품질로 고객과의 신뢰를 우선으로 하며, 세계 일류의 자동차 부품 전문 생산 업체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1988년 오대 금속과 법인을 분리하여 대리정밀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에 있는 산. 대방산(大方山)[378m]은 달성군 옥포읍 교항리와 송촌리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금계산(金鷄山)[489.3m]에서 북동쪽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금계산은 비슬산에서 뻗어 나온 산지의 말단에 해당한다. 산지의 기반암은 함안층[적색-회색 혈암, 녹회색-회색 사암, 적색 사질 셰일]에 해당하지만, 남부에서 흑운모 화강암이 넓게 관입하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매곡리의 경계 지역에 있는 대구 도시 철도 2호선의 역. 대실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매곡리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1번 출구와 4번 출구 쪽은 매곡리에, 2번 출구와 3번 출구 쪽은 죽곡리에 해당된다. 역 이름은 역이 위치한 죽곡리의 순우리말 이름을 따서 대실역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곳은 신라가 가야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암리(臺岩里)는 이곳의 자연 마을인 대바우·대암(臺岩)에서 나온 명칭으로, 낙동강 변에 대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대(臺)는 높고 평평한 곳을 의미한다. 본래 현풍군 구지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구지면의 대암동·신당동·고방동 및 도야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대암동이 되었다. 198...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 있던 나루. 대암진나루터는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봉산리 간 나룻배를 운행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대암 마을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는 고령군 우곡면 쪽에서 땔감을 구하기 위해 대암진나루터를 많이 이용하였다.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서 따와 대암진나루터라고 이름 붙였다. 나루터 인근에 큰 바위가 있어 대바우 나루라고도 하고 대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도덕인, 창조인, 자주인, 건강인, 실력인'이다. 교훈은 '웅지를 품고 세계로'이다. 1980년 5월 15일 학교 법인 무열 교육 재단이 설립된 이후, 1981년 1월 15일 동국 고등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3월 1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은 정윤수이다. 1982년 12월 본관 35실을 준공하였고, 198...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일리(大逸里)는 대일박·대일·대일촌이라는 명칭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 유래는 잘 알 수 없지만 마을이 큰 골짜기에 위치하여 그렇게 불리었다고 전해진다. 1570년 마을을 개척한 후 대일박으로 부르다가 그 후, 대일, 대일촌 등으로 불리었다. 본래 대구부 하수남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수남면의 대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무등리·현내리·감문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대평들은 달성군 하빈면의 대평리·무등리·현내리·감문리 4개 리에 걸쳐 형성된 하빈천 상류의 곡저 평야로, 북쪽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까지 연결되어 있다.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지역이므로 대평들이라고 불렀다. 대평은 조선선조 때 임진왜란이 끝날 무렵 분성 김씨(盆城金氏) 김은암(金恩岩)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평리(大坪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에서 나온 명칭으로, 평탄하고 반듯한 지형에 마을이 있어 농사가 잘되고 평화(平和)로운 마을이라고 하여 처음에 대평(大平)이라고 하였다가, 그 후 한자를 대평(大坪)으로 바꾸어 불렀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북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북면의 대평동, 지산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대한노인회의 달성군 지역 지회. 대한노인회는 1969년 1월 전국 경로당 회장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고, 1970년 4월 사단 법인 허가를 받았으며, 1978년 「공익 법인 설립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공익 사단 법인이 되었다. 2011년 3월 20일 「대한노인회 지원에 관한 법률」[법률 제10510호]이 제정됨으로써 이 법에 의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국가 수호 유공자 단체. 「국가 유공자 등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 제3조 제9호, 「국가 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의 제7호 및 제8호 등에 의거하여 무공 수훈자 또는 보국 수훈자 또는 이들의 유족 중 선순위 승계 유족 1인들로 구성된 단체이다. 국가 수호 유공자 단체로서의 소임을 다하여 자유 민주주의 체제 하의...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에 있는 대한민국 상이군경회의 달성군 지역 지회. 대한민국 상이군경회 달성군지회는 「국가 유공자 등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 제3조 1호에 따른 회원들로 구성된 공법 단체이다. 「국가 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4 및 6호에 의하여 6·25 전쟁 참전 상이군경, 월남전 참전 상이군경, 대간첩 작전 상이군경, 공무 수행 중 부상을 당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대한민국 전몰군경미망인회의 달성 지역 지회. 대한민국 전몰군경미망인회는「국가 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3호[전몰군경] 및 제5호[순직 군경]에 해당하는 사람의 유족 또는 같은 항 제4호[전상 군경] 및 제6호[공상 군경]에 해당하는 사람 중 같은 법에 따라 보상금을 받는 유족인 처를 회원으로 하여 「국가 보훈 단...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대한민국 전몰군경유족회의 달성 지역 지회. 「국가 유공자 등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 제3조 2호 규정에 해당하는 자를 회원으로 하여, 회원 상호 간에 상부상조하여 자활 능력을 배양하고 호국 전몰군경의 유지를 이어받아 애국심을 함양 고취시키고, 투철한 안보 의식으로 재무장하여 자유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조국 통일을 앞당겨 이룩할 수 있도록 하...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에 따른 경상북도 달성군 지역의 정세 변동. 1948년 5월 10일 우리나라 최초의 자유 선거로서 남한만의 단독 선거가 치러져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다. 달성의 5·10 선거 과정에서 단독 정부를 반대하는 시위가 전개되었고, 5·10 선거 이후에도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치러진 제헌 국회에서 달성군에서는 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에 있는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체. 대한소결금속은 자동차 차체용 철계, 청동계, 소결 기계 부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체이다. 한 발 앞선 기술 개발과 끊임없는 품질 향상으로 소결 금속 분야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발전하고 선진 기술력과 끊임없는 혁신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최고의 품질, 혼이 담긴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에 있는 알루미늄 압연 판재 제조업체. 대호에이엘은 산업용 및 주방 기물용 소재와 철도 차량 등 차체 구조물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압연 판재를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앞선 기술력과 장인 정신을 기반으로 세계적 수준의 고품질 알루미늄 소재 산업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IMF 사태로 남선 알미늄이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되면서 회사가 건재 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하리에 있는 벽화 마을. 더하리 벽화마을은 마을이 위치한 하리의 지명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문화 체육 관광부가 주최하고, 마을 미술 추진 위원회와 달성군이 주관하는 2013년 마을 미술 프로젝트를 통해서 더하리(The Hari) 벽화마을이 조성되었다. 마을 미술 프로젝트는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공공 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를 증...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1970년 김봉연에 의해 동화사(桐華寺)의 말사로 덕안사(德安寺)가 창건되었다. 덕안사는 납골당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지는 승려 이종희이다. 덕안사의 대지 면적은 198㎡이며, 목조 와가의 건물 면적은 65.7㎡이다. 그 외에 덕안사 추모 공원이 있다. 덕안사 앞에는 신천이 있고, 뒤에는 서당골 끝자락이 있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 있던 나루. 도동나루터는 낙동강을 건너는 다리가 없었던 시절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구곡리 사이를 왕래하던 뱃길에 있던 나루터이다. 나루터가 있는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에서 따와 도동나루터라고 이름 붙였다. 수박과 참외 등 인근 지역에서 나는 농산물을 외지로 실어 나르던 도동나루터는 이 일대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나루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동리(道東里)는 이곳에 달성 도동 서원(道東書院)[사적 제488호]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현풍군 오설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오설면의 도동·사동·송림동 및 담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도동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가 되...
-
2013년 9월 7일 달성군이 후원하고 달성 문화 재단이 주관하여 달성 도동서원에서 개최한 전국 최초의 사액 봉헌 행사. 2014년에 개청 100주년을 맞이한 달성군은 ‘100년, 달성, 꽃피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문화 예술 사업 활성화와 첨단 산업 단지 조성으로 대구 미래 100년을 책임질 중추 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달성군의 문화유산 가치를 재발견하고, 품격 높은 역사와 문화...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넓은 길. 달성군을 통과하는 도로는 고속 국도 4개 노선, 일반 국도 3개 노선, 국가 지원 지방도 2개 노선, 군도 21개 노선 및 광역시도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달성군을 통과하는 도로망의 총 연장은 628.32㎞이며, 포장률은 100%에 달한다. 달성군을 통과하는 고속 국도[고속 도로]는 중부 내...
-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조성된 도보로 여행할 수 있는 길.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도보길은 산길, 논길, 밭길, 마을길, 강변길 등의 걷는 길과 문화유산, 자연 자원 등을 연계시킨 다양한 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달성 숲길, 달성군 코스길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달성군에 조성된 도보길은 크게 녹색길, 누리길, 둘레길 및 레저 스포츠길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 중 부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교구에 속하는 유가사의 부속 암자. 도성암(道成庵)은 선산도리사(桃李寺), 팔공산(八公山) 성전암(聖殿庵)과 함께 경상북도의 3대 수행 도량 중 하나이다. 신라 혜공왕 때 도성 대사(道成大師)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982년(성종 1) 성범 대사(成梵大師)가 만일미타 도량(萬日彌陀道場)을 열고 5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에 속하는 법정리. 도의리(道義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도평(道坪)·도의(道義)에서 나온 명칭으로 '예절을 잘 지키자'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의리는 옛날 고려 시대 장씨(狀氏) 삼 형제가 중국에서 옮겨와 살았다 하여 장세미·장삼(壯三)으로도 부른다. 본래 현풍군 말역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말역면 도의동·사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에 있는 산. 돌구산[130m]은 달성군 논공읍 본리리 양지산[179m] 서쪽에 위치한다. 산 정상에는 정상석이나 삼각점은 없고, 바로 옆에 팔각정 2층 정자가 있다. 정상의 위치는 위도 35.74, 경도 128.46이다.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구산은 용호천의 계곡에 조성된 달성군 논공읍 달성 1차 산업...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 장터 마을 동곡원조할매손칼국수의 칼국수.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 장터 마을에는 7~8곳의 칼국수 식당이 있다. 이곳에서 처음으로 칼국수 전문 식당이 생긴 것은 1975년으로, 1950년에 개업한 국밥·국수집이 그 전신이다. 시장을 찾는 상인과 지역 사람들을 상대로 칼국수를 팔아 온 원조 격인 식당은 현재까지 4대째 이어오고 있다. 계란을 섞...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곡리(桐谷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머구실·오동골·동곡(桐谷)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에 오동나무[머귀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대구부 하서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서면의 동곡동과 우목동이 병합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동곡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마을에서 동제를 지내기 위해 장만하는 제수.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동제(洞祭)를 지내는 마을에서 장만하는 제수(祭需)는 고사형과 제례형이 있다. 고사형 음식은 무속적 방식의 고사를 지낼 때 장만하는 제수이고, 제례형 음식은 유교식 제사에서 장만하는 음식을 가리킨다. 마을 제사의 경우 원래 무속식으로 제의를 치렀으나, 조선 시대에 유교식 의례가 보편화되면서 유교식으...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오리에 있는 사립 유료 미술관. 동제미술관은 사진 작가 강상규가 지역민들에게 풍요로운 문화 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합 전시 공간으로 2005년 3월 19일에 개관하였다. 동제미술관의 대지 면적은 4,960㎡이며,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관은 A관[대전시관]이 66㎡, B관[지하 전시관]이 49.5㎡, C관[2층 전시관·카페 전시관]이...
-
대구광역시 달서구 가창면 상원리에 위치한 산. 동학산(動鶴山)은 마치 학(鶴)이 날아가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산의 정상부가 학의 우아한 몸놀림 또는 춤추고 있는 학을 연상시킨다고 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과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의 경계선을 이루는 동학산[603m]은 북으로 두루봉~비내 고개~병풍산, 남으로 대청봉~상원산과 이어져 있다. 달성군 가창면에 남북 방향...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단산리에 있는 산. 두루봉[598.9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단산리와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산전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북쪽으로 비내 고개~병풍산(屛風山)[571m], 남쪽으로 동학산(動鶴山)[603m]~대청봉[687.5m]~상원산(上院山)[673.4m]과 이어져 있다. 달성군 가창면에 남북 방향으로 연속으로 이어진 병풍 산맥 또는 용지 산괴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 있는 산. 뒷동산은 서재 마을 뒤쪽의 산을 말한다. 원래는 돼지를 뜻하는 돈산(豚山) 이었으며 서재리를 껴안고 있는 산이다. 금호강이 낙동강에 합류하기 전에 심하게 곡류하면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지역에 구하도를 형성하였다. 뒷동산[72.5m]은 바로 구하도의 곡류핵(曲流核)[meander core]에 해당한다. 곡류핵의 단경은 400m이고, 구유...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디아크(The ARC)는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된 복합 문화 공간으로 다양한 전시·공연·행사 등을 개최하고 있다. 2012년 9월 20일에 개관하였다. 2014년 11월 5일에 대한 건축사 협회의 한국 건축 문화 대상[준공 건축물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디아크의 연면적은 3,688㎡이며, 지하 1층·지상 3층으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과 현풍읍에 걸쳐 레저스포츠를 주제로 조성 중인 도보길. 레저스포츠길은 인근 주민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레저스포츠를 갖춘 아름다운 도보길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 중에 있다. 레저스포츠길은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의 달성 도동 서원(達城道東書院)에서 시작하여 도동리와 현풍읍 자모리의 경계를 이루는 다람재로 이어진다. 이곳에 있는 대니산(戴尼山)[408m] 패러글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와 가창면 정대리에 걸쳐 있는 도보길. 마비정 누리길은 마비정 벽화 마을과 연계하여 걷기와 함께 체험 및 관광이 가능하도록 조성된 도보길이다. 2012년 달성군 주민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도시민들이 녹색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마비정 누리길은 마비정 벽화 마을에서 시작하여 삼필봉, 남평 문씨 본리 세거지(南平文氏本里世居地)[대구광역시 민속...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 2리에 있는 벽화마을. 먼 옛날 이 마을에 하루에 천리를 달리는 비무라는 수말과 백희라는 아름다운 암말이 대나무 숲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비무가 꽃과 약초를 구하러 멀리 떠나고 백희만 남아 대나무 밭에 혼자 있을 때 전쟁터로 떠나는 마고담이라는 장수가 이곳을 지나다가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천리마가 있으면 전쟁을 이길 수 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과 하빈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 마천산(馬川山)[274.4m]의 한자 해석은 '목 마른 말이 하천의 물을 마시는 모양의 산'이라는 갈마음수형국(渴馬飮水形局)에서 유래된 것이다. 마천산이 기록된 역사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제26권「대구 도호부 산천조」에는 “하빈면에서 남으로 1리에 있는데, 일명 금성산(錦城山)이다.”라고 적혀 있...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에 있는 산림욕장. 마천산 산림욕장은 친환경적인 도시 근교 산림 휴양 시설의 마련을 통해 늘어나는 산림 휴양 수요에 대처하고 시민들의 건강 증진 도모를 위해 조성되었다. 2007년 8월 산림욕장으로 지정·승인된데 이어, 같은 해 11월 산림욕장 조성 및 진입 임도 개설을 마쳤으며, 2008년 4월 산림욕장 조성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8년 5월 공유...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와 하빈면 현내리를 연결하는 고개. 마현령(馬峴領)은 1750년대 초반에 제작된 『해동 지도(海東地圖)』에 명칭이 나타나는데,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대구와 성주 간 주된 통로로 교통의 요지였다. 마현령을 달리 부르는 이현 고개는 이천리와 현내리의 앞 글자에서 따온 명칭이다. 현재 주변 마을 사람들은 “임진왜란 때 화원의 의병장 우배선(禹拜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매곡리(梅谷里)는 이곳에 있는 자연 마을 매곡(梅谷)에서 나온 명칭이다. 마을 우측 골짜기가 매화가 떨어진 매화낙지혈(梅花落之穴)의 명당이라 하여 매곡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남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남면이 다사면으로 재편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매곡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곡리(椧谷里)는 이 지역의 홈실·명곡(椧谷)이라는 명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마을이 골짜기에 위치해 있고 그 모양이 홈과 같이 길고 좁게 생겼다고 해서 홈실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한자로 홈통 명(椧) 자를 써서 명곡이라 하였다. 본래 대구부 화현내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화현내면의 명곡동과 현기동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목단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교단 소속 교회. 목단교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목단리 신도들의 종교 활동의 편의를 위해서 설립되었다. 1945년 3월에 창립되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목단리 신도들이 구지 장로교회를 출석하던 중 박춘식 목사의 주도로 목단리에 교회를 세우게 되었다. 처음 세운 교회 건물은 6·25 전쟁 때 소실되었다. 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단리(牧丹里)는 지형이 모란꽃처럼 생겨서 목단(牧丹) 또는 모란이라 불렀다. 본래 현풍군 구지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구지면 목단동·월산동 및 구산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목단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목단리가 되었다. 1995년 3...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묘리(竗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에서 나온 명칭으로, 지형이 묘하게 생겨 묘골 또는 묘곡(竗谷)이라고 불렀다. 본래 대구부 하서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서면이 하빈면으로 재편됨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리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무등리(武等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무등에서 나온 명칭으로, 이곳에는 고려 시대 무인(武人)들이 많아 살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 본래 대구부 하북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북면의 무등동과 겸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무등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와 문산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낙동강 좌안(左岸)에 넓게 펼쳐진 충적 평야인 문산들은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 일대를 크게 곡류하는 낙동강의 범람으로 형성되었다.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이므로 문산들이라고 부른다. 문산(汶山)은 1527년 파주(把州)에서 살던 윤인협(尹仁浹)이란 선비가 이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면서 자신의 고향 이름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문산리(汶山里)는 이곳의 자연 마을인 문산골·문산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 경기도 파주군 문산포에서 살던 윤씨(尹氏) 성을 가진 사람이 이곳에 이주해 와 그의 고향 이름을 따서 붙였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남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남면이 다사면으로 재편됨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문산동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문양리(汶陽里)는 문수(汶水)[낙동강] 변에 위치한 양지바른 곳이라 문양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본래 대구부 하남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남면이 다사면으로 재편됨에 따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문양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문양리가 되었다. 199...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에 있는 대구 도시 철도 2호선의 기점역. 문양역(汶陽驛)이라는 명칭은 역이 위치한 문양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문양리는 문수(汶水)[낙동강] 변에 위치한 양지 바른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 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문양역이 개통되었다. 문양역은 대구 도시 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 철도 2호선...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를 흐르는 하천. 문양천(汶陽川)은 하천이 지나는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의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문양(汶陽)은 낙동강 변 물빛이 곱고 양지바른 곳에 마을이 자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문양천은 달성군의 북부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다사읍 부곡리와 문산리를 거쳐 낙동강에 유입한다. 달성군 다사읍 황화 지맥의 마천산[196m] 북쪽 사면을 비롯하여...
-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다양한 장르의 문화, 예술 활동. 문화는 한 사회의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 온 물질적·정신적 과정의 산물이고, 예술은 기예(技藝)와 학술을 합친 말로 감상의 대상이 되는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활동과 작품을 아우르는 것이다. 즉 문화·예술이란 인류 활동의 총체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달성군의 문화·예술은 1970년대 현대 미술사에 큰 획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에서 시공간의 미를 표현하는 예술 활동. 달성군은 대구 미술계에서도 많은 미술인들이 왕성하게 작품 활동을 하는 곳이다. 한국 현대 미술사에서 대구 미술이 주목을 받았던 시기가 있었는데 1974년에서 1979년 사이에 대구 지역 출신의 젊은 작가들이 대구 현대 미술제를 만들어 총 5회 행사를 개최하였다. 대구 현대 미술제가 개최된 장소에 강정 고령보가 들어서고,...
-
1946년 4월 미군정 시기 달성군에서 결성된 좌익 성향 정치·사회단체의 연합 조직. 1946년 4월 미군정 시기 달성군에서는 민족주의민족전선 경북 위원회가 결성된 직후 민족주의민족전선 달성군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좌익 성향 정치·사회단체의 연합 조직으로서 성격을 가지나 민족주의 세력도 참여하고 있었다. 미소 공동 위원회에 대한 대응이라는 정치적 문제뿐만 아니라 당시의 긴급한 현안이...
-
1946년 6월 달성군 현풍면[현 현풍읍]에서 설립된 좌익 성향의 청년 단체. 1946년 6월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에서 곽윤섭을 대표로 하여 150명으로 구성된 좌익 성향의 민주 청년단이 결성되었다. 민주청년단은 모스크바 삼상 결정안을 지지하며, 미소 공동 위원회의 원활한 개최 등 정치 문제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였다. 민주청년단은 ‘민주 정당을 결성하자, 모스크바 삼상 결정을 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민주 평화 통일 자문 회의 산하 달성 지역 협의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달성군협의회는 조국의 민주적 평화 통일 달성에 필요한 제반 정책 수립에 관하여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그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발족한 헌법 기관이자 대통령 직속 자문 기구로 국내 시군구 단위로 조직된 228개 지역 협의회 중 하나이다. 통일 의지와 역량을 결집하여 민족의 염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박곡리(朴谷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박실·박곡(朴谷)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 금호강(琴湖江)이 홍수로 범람하여 온 마을이 물에 잠겼을 때 마을 뒷산만이 둥근 박처럼 남았다고 하여 산 이름을 박산(朴山)이라 하였고, 마을 이름을 박실·박곡이라 불렀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동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에 있는 미술 작가들의 작업 공간. 2000년 서양화·동양화·조각·디자인·도예 등 여러 장르의 대구 지역 미술가들이 모여 전시 및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 박달예술인촌(朴達藝術人村)을 개관하였다. 1999년 폐교된 서재 초등학교 달천 분교를 임대하여 개관한 것으로, 행정 구역상 박곡리와 달천리의 경계에 위치하여 박곡리의 '박'과 달천리의 '달' 자를 조합...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박곡리에 있는 산. 옛날 홍수로 금호강 강변이 모두 잠겼을 때 박산만 물에 잠기지 않고 박(朴)이 물에 둥둥 떠 있는 모습과 같았다고 하여 박산(朴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달성군 북부 지역에 위치한 박산[217.7m]은 달성군 하빈면 현내리에 걸쳐 있는 마천산(馬川山)[274.4m]과 무등리에 있는 용산(龍山)[244m]에서 이어져 금호강으로 사라지는 마천...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와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부리를 연결하는 다리. 박석진교(礡石津橋)는 달성군 화원읍에서 국도 5호선을 타고 낙동강 변의 동안을 따라 현풍읍에 이르러 고령군 개진면으로 갈 때 낙동강을 건너는 다리이다. 대구 도심부에서는 테크노폴리스로를 통해 달성군 현풍읍이나 논공읍에 도달하면 접근이 용이하다. 고령군에서 보면 개진면에서 낙동강 북안을 따라 대구 방면으...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의 정치인이자 언론인. 본관은 순천(順天), 호는 송산(松山). 박팽년(朴彭年)의 직계 후손이다. 박준규(朴浚圭)[1925~2014]는 1925년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서 태어났다. 1944년 대구 고등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9년 서울 대학교 문리과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에, 미국에서 유학하여 1964년 브라운 대학교,...
-
1949년 달성군을 포함해 전국에 설치된 친일 반민족 행위 청산 특별 위원회. 제헌 국회에서는 일제 강점기 친일파의 친일 반민족 행위자를 역사적, 법적으로 청산하기 위하여 특별법 제정에 착수하여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1948년 9월 22일에 공포되었다. 이 법에 따라 친일파의 친일 반민족 행위를 조사할 특별 위원회로서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약칭 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반송리(盤松里)는 이 지역의 반송이라는 명칭에서 유래한 것이다. 반송 마을은 마을 일대가 반석으로 구성되어 옛날에는 나무가 거의 없는 지역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한 농부가 허기진 승려를 집으로 데리고 가서 극진히 대접하였더니 승려가 농부에게 감사한 마음으로 반송을 심도록 하였고, 그 후로 반송이 산 전체에 퍼져 우거지게 되어 마을 이름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방천리 앞을 흐르는 금호강(琴湖江)에 제방이 축조되어 있어 또는 방천리 앞에 금호강이 흐르고 있어, 마을·제방 방(坊), 내 천(川) 자를 써서 방천리(坊川里)라고 하였다. 본래 대구부 하동면에 속하는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동면이 다사면으로 재편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방천동이 되었다. 1988년...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지슬리를 연결하는 고개. 방치재가 공식 명칭이나, 이는 밤티재의 오기인 것으로 보인다. 밤티재는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우록지가 있는 골짜기 명칭인 밤티골에서 유래된 고개 이름으로 보인다. 방치재[580m]는 최정 산괴의 봉우리 중 우미산(2)[747m] 서쪽에 위치한 동서 방향의 고개이다. 주암산(舟巖山)[846.8m]에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에 있는 산. 병풍산(屛風山)은 남쪽 동학산의 학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병풍처럼 서 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병풍산[571m]은 달성군 가창면과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으로 구분되며, 북쪽으로 수성구가 접해 있다. 병풍산은 용지봉[634m]을 비롯하여 두루봉[598.9m], 동학산(動鶴山)[603m], 상원산(上院山)[673.4m] 등 500...
-
대구광역시 달성군 주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제반 활동. 보건·의료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여 사람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일을 말한다. 크게 공적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적 영역은 중앙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중심이 된다. 지방에서는 행정 기관인 보건소가 중심이 된 공중 보건 사업이 이에 해당한다. 민간 영역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에 있는 발전기, 전동기 제조업체. 보국전기공업은 1962년 설립 이래 반세기 동안 발전기 외길을 걸어온 지역의 강소 기업이다. ‘공업을 일으켜 국가에 보은 하겠다’는 뜻의 공업 보국(工業報國)을 이념으로 설립되었다. 1961년 보국 전기 공사로 출범했으며 1977년 대구시 북구 노원 3가로 공장을 확장, 이전하였다. 1984년 보국전기공업으로 명칭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출신 사업가 조용효가 제정한 상. 보화상(補化賞)은 달성군 출신 사업가 조용효(趙鏞孝)[당시 33세]가 동양의 고유한 윤리 도덕을 고양하기 위하여 1958년 제정한 상으로, 매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에서 효행(孝行)·열행(烈行)·선행(善行)을 실천한 30여 명을 선정하여 표창하고 있다. 보화원(補化院)은 보화상 제정자인 조용효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논 5,...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본리들은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에 형성된 충적 평야로 동쪽의 기세곡천과 서쪽의 본리천 사이에 있다.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 일대에 형성된 평야 지대이므로 본리들이라고 불렀다. 본리(本里)는 일설에 따르면, 김해 김씨(金海金氏) 도정 선생(都正先生)이 승려들을 동원하여 방천을 만들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마을들을 한곳에 모아 살 근거...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리리(本里里)[논공읍]는 원래 현풍읍·논공면의 면 소재지였기 때문에 근본이 되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본리라 하였다. 본래 현풍군 논공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논공면의 본리동 및 소도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본리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리리(本里里)[옥포읍]는 과거 옥포면의 면사무소가 이곳에 있어 면 소재지이므로 근본이 되는 마을이라는 뜻의 본리라 하였다. 본리 마을은 마을 주변에 방천을 쌓고 이전에 흩어져 있던 여러 마을들을 이곳에 모으면서 본리라 하였다고도 전해진다. 본래 대구부 옥포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옥포면의 본리동과...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리리(本里里)[화원읍]는 원래 대구부 인흥면의 면 소재지였기 때문에 '근본이 되는 마을'이라는 뜻의 본리라 하였다. 본래 대구부 인흥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인흥면의 본리동, 쌍학동, 상리동, 송정동 일부를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화원면 본리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를 흐르는 하천. 본리천(本里川)은 하천이 지나가는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본리천은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 마을을 가로지르며 북서쪽으로 흘러 곡저 평야, 범람원 등을 형성하며 낙동강에 유입한다. 달성군 옥포읍 송촌리 마을 남쪽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이 동쪽 송촌지에서 흘러나온 하천과 중부 내륙 고속 국도 달성 톨게이트 서쪽에서 만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 말역 마을·말역촌 등으로 불리던 곳으로, 말역면사무소가 있어 본말역이라 한 것에서 유래하여 본말리(本末里)가 되었다. 본래 현풍군 말역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말역면 본말동·개곡동·포정동·태봉동 및 개백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 본말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에 속하는 법정리. 봉리(鳳里)는 마을 지형이 하늘로 봉황이 날아가는 형국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현풍군 유가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 때 유가면 봉지동 및 구계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 봉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유가면 봉리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촌리(鳳村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새촌·봉촌·사야촌(沙野村)에서 나온 명칭으로, 모래 발판에 마을이 이루어져 모래 사(沙), 들 야(野) 자를 써서 사야촌이라 하였는데, 사야촌이 줄어 새촌이 되었고 일제 강점기 때 봉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새가 많아서 새촌·봉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본래 대구부 하서면에 속한...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에 위치한 산. 봉화산(烽火山)은 산의 정상에 봉화를 올리던 봉수대가 있었다고 전해지면서 유래된 것이다. 봉수대의 명칭은 1872년 제작된 조선 후기 지방 지도에 북봉대(北烽臺)라고 기록되어 있다. 봉화산[474m]은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와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팔조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지이며, 동쪽으로 상원산, 서쪽으로 삼성산으로 연결되는 능...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속하는 법정리. 부곡리(釜谷里)는 이곳의 자연 마을인 가마실·부곡(釜谷)·부앞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 이곳에 그릇을 굽던 가마굴이 있었다 하여 가마실 또는 가마 부(釜) 자를 써서 부곡 또는 부앞[가마굴 앞 마을]이라고 하였으며, 마을 지형 또한 가마 같다고 한다. 본래 대구부 하남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으로 하남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에 형성된 먹거리촌. 대구 도시 철도 2호선 문양역 주변 부곡리에는 논메기 매운탕집을 중심으로 음식점들이 많이 입지해 있다. 부곡리 먹거리촌은 넓은 의미에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 중부 산기슭과 남부 낙동강 변, 문산리의 낙동강 변 및 문양리의 문양역 주변 등지에 모여 있는 음식점들이 모두 포함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를 중심으로 먹거리촌이...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를 흐르는 하천. 부곡천(釜谷川)은 하천이 지나는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의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부곡(釜谷)은 마을의 지형이 가마굴처럼 생겼으며, 옛날에는 그릇을 굽던 가마굴이 있어 가마실이라 부른 데서 '가마솥 부(釜)' 글자를 따서 붙여졌다. 부곡천은 달성군의 북부 산지인 다사읍 황화 지맥의 마천산[196m] 남동 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부리에 있는 저수지. 부동지(釜洞池)는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설치 확정 승인을 받아, 1945년 1월에 착공을 하여, 1945년 12월 31일에 준공되었다. 부동지는 451번 중부 내륙 고속 국도 지선에서 동쪽으로 약 1㎞, 현풍 향교 서북 방면으로 1㎞ 지점 사이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저수지이다. 부동지의 수계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가마 모양이어서 가마 부(釜) 자를 써서 부리(釜里)라고 부르게 되었다. 본래 현풍군 현내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현풍면으로 재편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부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 부리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남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는 '스스로 나아가는 자주성을 기른다[자주인]', '충실하고 확실한 학력을 기른다[지식인]', '탐구하고 창조하는 사고력을 기른다[탐구인]', '바른 인성과 가치관을 기른다[도덕인]', '밝고 튼튼한 심신을 기른다[건강인]'이다. 교훈은 '나는 잘할 수 있다'이다. 2002년 11월 8일 북동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속하는 법정리. 북리(北里)라는 명칭은 북쪽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안인(安仁) 마을의 북쪽이 되므로 뒷마 또는 북리로 불렀다고 전해지며, 쌍산(雙山)[269m]의 북쪽 마을이라 붙여진 명칭이라는 설도 전해 내려온다. 본래 현풍군 논공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재편된 논공면에 소속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